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icarp

검색결과 202건 처리시간 0.039초

Detection of Alternaria spp. in Carrot Seeds and Effect of the Fungi on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Carrot

  • Kim, Wan-Gyu;MatHur, Suaresh-Behari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2권1호
    • /
    • pp.11-15
    • /
    • 2006
  • Five seed samples of carrot were tested to detect Alternaria spp. by blotter method. A. alternata and A. radicina were detected from all the seed samples as high as $25.8-70.5\%$ and $37.5-63.5\%$, respectively. A. dauci was detected from four seed samples as low as $0.5-7.5\%$. The three Alternaria spp. were detected from the pericarp and the seed coat and endosperm of the carrot seeds but not from the embryo by component plating test. A. alternata and A. radicina were much more detected from the pericarp than the seed coat and endosperm. A. dauci was detected from the pericarp and the seed coat and endosperm at similar rate. The seed sample which was most severely infected with A. radicina showed the lowest rate of germination in the test on top of paper (TP). In the TP test, differences in total infection rate of A. radicina and A. dauci of the seed samples were very closely correlated with those in incidence of seedling rot on the seed samples. However,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infection rate of A. alternata and rate of germination or seedling rot of the seed samples. Soil test for seedling growth revealed that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differences in total infection rate of A. radicina and A. dauci and those in rate of normal seedlings of the seed samples.

Antioxidative Activity and Varietal Difference of Cyanidin 3-glucoside and Peonidin 3-glucoside Contents in Pigmented Rice

  • Ryu, Su-Noh;Han, Sang-Jun;Park, Sun-Zik;Kim, Hong-Yeol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257-260
    • /
    • 2000
  • The content of anthocyanin, cyanidin 3-glucoside (C3G) and the peonidin 3-glucoside (P3G) from 591 rice cultivars and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MeOH extract from 8 rice cultivars were evaluated. Among them, C3G content of pigmented rice were ranged from 0 to 451.9mg in 100 g brown rice, while the P3G contents were in the range from 0 to 42.7mg in 100g brown rice.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C3G and P3G content. Total anthocyanin content ranged from 0 to 475.1mg in 100g brown rice. The antioxidative activity, the scavenging activity on DPPH (2,2-diphenyl-picryl-hydrazyl) radical of MeOH extracts from rice grain, were different according to cultivars. The activity of blockish purple pericarp rice cultivars was twice stronger than that of white pericarp cultivar. Especially,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Heugjinjubyeo was four times stronger than that of white pericarp cultivar. The scavenging effect on DPPH radical in rice extracts was related to the total anthocyanin contents of the extracts.

  • PDF

풋고추의 유통과정중 Vitamin C 함량의 변화 (Studies on the Changes of Vitamin C content in the Hot Green Pepper Fruits during the Circulation Periods)

  • 김상옥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1-45
    • /
    • 198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bserve the changes of Vitamin C content and to preserve the quality for the circulation periods of hot green pepper fruits wrapped with polyethylene film under the indoor temperature, as well as to find the proper time for harvest of hot green pepper fruits as a hot taste food and vegetable. the results obstained were as follows: 1. The consignment rate of hot green pepper fruits was highest, 60.2% on the 25th day after flowering, the nest 25.4% on the 20 th day, 10.3% on the 30th day and 4.1% on the 35th day. 2. the content of Vitamin C I each pepper fruits was highest o the 30th day, considerably high on the 25th day and 20th day. 3. The total content of Vitamin C in each part of hot green pepper fruits; the content in pericarp was much higher than in placenta and seed, and that of hydro type Vitamin C was almost the same. 4. The reduction rate of vitamin C during circulation periods was highest on the 3rd day; 42% in pericarp, 50% in placenta, 65% in seed. But in the package wrapped up with polyethylene film, the reduction rate in the same period was 5% in pericarp, which was very low in reduction, and those in placenta and seed were almost the same as in the unwrapped state.

  • PDF

XVIII. 찰옥수수연구 시설하우스에서 2기작 찰옥수수 교잡종의 주요 생육특성 비교 (XVIII. Study on Waxy Corn Characteristics of corn hybrids on second cropping of using green house)

  • 나웅현;복태규;고혁수;백승우;조양희;이희봉
    • 농업과학연구
    • /
    • 제40권2호
    • /
    • pp.87-91
    • /
    • 2013
  •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the developed corn hybrids were compared at each different planting time; 1st time(April 28) and 2nd time(August 20), respectively. Among traits surveyed, stem height showed highly at 1st time than 2nd, while ear height, stem diameter and ear length were similar at two times. Sugar content of the used hybrids showed highly at 2nd planting time than 1st. Pericarp thickness was also high at 2nd planting time. Especially, among hybrids CNU99 was the highest in stem height and ear length, CNU11 and CNU56 were high in sugar content, and CNU51 and CNU124 were thiner than other hybrids in pericarp thickness. Accordingly, these hybrids will be planted and recognized in 2nd yield trial for superior corn hybrid selection.

석류 과실 부위별 폴리페놀 및 안토시아닌 함량이 항산화 및 항암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olyphenol and anthocyanin contents of Punica granatum fruit parts on their antioxidant and anticancer activities)

  • 박정숙;천상욱;문은우;정철윤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553-559
    • /
    • 2016
  • 고흥산과 캘리포나이산의 석류나무(Punica granatum L.) 과실을 과육, 종자 및 외과피로 분리하여 부위별 총 페놀성 함량, 안토시아닌 함량, DPPH 라디컬 소거능에 대한 항산화 활성 및 항암활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석류과실의 총 페놀성 함량은 외과피>주스>종자 순으로 유의적인 차이로 높게 나타났다. DPPH 라디컬 소거능은 외과피>주스>종자 순으로 높았고, 특히 외과피의 항산화 활성은 vitamin C와 유사한 활성을 보였다. 폐암세포주(Calu-6)에 대한 추출물의 항암활성은 외과피>종자>과육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고흥산 석류 과실 부위별 총 안토시아닌 함량은 외과피>주스>종자 순으로 나타났고, 함유된 주요 안토시아닌은 Cy3,5G로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고 그 다음이 Cy3G,Dp3,5G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총 페놀성 함량과 Calu-6 폐암세포주 활성 간이 $r^2=0.9706$으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총 페놀성 함량과 DPPH 라디컬 소거능 간, DPPH 라디컬 소거능과 Calu-6 폐암세포주 활성 간 순으로 상관계수($r^2$)가 각각 0.8904, 0.8309로 나타나 상호 연관이 있음을 나타냈다.

흑미의 자색종자과피(Purple pericarp) 형질을 결정하는 상보적 유전자 Pb와 Pp 유전자들의 상호관계 분석 (Genetic Analysis of Complementary Gene Interactions of Pb and Pp Genes for the Purple Pericarp Trait in Rice)

  • 이경은;라만 모하마드 모미너;김종배;강상구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98-407
    • /
    • 2018
  • 벼 자색 종자과피(Purple pericarp, Prp) 형질은 주요 생리활성물질인 안토시아닌 C3G 생성에 관여하며 흑미를 결정하는 주요 유전형질이다. Prp 유전형질을 가진 흑미와 종자과피에 색이 없는 벼를 교배할 경우 그 후대는 검정색, 갈색, 백색이 각각 9:3:4로 분리된다. 1921년 Nagai에 의하여 제시된 바 벼 종자 색의 9:3:4 유전분리비로 인하여 벼 Prp 형질은 유전자의 열성상위(recessive epistasis) 현상으로 해석되었다. 그러나 흑미를 결정하는 Prp 형질은 두 개의 상보적 유전자들의 상호관계(complementary gene interaction)에 의한 것이기도 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논란이 발생되는 이유를 설명하기 위하여 두 유전자의 조성이 완전한 이형접합인 Pbpb Pppp 유전자형을 가진 $F_1$ 잡종을 만들었다. 이들의 자손은 진한자색(검정), 중간자색, 갈색, 백색 종자이며 각각 3:6:3:4로 분리되었다. 즉, 검정색, 갈색, 백색의 종자가 각각 9:3:4의 비율로 분리된다. 그러나 생화학적인 분석결과 이들은 안토시아닌 중 cyanidin 3-O-glucoside (C3G)가 축적된 검정색 종자와 C3G가 없는 갈색 또는 백색 종자인 두 개의 집단을 분리되며 정확히 9:7의 분리 비를 갖는다. 이 경우 벼 Prp 형질을 갖는 검정쌀 또는 흑미는 전형적인 상보적 유전자의 상호관계에 의한 유전현상이다. 즉, 흑미의 자색 종피 형질 발현에는 Pb 유전자와 Pp 유전자에서 각각 한 개 이상의 우성대립인자의 발현이 필요하다. 그러나 Pb 유전자만 우성대립인자가 존재하는 Pb_ pppp 유전자형의 벼는 C3G를 생성하지 못하고 갈색 종자과피(Brown pericarp, Brp) 형질을 갖게 된다. 즉 갈색쌀는 우성 Pb 유전자의 우성대립인자에 의하여 결정된다. 그러므로 종피색을 결정하는 Prp 형질의 유전양상은 열성상위 현상으로 보이나 흑미의 결정요소인 안토시아닌 C3G의 함유 여부에 관한 유전분석을 시행하면 9:7의 비율로서 전형적인 두 개의 유전자가 모두 관여하는 상보적 유전현상이다. 유전적 정의는 유전자의 최종산물에 의한 물리적 또는 화학적 결정이다. 그러므로 결론하여 검정 쌀의 주요 생리활성물질인 안토시아닌 C3G 생성에 관한 유전현상은 Pb와 Pp 유전자의 상보적 유전자의 상호에 의한 것이다.

튀김옥수수의 파열방향 및 튀김형태 결정요인 (Popping Mechanism and Shape Moulding Factor of Popcorn)

  • 김선림;박승의;김이훈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98-102
    • /
    • 1995
  • 튀김옥수수의 popping은 거의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고 파열되며 튀김후의 형태도 항상 일정하게 이루어지는 원인을 규명하고자 본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에 앞서 이와 같은 원인이 과피의 선단부와 기부의 두께 차이에 있기 때문이라는 가정을 설정하고 이를 증명하기 위하여 과피를 각 부위별로 제거처리를 하거나 배를 제거후 popping했을 때 나타낸 반응을 검토한 결과로 얻은 튀김옥수수의 파열방향성 및 튀김후의 형태를 결정하는 요인에 대한 해석은 다음과 같다 1. 기부의 과피는 선단부의 과피보다 유의하게 두꺼웠다. 2. 가열로 종실 내부의 수분압력이 한계에 도달하면 과피가 상대적으로 않은 선단부에서 파열이 이루어지는데, 이때 기부의 과피는 선단부 과피를 끌어당겨주므로(bi-metal 원리) 항상 일정한 파열방향 및 튀김형태로 popping 된다. 3. 기부의 과피를 제기하면 선단부의 과피를 끌어 당겨주는 기부의 중심이 상실되기 때문에 불규칙 한 popping이 이루어 진다. 4. 배를 제거하면 무처리와 같이 일정한파열방향성 및 튀김형태는 유지되나 부피는 적었다. 따라서 배는 기부로 방출되는 수분을 차단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5. 선단부 과피 및 전과피를 제거하면 모든 수분의 방출이 허용되어 popping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6. 튀김부피의 변화는 기부과피 제거>무처리>역제거>전과피 제거>선단부 과피제거의 순이었다. 7. 따라서 popping시 일정한 파열방향성 및 튀김형태를 갖게 하는 원인은 선단부와 기부 과피의 두께가 서로 다르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된다.벼 보다는 IR62829A/청청벼 조합이 전당 증가율 및 전분 감소율이 월등히 켰다. 5. 치상후 현미중 a-amylase활성에 있어 1대잡종벼가 양친 및 비교품종보다 활성이 커 잡종강세를 나타내었으며 발아율과 a-amylase 활성과는 고도의 정의 유의상관이 있었다. 6. 파종 10일후 묘의 생육에 있어서도 1대잡종벼가 양친이나 비교품종보다 건물중, 초장 등에서 잡종강세를 나타내었으며 묘의 생육과 a-amylase 활성간에는 유의한 정의상관이 있었다./TEX>, RH 50%)한 벼는 2년반 저장한 벼도 밥맛의 변화가 거의 없었다. 5. 1988년산 및 1989년산 일반계를 10분도와 12분도로 도정하였을 때 도정도에 따른 밥맛의 차이는 없었다.X>$CoO_x$는 $Co_3O_4$로 존재하고, 반응 전의 경우에는 이와는 다른 chemical state를 보여주었다. XRD 및 XPS 결과를 바탕으로, 촉매표면에 존재하는 $Co_3O_4$의 외부표면이 $Co_2TiO_4$$CoTiO_3$ 같은 $CoTiO_x$로 encapsulation되어 있는 모델구조를 제안할 수 있고, 이는 반응시간의 함수로 나타나는 촉매활성에 있어서 전이영역의 존재를 잘 설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XRD와 XPS에서 얻어진 촉매의 물리화학적인 특성을 잘 반영할 수 있다. 나타냈고, 골격근과 눈 조직에서 피루브산에 대한 LDH의 친화력이 상당히 크므로 LDH가 혐기적 조건에서 효율적으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5) and

  • PDF

Anti-HIV and Antihepatotoxic Constituents from Medicinal Plant Resources

  • Park, Jong-Cheol;Park, Ju-Gwon;Hur, Jong-Moon;Hwang, Young-Hee;Jung, Deuk-Young
    • Plant Resources
    • /
    • 제4권3호
    • /
    • pp.196-199
    • /
    • 2001
  • Medicinal plants were screened for the inhibitory effects on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type 1 pretense. Of the extracts tested, the strong inhibitory effects were observed in the acetone extracts of the pericarp of Camellia japonica. Camelliatannin H from the pericarp of C. japonica showed a potent inhibitory activity on HIV-1 pretense. Effects of the extract and compound from leaves of Zanthoxylum piperitum on the enzyme activities were investigated in the liver of bromobenzene-treated rats. The methanol extract and protocatechuic acid isolated from Z. pipetitum reduced the activity of aniline hydroxylase that increased by bromobenzene, while did not affect the activities of aminopyrin N-demethylase and glutathione S-transferase. The extract and protocatechuic acid recovered significantly the activity of epoxide hydrolase decreased by bromobenzene.

  • PDF

Anti-HIV and Antihepatotoxic Constituents from Medicinal Plant Resources

  • Park, Jong-Cheol;Park, Ju-Gwon;Hur, Jong-Moon;Hwang, Young-Hee;Jung, Deuk-Young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01년도 The 8th International Symposium
    • /
    • pp.68-73
    • /
    • 2001
  • Medicinal plants were screened for the inhibitory effects on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type 1 pretense Of the extracts tested, the strong inhibitory effects were observed in the acetone extracts of the pericarp of Camellia japonica. Camelliatannin H from the pericarp of C. japonica showed a potent inhibitory activity on HIV- 1 pretense. Effects of the extract and compound from leaves of Zanthoxylum piperitum on the enzyme activities were investigated in the liver of bromobenzene-treated rats. The methanol extract and protocatechuic acid isolated from Z. piperitum reduced the activity of aniline hydroxylase that increased by bromobenzene, while did not affect the activities of aminopyrin N-demethylase and glutathione S-transferase The extract and protocatechuic acid recovered significantly the activity of epoxide hydrolase decreased by bromobenzen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