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iods of rainfall

검색결과 301건 처리시간 0.027초

대유역 홍수예측을 위한 연속형 강우-유출모형 개발 (Development of Continuous Rainfall-Runoff Model for Flood Forecasting on the Large-Scale Basin)

  • 배덕효;이병주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4권1호
    • /
    • pp.51-64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대유역의 홍수모의가 가능한 연속형 강우-유출모형을 개발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가변저류변수와 유출곡선지수를 기반으로 하는 시단위 지표유출량 산정방법을 개발하였으며 수문성분을 토양수분에 대한 연속방정식에 적용하여 연속적인 강우에 대한 토양수분 모의가 가능하도록 모형을 구성하였다. 또한 유출수문성분과 유역 저류함수모형을 연계하여 유역에 대한 연속적인 유출모의가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하도 저류함수모형을 이용하여 대유역에 대한 유출모의가 가능하도록 모형을 개발하였다. 대상유역은 낙동강 유역을 채택하였으며 2006년(보정기간) 및 2007~2008년(검증기간)의 홍수기간 동안 본류와 지류에 위치한 8개 유량관측지점에 대해서 모형의 정확도 평가를 수행하였다. 모든 평가지점에서 모의유량이 관측유량과 유사한 결과를 보이며 보정기간과 검증기간의 모형효율성계수는 각각 0.81~0.95와 0.70~0.94 범위의 우수한 결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강우에 대한 토양수분의 거동과 수문 성분 발생량에서도 합리적인 결과를 도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연구에서 개발된 연속형 강우-유출모형은 대유역의 홍수예측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군집분석과 변동핵밀도함수를 이용한 지역빈도해석의 확률강우량 산정 (Estimation of Probability Precipitation by Regional Frequency Analysis using Cluster analysis and Variable Kernel Density Function)

  • 오태석;문영일;오근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8권2B호
    • /
    • pp.225-236
    • /
    • 2008
  • 수공구조물의 설계를 위한 확률강우량의 산정방법은 크게 지점빈도해석과 지역빈도해석으로 구분된다. 일반적으로 확률강우량은 대상유역에 위치하는 강우관측소에서 관측된 강우량자료를 지점빈도해석으로 추정하게 된다. 지점빈도해석을 통한 확률강우량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기간 동안의 관측된 강우량자료의 확보가 필수적이라 할 수 있으나 관측자료의 부족으로 인해 매개변수의 편의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부족한 강우자료를 보완하고 안정적인 확률강우량을 산정하기 위한 방안으로 지역빈도해석이 추천되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강우관측소의 위치 및 시간강우량 특성을 이용한 군집분석을 수행하여 강우관측소를 군집화 하였다. 군집화 된 강우관측소를 대상으로 L-moment 법을 통해 산정한 매개변수를 이용하여 각각의 지역별로 불일치성 및 이질성 검정을 통한 지역구분을 수행하여 우리나라 강우관측소를 6개 지역으로 구분하였다. 구분된 지역별로 L-moment 법, 지수홍수법 및 변동핵밀도함수를 적용한 지역빈도해석을 수행하여 각각 확률강우량을 산정하여 비교하였다. 분석결과에서 변동핵밀도함수를 이용한 지역빈도해석은 다른 기법에서 적합한 확률분포형 결정이 어려운 경우 등에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회귀분석법에 의한 소나무, 곰솔 및 리기다소나무의 상대성장 비교 (Comparisons on Relative Growth of Red Pine, Black Pine and Pitch Pine by Means of Multiple Regression)

  • 박만춘;이윤근;최기룡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05-312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relative growth of annual ring width of red pine(Pinus densiflora), black pine(Pinus thunbergii) and pitch pine(Pinus rigida) by means of multiple regression method according to Graybill hypothesis. The obtained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changes of rainfall have affected to tree growth during the periods of 1975 through 1978. 2. Among these pine trees, red pine was mostly influenced by environmental factors. 3. The growth of annual ring width was sensitively responded to the changes of rainfall and air temperature. 4. Among the heavy metals analyzed, the concentrations(ppm) of Lead(Pb) and Copper(Cu) were negatively effected on the growth of annual ring width of pine trees. 5. The analytical technique of annual ring width may be useful for estimation of the pollution in forest areas near industrial complexes.

패턴 인식 방법을 적용한 하천유출의 비선형 예측 (Nonlinear Prediction of Streamflow by Applying Pattern Recognition Method)

  • 강관원;박찬영;김주환
    • 물과 미래
    • /
    • 제25권3호
    • /
    • pp.105-113
    • /
    • 1992
  • 본연구는 홍수기의 일단위 하천유출량을 예측하기 위한 방법으로 인공지능의 구현 모형으로 사용되고 있는 신경회로망이론을 도입하여 실수문계에 적용하고 그 결과를 제시하는 것이다. 강우-유출과정으로 형성되는 수문계의 동적거동을 입출력패턴으로 보아서 모형을 구성하는 유니트의 비선형 응답특성에 따라 네트워크의 상호 결합강도를 조정하여 시스템의 매개변수를 반복추정하는 방법으로 시스템을 특정 평가하였다. 일강우와 일유량의 과거 관측치를 신경회로망 모형의 순전파알고리즘으로 학습시켜 추정된 매개변수를 이용하여 하천유출량을 예측하였고 그 결과를 관측된 유량과 비교하기 위하여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였다.

  • PDF

유수지 배수펌프 운영조작 모형의 개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Operation Models for Storm Water Pumps in Detention Pond)

  • 윤세의;이종태
    • 물과 미래
    • /
    • 제28권6호
    • /
    • pp.203-215
    • /
    • 1995
  • 본 연구는 도시유역에서 내수에 의한 침수를 경감시키기 위하여 유수지 및 빗물펌프장을 운영함에 있어 배수펌프를 효율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모형을 개발, 제시하였다. 유출량을 산정하기 위하여 설계강우의 재현기간을 10, 20, 30년으로 선정하였으며, 유수지로 유입되는 유출수문곡선은 SWMM모형을 이용하여 구하였고, 펌프의 동작확인을 위하여 페트리네트도 (Petri net diagrams)를 사용하였다. 또한 종합평가지표를 이용하여 펌프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평가하였으며, 서울 시내 3개의 유수지에 모형을 적용하여 모형의 적용성을 확인하였다. 설계강우와 실적강우에 대한 수치실험 결과 본 연구에서 제시한 모형 중 모형 3은 기존의 배수펌프 조작모형보다 내수방재 측면에서 우수하였으며, 실시간 펌프운영조작에도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 PDF

기상청 통계자료기반 기후요소에 의한 작업불능일 산정 - 청주지역을 중심으로 - (Estimation of Non Working Day Corresponding to Statistical Data of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 Focused on Cheonju -)

  • 백대현;정웅선;박인범;송승헌;백병훈;한민철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41-145
    • /
    • 2008
  • In this paper, non working day for the construction project in Cheongju region considering weather condition for 30 years from 1971 to 2000 and 10 years from 1991 to 2000 as statistical periods was estimated. In Cheongju region, there was no remarkable difference between them because non working day for outside and half outside work was 157days and for interior work 144days at statistics for 30 years., and utside and half outside work was 159days and for interior work 142days at statistics for 10 years.. However, non working day due to high temperature is slightly increased, and non working day due to cold weather is slightly decreased in the case that the recent statistical data was used caused by global warming. Non working day due to rainfall was 23 days at statistics for 30 years, and it was 28 days at statistics for 10 years.

  • PDF

관개기 곡간지 유역 필지논에서의 비점원오염물질 유출특성 (Characteristics of Non-Point Sources Pollutant Loads at Paddy Plot Located at the Valley Watershed during Irrigation Periods)

  • 한국헌
    • 한국관개배수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94-102
    • /
    • 2011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load of non-point sources pollutant at a paddy plot located at the valley watershed during irrigation period. Irrigation, runoff and water quality data in the paddy plot were analyzed periodically from June 1 to October 31 in 2005. The observed amount of precipitation, irrigation, runoff for the experimental paddy plot during the irrigation period was 1,297.8, 223.2, and 825.4mm, respectively. Total-N concentrations ranged from 3.73 to 18.10mg/L, which was generally higher than the quality standard of agricultural water (1.0mg/L). Total-P concentrations ranged from 0.111 to 0.243mg/L and the average was 0.139mg/L. The observed runoff pollutants loadings from the paddy plot were measured as 34.4 kg/ha for T-N, 1.0 kg/ha for T-P and 213.8 kg/ha for SS. The non-point sources pollutant load in drainage water depends on rainfall and surface drainage water amount from the paddy plot. We are considering that these results were affected by rainfall as well as hydrological condition, soil management, whether or not fertilizer application, cropping, rice straw and plowing.

  • PDF

강우자료 기간에 따른 확률강우량의 시공간적 분석 (Spatiotemporal analysis of the effect of rainfall data periods on probability rainfall)

  • 이문영;안희진;이지완;김규태;정영훈;김성준;엄명진;박대룡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2년도 학술발표회
    • /
    • pp.339-339
    • /
    • 2022
  • 본 연구는 최신 강우 자료를 사용하여 자료의 기간을 네 가지 경우로 나누어 기간별 확률강우량을 산정하고 각 기간에 따른 확률강우량의 변화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2020년을 기준으로 시강우 자료 관측기간이 40년 이상이 되는 62개 국내 강우관측소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지점별 강우자료의 분석 기간은 최근 10년, 20년, 30년, 40년의 경우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기간에 따른 확률강우량은 Gumbel 분포형에 확률가중모멘트법을 적용하여 산정하였고, 이를 연강수량과 함께 공간적으로 분포시킨 결과, 연강수량의 분포에서 나타나지 않는 변화들이 확률강우량의 분포에서 명확히 드러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지속기간의 시간이 증가되고 재현기간이 커질수록 경기 북부와 전라남북도 경계 및 영동지방의 확률강우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최근 40년과 비교하였을 경우, 최근 10년, 20년, 30년 확률강우량의 변화량 결과에서 전라남도 지역은 지속기간 길어질수록 변화 양상이 뚜렷하게 보였으며, 강원도 지역은 최근 10년, 20년 변화량이 상이하게 나타났다. 기간에 따라 확률강우량의 변화량이 크거나 작은 대표 지역들을 선정하여 기간별 확률강우량의 IDF 곡선을 도시하여 비교 및 분석하였다.

  • PDF

천수답 및 수리불안전답에서외 평균수확량 추정에 관한 고찰 -수문학적 방법-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the Average Yields of Rice Under Rainfed and Partially Irrigated Paddy.)

  • ;이근모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001-4008
    • /
    • 1975
  • The economic evaluation of the feasibility of expanding fully irrgated agriculture in the Ogseo project must consider preproject yields of rice under rainfed and partially irrigated paddy cultivation in order to assess incremental incomes from irrigation. Statistical data on yields available from official sources and field surveys conducted in the project area do not specify whether given unit yields refer to actually cropped or potentially cropped lands. This latter factor obviously affects any evaluation of marginal benefits to be derived from irrigation as the extent of rainfed areas actually cropped varies from year to year according to rain fall at the critical growth periods for low land rice. Although less dependent on direct rainfall, yields from partially irrigated lands are also highly affected by seasonal rainfalls. In this paper on attempt has been made to determine average yield under rainfed and partially irrigated conditions by relating yields to a available water. For rainfed paddy cultivation, the analysis discriminates between effects of rain deficiencies during transplanting and subsquent growth periods. For partially irrigated paddy cultivation, seasonal rainfalls have been considered, implying sufficient storage capacity for supplementary irrigation. The average yield of rainfed paddy has been calculated as 2.11 t/ha and that of partially irrigated paddy as 2.8 t/ha. Assuming even division between these two water supply patterns of areas not fully irrigated, a composite yield of 2.46 t/ha is oftained. This figure will be adopted as the basis for the on-going studies and project evaluation.

  • PDF

관개용 댐의 효율적 저수관리를 통한 밭 관개 용수 확보 (Security of Upland Irrigation Water through the Effective Storage Management of Irrigation Dams)

  • 이주용;김선주;김필식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48권2호
    • /
    • pp.13-23
    • /
    • 2006
  • In Korea, upland irrigation generally depends on the ground water or natural rainfall since irrigation water supplied from dams is mainly used for paddy irrigation, and only limited amount of irrigation water is supplied to the upland area. For the stable security of upland irrigation water, storage level of irrigation dams was simulated by the periods. A year was divided into 4 periods considering the irrigation characteristics. Through the periodical management of storage level, water utilization efficiency in irrigation dams could be enhanced and it makes available to secure extra available water from existing dams without new development of water resources. Two study areas, Seongju and Donghwa dam,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Runoff from the watersheds was simulated by the modified tank model and the irrigation water to upland crops was calculated by the Penman-Monteith method. The analyzed results showed that relatively sufficient extra available water could be secured for the main upland crops in Seongju area. In case of Donghwa area, water supply to non-irrigated upland was possible in normal years but extra water was necessary in drought years such as 1998 and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