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illa leaves

검색결과 212건 처리시간 0.022초

Optimization of Extraction Conditions and Comparison of Rosmarinic and Caffeic Acids from Leaves of Perilla frutescens Varieties

  • Lee, Jin-Hwan;Baek, In-Youl;Kang, Nam-Suk;Jung, Chan-Sik;Lee, Myoung-Hee;Park, Keum-Yong;Ha, Tae-Jou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3호
    • /
    • pp.793-798
    • /
    • 2009
  • The objectives of this present study were to compare the contents and determine optimum extraction conditions for the rosmarinic acid (RA) and caffeic acid (CA) from leaves of Korean Perilla frutescens varieties. RA and CA from leaves of cv. Bora, a breeding line of P. frutescens were isolated and elucidated using various spectroscopic data. On the basis of 2 phenolic acids, optimum extraction conditions were obtained by employing 50% EtOH for 60 min at $25^{\circ}C$. We reported for the first time on the contents of RA and CA from leaves of 32 Korean varieties. Among them, leaves of P. frutescens Brit. var. acuta Kudo I exhibited the highest RA content ($8.53{\pm}0.57$ mg/g) and CA content ($2.33{\pm}0.11$ mg/g) showed the highest in the P. frutescens Brit. var. viridis Makino. Interestingly, average RA content ($2.66{\pm}0.17$ mg/g) showed a markedly higher than that of CA ($1.98{\pm}0.16$ mg/g) in Korean varieti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ncentrations of the RA and CA in P. frutescens leaves could be a key factor in the selection process of a high quality species.

자소(紫蘇)의 조직배양에 관한 연구(I) (Studies on Tissue Culture of Perilla frutescens var. acuta(I))

  • 신순희
    • 생약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10-213
    • /
    • 1985
  • Callus was derived from the leaves of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which is commonly cultivated in Korea. It has been found that the light decreased the growth rate of the callus but rather increased the contents of essential oils. The addition of one ppm of 1-naphthyl acetic acid and 5ppm of kinetin in the medium caused the increased production of essential oils.

  • PDF

종실들깨와 잎들깨의 주요 특성 비교 (Comparison of Major Characteristics between Seed Perilla and Vegetable Perilla)

  • 정명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0권spc1호
    • /
    • pp.171-174
    • /
    • 2005
  • 국내에서 육성된 종실용 들깨와 잎들깨 품종을 대상으로 주요특성 및 함유성분을 분석하여 용도별 들깨의 주요특성 차이를 확인한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잎들깨 품종의 평균 개화기는 9월 28일로 종실용 들깨의 평균 개화기 9월 5일보다 약 23일 늦었으며, 경장 및 마디수도 종실들깨보다 낮은 양상을 나타내어 생육상의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2. 종실용 들깨의 평균 천립중, 종실수량 및 기름함량이 잎들깨 품종보다 높은 양상을 나타내어 종실특성은 종실들깨가 우수하였으나, 잎 수량 및 잎 함유 안토시아닌 함량은 잎들깨 품종이 종실들깨 품종보다 각각 1.8배 및 2.1배 높은 양상을 나타내어 잎 특성은 잎들깨 품종이 우수하였다. 3. 종실용 들깨 및 잎들깨 품종의 종실 지방산 조성은 차이가 없었으며, 잎 함유 평균 엽록소 함량은 종실용 들깨가 잎들깨 품종보다 다소 높은 양상을 나타내었다.

들깻잎 추출물의 항돌연변이 및 항산화 효과 (Antimutagenic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Perilla Leaf Extracts)

  • 이경임;이숙희;김정옥;정해영;박건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75-180
    • /
    • 1993
  • 들깻잎의 메탄올 추출물은 Salmonella typhimurium TA98과 TA100균주에서 AFB$_1$, Trp-P-2 및 B(a)P의 돌연변이유발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었으며 이들을 용매로 더 분획 했을 때 수층에서는 효과가 없었지만 헥산획분과 부탄올 획분에서 항돌연변이 효과가 있었다. Lipid peroxidation은 들깻잎의 메탄올 추출물을 첨가하였을 때 억제되었으며 특히 부탄올 획분 첨가시 크게 억제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돌연변이 유발억제 및 항산화 효과가 관찰된 부탄올 획분에서 2-propyl furan, ethanodioate, dibutyl ester, benzaldehyde, 2-methyl-2-ethyl-3-hydroxy-propanoic acid, octahydro-3a-methyl-2H-inden-2-one등이 잠정적으로 동정되었다.

  • PDF

Effectiveness of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AMF) Inoculation on the Growth of Perilla

  • Wee, Chi-Do;Sohn, Bo-Kyoon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08-416
    • /
    • 2010
  •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MF on the growth of horticultural crops, we compared mycorrhizal and non-mycorrhizal plants, perilla (P. frutescens Britt.), that were inoculated with AMF propagules. In the early stages of growth of perilla, compared to the AMF- perilla seedlings, in AMF+ perilla seedlings at 3 weeks after sowing, leaf length and width increased 17% and 29%, leaf area increased 28%, and shoot fresh weight increased 33%, root total length increased 1%, and chlorophyll content increased 3%. Further at 10 weeks after sowing, compared to the AMF- perilla plants, in perilla plants inoculated with AMF at the sowing and transplanting stages, leaf area increased 21% and 19%, shoot length increased 19% and 17%, root fresh weight increased 17% and 20%, and chlorophyll content increased 5.1% and 4.8%, respectively. Moreover, at 14 weeks after sowing, compared to the AMFperilla plants, in perilla plants inoculated with AMF at the sowing and transplanting stages, the number of leaves increased 16% and 20%, root fresh weight increased 16% and 17% significantly. Further, leaf fresh weight increased 9% and 11%, shoot diameter increased 4.5% and 7.3%, and chlorophyll content increased 1.5% and 2.5%, respectively. The levels of many macronutrients and micronutrients were tended to be significantly higher in AMF+ plants than in AMF- plants, supporting the association between AMF and enhanced growth of plants grown from AMF+ seedlings.

들깨류사 종.속 수집 유전자원의 잎품질 및 지방산 조성 (Leaf Quality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Collected Perilla Related Genus and Species Germplasm)

  • 곽태순;이봉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328-333
    • /
    • 1995
  • 들깨관련 종·속 수집 유전자원 들깨(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 Hara), 자소(Perilla frutescens var. acuta Kudo), 축면자소(Perilla frutescens var. crispa Decaisne), 청자소(Perilla frutescens var. Kudo for viridis Makino), 들깨풀(Mosla punctulata Nakai), 산들깨(Mosla japonica Maxim) 및 쥐깨풀(Mosla dianthera Maxim)에 대한 잎품질 및 지방산 조성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수집한 들깨관련 종·속 가운데 Perilla속 유전자원이 Mosla속 유전자원보다 주경엽수가 많았고 길이에서 3배 정도, 폭에서 약 5배 정도 컸었다. 2. 들깨관련 종·속 모든 수집 유전자원이 들깨보다 방향성 정도가 높아 방향성 개량육종의 교배재료로서 활용가치가 기대된다. 3. 잎의 유연성 면에서는 Perilla속 유전자원이 Mosla 속 유전자원보다 부드러웠다. 4. 종실성분함양에서 들깨에 비하여 들깨관련 수집 종·속의 기름과 단백질함량이 낮았으나 리놀렌산 함량이 높아서 공업용 또는 의약용을 위한 고리놀렌산 들깨품종개량의 교배재료로 활용가치가 기대된다. 5. 수집 Perilla속 유전자원의 불포화지방산인 리놀렌산과 기름함량, 단백질함량 그리고 포화지방산과는 부의 상관을 보였다.

  • PDF

인공산성(人工酸性)비에 의한 농작물(農作物) 잎의 조직형태(組織形態) 변화(變化)에 관(關)한 연구(硏究);Ⅰ. 고추, 들깨 및 가지에 관(關)하여 (Study on Histological Perturbations of Crop Leaves after Exposure to Simulated Acid Rain;I. Red pepper, Perilla and Eggplant)

  • 이종식;김복영;최선;이규승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82-288
    • /
    • 1995
  • 고추, 들깨, 가지 등 3개 작물에 pH 2.0, 2.7, 3.0 및 6.0(대조구)의 인공산성비를 10mm씩 2일 간격으로 10회 처리한 후 잎의 피해율과 조직의 변화 그리고 효소 활성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산성비 처리로 작물에 나타난 가시적피해는 고추>들깨>가지의 순 이었으며, 작물의 산성비에 대한 일반적인 피해증상은 잎표면에 나타나는 갈색 또는 백색의 반점이다. 2. pH 3.0의 인공산성비를 처리하여 작물의 잎표면을 전자현미경(SEM)으로 관찰한 결과, 가지를 제외한 고추와 들깨 잎표면의 모용(Trichome)이 변형되었다. 3. pH 2.7 인공산성비 처리로 기공(Stoamta)의 피해가 나타났다. 4. 산성비 처리에 따른 작물의 생리적 특성 변화에서 Peroxidase 활성의 차이를 보였으며, 들깨에서는 1회 처리로 급격한 활성증가를 보였다.

  • PDF

Alternaria alternata에 의한 들깨 잎마름병 (Leaf Blight of Perilla Caused by Alternaria alternata)

  • 차외진;김철승;송주희;김현주;이영병;문병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708-714
    • /
    • 2002
  • 최근 들깨잎 주산지인 부산시 강동지역과 경남 밀양지역 하우스내의 들깨잎에 가장자리가 검게 변하고 마르는 증상을 띄는 병해가 발생되고, 심하면 잎 전체가 고사하는 병이 발생되었다. 이런 병반으로부터 병원성이 강하고 분생포자 형성이 많은 SD1 균주를 분리하여 병원균의 형태 및 배양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PDA 평판배지에서 $25^{\circ}C$, 암조건으로 배양할 경우 균사생장이 가장 왕성하였으며, 분생포자 형성량은 V8A 평판배지에서 가장 많았다. 또한 SD1 균주의 균사생장 적온은 $25^{\circ}C$, 분생포자 형성 적온은 3$0^{\circ}C$였으며, 분생포자 현탁액에 첨가한 영양원에 따른 분생포자 발아율과 발아관의 신장은 10% 토마토쥬스에서 가장 양호하였는데 24시간 후 발아율은 거의 100%였으며, 36시간 후 발아관 길이는 535.2$\mu\textrm{m}$로 PDB보다 1.4배정도 길었다. 또한 SD1 균주의 병원성을 검정한 결과 10% 토마토쥬스를 첨가한 분생포자 현탁액으로 접종할 경우 자연 발병된 병징과 동일하였으며 발병율도 100%로서 PDB 분생포자 현탁액에서는 60%, 살균수에서는 전혀 발병되지 않았다. 본 균주는 균총 형태와 색깔, 광학현미경을 이용한 형태적 특성과 몇 가지 배지 등을 이용한 배양적 특성 및 병원성 검정 결과에 따라 Alternaria alternata로 동정되었으며, 들깨 잎마름병으로 명명하였다.

紫蔬의 채엽시기별 주요 정유성분 함량변화 (Variation in the Major Essential Oils Content under Different Leaf-Picking Time of Perilla frutescens spp.)

  • 이상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314-318
    • /
    • 1997
  • 본 실험에서는 옥동들깨, 적자소, 청자소를 공시하여 적엽시기별로 수증기증류장치를 이용하여 정유성분을 추출하여 GC로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옥동들깨, 적자소, 청자소 정유는 주로 잎과 줄기에 함유하고 있으며, 뿌리에도 정유가 함유되어 있으나 옥동들깨와 청자소의 경우에는 함량이 적으며, 적자소의 경우 옥동들깨와 청자소에 비하여 2배 가량 많이 함유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총정유함량을 기준으로 청자소의 최적 채엽시기는 개화시인 8월 24일 적자소는 개화후인 9월 14일이었다. 3. 최적채엽시기를 perilladehyde를 기준으로 할 경우 청자소의 경우 개화시인 8월 24일이었으며, 적자소는 8월 4일로 나타났다.

  • PDF

깻잎의 엽령 및 저장에 따른 비타민 C와 무기질 함량 (Vitamin C and Mineral Contents in Perilla Leaves by Leaf age and Storage Conditions)

  • 최영희;한재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583-588
    • /
    • 2001
  • 깻잎을 시중에서 구입할 경우 깻잎의 크기에 차이가 있는 것을 15-20매 정도 묶어 다발로 판매한다. 일부러 크기를 골라 구입하거나 먹는 것은 아니지만 엽령에 따라 그리고 저장기간과 저장온도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검토하여 깻잎을 이용하는데 대한 보다 실질적인 정보를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엽령에 따른 비타민 C의 함량은 엽령이 가장 많은 가장 아래쪽 1번 잎이 생물중량 100g당 약 67.3mg 함유되어 있었고 엽령이 어린 가장 위쪽의 6번 잎이 129.0mg 함유되어 있어 엽령이 어릴수록 비타민 C 함량이 많았다. 그러나 깻잎 한장에 대한 비율로 환산하였을 경우는 중간 잎인 4번 잎이 약 1.7mg으로 가장 많았으며 평균값은 1.5mg으로 조사되었다. 2. 엽령에 따른 무기질 함량 중 칼슘과 철분의 함량은 비타민 C와는 반대로 엽령이 많을수록 많이 함유되어 있어 칼슘의 경우 가장 아래쪽의 1번 잎이 생물중량 100g당 약 449.4mg 이었고 가장 위쪽의 6번 잎이 약 311.8mg이었다. 그러나 나트륨, 마그네슘은 엽령이 많을수록 함량이 낮았다. 칼륨의 함량은 엽령과는 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깻잎 한 장에 대한 칼슘함량은 1번 잎의 8.4mg에서 6번 잎의 3.8mg으로 엽령이 많을수록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평균값은 6.2mg으로 조사되었다. 3. 수확당일의 비타민 C 함량은 생물중량 100g당 93.47mg으로 조사되었으며 산화형으로 존재하는 비율이 환원형보다 월등히 높게 나타나 약 73%를 차지하였다. 저장기간과 저장온도에 따른 변화는 5$^{\circ}C$ 저장의 경우 저장 1일째의 잔존율은 약 93%이고,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비타민 C의 함량이 완만하게 감소하여 저장 10일째는 77%정도의 잔존율을 나타내었다. 2$0^{\circ}C$ 저장의 경우도 저장기간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 같지만 저온저장보다 감소율이 커 저장 1일째는 약 86%의 잔존율을 보이다가 저장 10일째는 약 73%로 감소하였다. 4. 칼슘의 경우 5$^{\circ}C$ 저장에서는 생물중량 100g당 348.93~408.81mg, 2$0^{\circ}C$ 저장에서는 360.26~392.25mg 정도 함유되어 있어 10일 정도의 저장기간이나 저장온도에는 그다지 영향이 없었고 다른 무기성분의 경우도 같은 경향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