• 제목/요약/키워드: Peripheral artery disease

검색결과 80건 처리시간 0.029초

Arterial Stiffness is Associated With Diabetic Retinopathy in Korean Type 2 Diabetic Patients

  • Yun, Yong-Woon;Shin, Min-Ho;Lee, Young-Hoon;Rhee, Jung-Ae;Choi, Jin-Su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4권6호
    • /
    • pp.260-266
    • /
    • 2011
  • Objectives: We evaluated the association between common carotid artery intima-media thickness (CCA-IMT), brachialankle pulse wave velocity (baPWV), carotid plaque, and peripheral arterial disease (PAD) as indicators of macroangiopathy and diabetic retinopathy as an indicator of microangiopathy in type 2 diabetic patients. Methods: We analyzed 605 type 2 diabetic patients registered at a public health center in Korea. Following overnight fasting, venous blood and urine sampl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CCA-IMT, levels of carotid plaque, baPWV, and ankle-brachial index (ABI) of the subjects were assessed. We used non-mydriatic fundus photography to diagnose diabetic retinopathy.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macroangiopathy and diabetic retinopathy. CCA-IMT and baPWV were divided into tertiles: CCA-IMT, 0.39 to 0.65 mm, 0.66 to 0.78 mm, and 0.79 to 1.30 mm; baPWV, 9.9 to 15.8 m/s, 15.9 to 18.9 m/s, and 19.0 to 38.0 m/s. Results: The association between baPWV and diabetic retinopathy remained significant after adjustment, with an increasing odds ratio (OR) in the second tertile (OR, 2.41; 95% confidence interval [CI], 1.27 to 4.55) and the third tertile (OR, 4.63; 95% CI, 2.33 to 9.21).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carotid plaque, PAD, and each tertile of CCA-IMT. Conclusions: BaPWV was associated with diabetic retinopathy, while CCA-IMT, carotid plaque, and PAD were not.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association between macroangiopathy and microangiopathy may be attributable to functional processes rather than structural processes within the vascular system.

냉과 거상이 피부 온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ld and Elevation on Skin Temperature)

  • 김민규;구애련;김효;이정배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48-56
    • /
    • 1996
  • The research of cold therapy is preceding rarely nowadays. This study was researched to measure the skin temperature of the right foot malleolus when the leg change the situation precisely speaking it was cold, elevation, cold plus elevation. Twenty young healthy volunteers(M:10, F:10)with no history of cardiopulmonary disease, peripheral artery disease were tested. This study were analyzed by one-way-repeated ANOVA. In the first we examined the within changes of the skin temperature between before and after examination for each modality. The skin temperature at all of modalities had fallen. Therefore we could know the fact that elevation plus cold modality had fallen skin temperature significantly more than elevation or cold.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We conclude that elevation and cold therapy could be better effective on edema, contusion and sprain than cold or elevation therapy independently.

  • PDF

Femoro-Supragenicular Popliteal Bypass with a Bridging Stent Graft in a Diffusely Diseased Distal Target Popliteal Artery: Alternative to Below-Knee Popliteal Polytetrafluoroethylene Bypass

  • Byun, Joung Hun;Kim, Tae Gyu;Song, Yun Gyu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0권5호
    • /
    • pp.371-377
    • /
    • 2017
  • Background: Lesions in distal target arteries hinder surgical bypass procedures in patients with peripheral arterial occlusive disease. Methods: Between April 2012 and October 2015, 16 patients (18 limbs) with lifestyle-limiting claudication (n=12) or chronic critical limb ischemia (n=6) underwent femoral-above-knee (AK)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bypass grafts with a bridging stent graft placement between the distal target popliteal artery and the PTFE graft. Ring-supported PTFE grafts were used in all patients with no available vein for graft material. Follow-up evaluations assessed clinical symptoms, the ankle-brachial index, ultrasonographic imaging and/or computed tomography angiography, the primary patency rate, and complications. Results: All procedures were successful. The mean follow-up was 12.6 months (range, 11 to 14 months), and there were no major complications. The median baseline ankle-brachial index of 0.4 (range, 0.2 to 0.55) significantly increased to 0.8 (range, 0.5 to 1.0) at 12 months (p<0.01). The primary patency rate at 12 months was 83.3%. The presenting symptoms resolved within 2 weeks. Conclusion: In AK bypasses with a diffusely diseased distal target popliteal artery or when below-knee (BK) bypass surgery is impossible, this procedure could be clinically effective and safe when used as an alternative to femoral-BK bypass surgery.

가와사끼병 영아에서 발생한 혈전을 동반한 거대관상동맥류 1례 (A Case of Multiple Giant Coronary Aneurysms with Large Mural Thrombus due to Kawasaki Disease in a Young Infant)

  • 최은나;김정태;김유리아;유병원;최덕영;최재영;설준희;이승규;김동수;박영환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3호
    • /
    • pp.321-326
    • /
    • 2005
  • 가와사끼병은 주로 소아연령에서 발생하는 급성 열성 혈관염으로 관상동맥의 확장이 치명적 합병증으로 나타날 수 있다. 저자들은 3개월된 영아에서 반복적인 정맥용 면역글로불린, 스테로이드, 경구용 methotrexate의 치료에도 불구하고 진행되는 관상동맥 병변으로 다발성 거대 관상류, 협착 및 관상동맥 내 혈전을 보이며 심전도상 심근 허혈 소견과 함께 심장 자기공명영상에서 좌심실의 확장과 전벽 및 중격의 심한 운동저하를 나타낸 증례를 보고한다. 환아는 보존적 요법에 반응하지 않는 관상동맥병변으로 내원 88일째 수술적으로 우측 거대관상동맥류를 절개하고 Gore-tex tube를 삽입하여 각각의 측부순환과 연결하였으며, 좌측 관상동맥 협착부위는 세로로 절개한 후 심장막 반(pericardial patch)을 삽입, 확장하였으나, 수술 후 심폐부전으로 사망하였다.

사지동맥의 색전제거술 -26례의 분석- (Embolectomy of Arteries of Extremities -Clinical analysis of 26 cases)

  • 강종렬;구본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2호
    • /
    • pp.172-178
    • /
    • 1997
  • 인제대학교 서울 백병원에서 실시한 말초동맥 색전제거술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1987년 3월부터 1996년 2월까지 26명의 환자가 색전제거술을 시술받았고 남자는 18명 여자는 8명이였으며 평균연령은 56.8세 였다. 24명의 환자에서 휴식시 동통이 주소였고 2명의 환자에서 급성 증상의 회복후 장기간의 간헐적 파행을 호소하였으며 10명의 환자에서만 신경/근육 증상을 보였다. 대부분의 색전은 심인성으로 빈도가 높은 원인질환으로8명의 환자는 허혈성 심질환, 11명의 환자는 심장판막질환이 있었다. 동맥색전 부위는 상지동맥이 6명, 안장색전증이 2명, 하지동맥 18명이였고 대퇴동맥이 11명으로 가장 많았다. 술전 동맥조영술은13명의 환자에서 진단과 수술계획을 위해 실시하였으나 나머지 환자에서는 실시하지 않았다. 2명만이 6시간이내 색전제거술을 실시하였으나 나머지 환자는 모두 6시간 이후에 수술하였 다. 모든 환자에서 우회로 조성술 엄이 포가티 색전제거 카테터를 사용하여 색전제거술을 하였는데, 상지동맥 색전증은 상완동맥 절개로 수술하였고, 안장색전증의 경우 양측 서혜부 절개로 접근하였으며, 하지동맥 색전증은 경대퇴동맥 접근을 하 느립\ulcorner3명의 원위부 슬와-경골동맥 색전증 환자에서 재수술시 경술와 동맥 색전제거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전후로 18명의 환자가 헤파린이나 푸락시파린으로 항응 고제 요법을 받았고 17명의 환자에서 퇴원시 와파린을 투여하였으며 항응고제 투여의 적응증은 심판막 질환, 심방세동, 말초동맥 죽상경화증, 재발색전 등이었다. 색전제거술후 14명의 환자에서 좋은 결과가 있었고, 5명에서 재수술후 증상 호전되었으며, 심한 하지동맥 죽상경화증을 보인 환자 1명에서 슬관절 이하 하지절단을 시행하였다. 색전재발은 1명, 사망 환자는 2명이 였는데, 사인은 각각 급성 신부전과 뇌동맥 혈전증이였다. 색전제거술 합병증으로 재관류 손상, 가성동맥류, 내막박리 등이 각각 1례 발생하였다. 결론적으로 사지동맥 색전증치 진단이 지연되고 있고, 허혈성 심질환을가진 고령환자가 증가되고 있는 경향이었다. 술전 동맥조영술은 항상 진단과 수술을 위해 필요하지 않으며 항응고제는 적응증에 따라 선택적으로 투여하여 색전재발을 방지할 수 있다. 원위부 슬와-경골동맥 색전증의 경우, 경대퇴동 맥 접근으로 선택적인 경골동맥 색전제거에 어려움이 있었다.

  • PDF

중간엽줄기세포(MSC)를 이용한 허혈성 혈관질환 치료를 위한 세포치료제 개발: 기초연구에서 임상연구 (Development of Cell Therapeutics against Ischemic Vascular Diseases Using Mesenchymal Stem Cells: From Bench to Bed)

  • 이은지;박신후;서정호;안효경;남시현;권상모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7호
    • /
    • pp.567-577
    • /
    • 2022
  • 최근 인구 고령화로 인해 허혈성 심장질환, 허혈성 뇌졸중, 말초 동맥 질환 등의 허혈성 혈관질환의 유병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허혈성 질환에 대한 현재 표준화된 치료법은 약물 요법 및 수술을 통한 재관류요법이다. 재관류요법은 손상된 동맥의 기능을 회복시킬 수 있지만 허혈로 인해 손상된 주변 조직의 기능 회복에 있어 효율적이지 않다. 그러므로 허혈 질병을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치료하고 주변 조직의 기능을 회복시킬 수 있는 새로운 치료전략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손상된 부위를 재생하는 줄기세포 기반 치료가 허혈성 혈관질환의 유망한 전략으로 연구되어 왔다. 다양한 조직에서 분리할 수 있는 중간엽줄기세포(MSC)는 면역 조절, 혈관 신생 촉진 및 다양한 관련 인자의 분비를 통해 손상된 조직을 재생함으로써 허혈성 질환의 치료에 유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줄기세포 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해 3D 배양법을 이용하거나 세포 프라이밍(Cell Priming)과 같은 MSC 기능을 강화하여 이식 효율을 높이는 새로운 접근법이 연구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MSC를 허혈성 질환 치료에 사용하는 다양한 전략을 제공하고 허혈성 부위에서 MSC의 분화(Differentiation), 증식(Proliferation) 및 생착(Engraftment)과 같은 이식의 문제에 대해 논의한다.

하지동맥 질환의 인터벤션: 전반적 치료 계획 수립 (General Treatment Strategy for Intervention in Lower Extremity Arterial Disease)

  • 원제환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2권3호
    • /
    • pp.500-511
    • /
    • 2021
  • 하지동맥 질환의 유병률은 고연령 군에서 증가한다. 최근의 기술적 진보로 혈관 내 치료가 점점 더 많은 빈도로 시행되고 있다. 간헐적 파행의 치료 목표는 보행 능력을 향상시키고 증상을 완화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해부학적 내구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한 전략이며 개통률이 치료 평가 기준이 된다. 임계 하지허혈을 가진 환자에서는 병변이 광범위하고 특히 무릎아래동맥을 심하게 침범한다. 임계 하지허혈의 치료 목적은 상처 회복을 촉진하고 주요 절단을 예방하는데 있으며 사지 보존율이 평가의 기준이 된다. 장골동맥 협착의 치료에는 피복 혹은 비피복 스텐트 삽입술이 일차적 치료로 인정된다. 대퇴슬와동맥 질환은 죽종제거술과 함께 약물방출풍선 및 스텐트가 자주 사용되는 반면 무릎아래동맥 질환에서는 풍선확장술이 주요 치료 방법이다. 컴퓨터단층 혈관조영술은 절대적 금기증이 없는 환자에서 혈관 내 치료계획 수립을 하는데 로드맵을 제공한다.

대퇴동맥 폐색증에서 대퇴동맥-슬와동맥 우회술과 대퇴동맥 스텐트 삽입술의 비교 (Comparison of Femoropopliteal Bypass and Superficial Femoral Artery Stenting for Treating Femoral Artery Occlusive Disease)

  • 이건;임창영;김만득;이헌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2권1호
    • /
    • pp.53-58
    • /
    • 2009
  • 배경: 동맥경화에 의한 표재성 대퇴동맥의 치료방법 중에서 인조혈관을 이용한 대퇴동맥-슬와동맥 우회술과 대퇴동맥내 스텐트 삽입술의 개존율과 합병증 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7월 부터 2008년 7월까지 24명의 환자에서 29예의 인조혈관을 이용한 대퇴동맥-슬와동맥 우회술(우회술군)과 15명의 환자에서 19예의 대퇴동맥 스텐트 삽입술(스텐트군)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전체환자 중 남자가 35명으로 89.7%를 차지하였고, 평균 연령은 69.2세(48세부터 84세까지)였다. 당뇨병, 고혈압, 흡연력은 각각 21명(53.8%), 16명(41.0%), 25명(64.1%)이었다. 내원 당시 피부 궤양이나 조직의 괴사가 있었던 경우는 23예(59.0%)였다. 결과: 우회술군은 TASC C와D의 병변이 27예로 93%였고, 스텐트군은 TASC A와 B의 병변이 16예로 84.2%였으며 각 치료방법의 적응증에 차이가 있었다(p<0.01). 우회술군의 6개월, 12개월, 24개월의 일차개존율은 91.9%, 79.7%, 79.7%였고, 스텐트군의 6개월, 12개월, 24개월의 일차개존율은 93.3%, 86.2%, 86.2%였으며 양 치료방법 간에 개존율의 차이는 없었다(p=0.48). 결론: 두 치료방법간에 성적의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스텐트 시술에 실패한 경우나 TASC C와 D의 병변은 대퇴동맥-슬와동맥 우회술을, 고위험군의 환자나 TASC A와 B의 병변은 대퇴동맥 스텐트 시술을 시행하는 것이 좋겠다.

Risk factors affecting amputation in diabetic foot

  • Lee, Jun Ho;Yoon, Ji Sung;Lee, Hyoung Woo;Won, Kyu Chang;Moon, Jun Sung;Chung, Seung Min;Lee, Yin Young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37권4호
    • /
    • pp.314-320
    • /
    • 2020
  • Background: A diabetic foot is the most common cause of non-traumatic lower extremity amputations (LEA). The study seeks to assess the risk factors of amputation in patients with diabetic foot ulcers (DFU).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on 351 patients with DFUs from January 2010 to December 2018.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disease history, laboratory data, ankle-brachial index, Wagner classification, osteomyelitis, sarcopenia index, and ulcer sizes were considered as variables to predict outcome. A chi-square test and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test the relationship of the data gathered. Additionally,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ased on their amputation surgery. Results: Out of the 351 subjects, 170 required LEA. The mean age of the subjects was 61 years and the mean duration of diabetes was 15 year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these averages. Osteomyelitis (hazard ratio [HR], 6.164; 95% confidence interval [CI], 3.561-10.671), lesion on percutaneous transluminal angioplasty (HR, 2.494; 95% CI, 1.087-5.721), 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e (eGFR; HR, 0.99; 95% CI, 0.981-0.999), ulcer size (HR, 1.247; 95% CI, 1.107-1.405), and forefoot ulcer location (HR, 2.475; 95% CI, 0.224-0.73) were associated with risk of amputation. Conclusion: Osteomyelitis, peripheral artery disease, chronic kidney disease, ulcer size, and forefoot ulcer location were risk factors for amputation in diabetic foot patients. Further investigation would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a diabetic foot risk stratification system for Koreans, allowing for optimal individualized treatment.

Endovascular treatment of Takayasu arteritis in a middle-aged woman with syncope and limb claudication: a case report

  • Ha-Young Choi;Sunggun Lee;Jino Park;Yeo-Jeong Song;Dong-Kie Kim;Ki-Hun Kim;Sang-Hoon Seol;Doo-Il Kim;Seunghwan Kim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40권4호
    • /
    • pp.448-453
    • /
    • 2023
  • Takayasu arteritis (TA) is a disease that causes inflammation and stenosis of medium to large blood vessels. We report a case of a 50-year-old female patient with newly developed hypertension, syncope, and claudication of the extremities. Total occlusion of the left subclavian artery at the origin was found and significant stenosis of the right common iliac artery was revealed by hemodynamic analysis. She was successfully treated with percutaneous angioplasty for multiple peripheral arterial diseases and was finally diagnosed with TA. In consultation with a rheumatologist, medical treatment for TA was initiated, the patient's hypertension disappeared, and her claudication symptoms impro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