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Performance anxiety

검색결과 297건 처리시간 0.028초

초등 예비교사들의 생명영역 탐구 수행 경험이 과학자 이미지와 과학 교수 불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Experiences of Inquiry Performance in the Life Domain on Their Images of a Scientist and Science Teaching Anxiety)

  • 김동렬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9권1호
    • /
    • pp.1-14
    • /
    • 2015
  • 본 연구는 교육대학교에서 1학기 동안 '과학교과교재연구 및 지도법'을 수강한 3학년 예비 초등교사 162명을 대상으로 생명영역 탐구 수행 경험이 과학자에 대한 이미지와 과학 교수 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수업은 3~4명이 한 조로 구성되어 10개의 실험 주제 중 한 주제를 선택하여 직접 탐구한 후 그 결과를 동료 예비교사들 앞에서 발표하는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자에 대한 특성에 대한 견해를 조사한 결과 탐구 수행 경험 전후에 관계없이 과학자를 신중하고, 지적 수준이 우수하며, 창의적이고, 근면하다고 생각한 반면, 예술적이고 종교적이라고 여기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적능력이 우수한, 창의적인, 개방적인, 활발한, 책임감 있는 특성에 대해서는 탐구 수행후 더욱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또한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자 그리기에서 나타난 과학자의 활동 유형은 탐구 수행 후 '실험활동'이 가장 많이 증가하였으며, 활동장소로는 활동유형과 관련된 '실험실'이 가장 많았다. 이이서 초등 예비 교사들의 탐구 수행 경험 전후의 과학 교수 불안을 확인해 본 결과, 과학지식, 탐구 수업 준비, 탐구 수업 운영,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탐구 경험이 과학 교수에 대한 자신감을 갖게 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 PDF

폐암 환자의 활동상태, 불안, 우울, 사회적 지지, 증상경험과 기능적 상태의 관계: 불쾌감이론 기반으로 (Relationships among Activity Status, Anxiety, Depression, Social Support, Symptom Experience, and Functional Status in Lung Cancer Patients based on the Theory of Unpleasant Symptoms)

  • 김금순;이명선;방경숙;조용애;이정림;이은
    •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 /
    • 제10권2호
    • /
    • pp.87-96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of activity status, anxiety, depression, social support, symptom experience, and functional status in patients with lung cancer based on the theory of unpleasant symptoms. Methods: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101 lung cancer patients who visited the out-patient department for treatment or follow-up at one hospital in Seoul. Data were collected from January 1 to February 8, 2013 us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s and clinical records. To measure variables, the functional scale and symptom scale of the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EORTC)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Core 30, EORTC QLQ-Lung Cancer 13, 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 Performance Status,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and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were us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9.0 software for Windows. Results: The symptom experience showed more severity in patients with lower activity status, higher anxiety and depression. With lower activity status and social support, functional status was lower. When anxiety, depression, and symptom experience were higher, functional status was also lower. The significant factors predicting symptom experience were depression, anxiety, activity status, and social support, which explained 57.8% of the variance.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anxiety and depression had a negative influence on the symptom experience of lung cancer patients. Therefore, providing emotional support based on the patients' needs prior to providing symptom management could be a useful strategy for improving symptom experience and functional status.

  • PDF

첫 현장실습을 앞둔 치위생과 재학생의 불안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Anxiety of Dental Hygiene students on the First field Practice)

  • 김명은;김희경;김선일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8호
    • /
    • pp.137-144
    • /
    • 2022
  • 본 연구는 일부 치위생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불안의 정도를 파악하고 학과 만족도 및 실습기대감과의 연관성을 확인해 봄으로써 첫 현장실습을 앞 둔 학생들의 심리적 관리 방향에 대한 기초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첫 현장실습을 앞둔 치위생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최종분석대상자는 135명이며 일반적 특성, 상태불안, 학과 만족도, 현장실습 기대감, 사전교육 만족도를 조사하였고 평균과 표준편차, 일원배치 분산분석, 다중선형 회귀분석방법을 통해 통계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직전학기 성적 하위 군에서 불안수준이 높았고, 불안수준이 낮은 군에서 학과만족도와 사전교육 만족도가 높았다. 상관분석 결과 학과만족도, 현장실습기대감, 사전교육 만족도와 상태불안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실습기대감이 높을수록 상태불안이 낮아지며 실습기대감이 낮을수록 상태불안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현장실습 전 상태불안 수준을 낮추고 임상실습 기대감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Security관련 종사자의 무도수련이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racticing Martial Art upon job Performance of Employees Engaged in Security Industry)

  • 이상철;신상민
    • 시큐리티연구
    • /
    • 제4호
    • /
    • pp.257-277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ffects of practicing martial arts upon job performance of employees engaged in security industry. For positive investigation, 400 employees were questioned using some questionnaires; as a result, we obtained the following conclusion of the relation between the extent of the practicing martial art and the ability of performing their jobs. First, the more they practice martial art, the better and higher their mental health and psychological stability more than control group. Especially, when crime is reported to them or they arrest a criminal taken in an act of crime, the degree of their anxiety was low and they strongly expose self-confidence, their view of moral achievement and their sense of morality. Second, the more they practice martial art, the higher their ability of arrestment a criminal in an act and self-defense is. Because practicing martial art make their vital power and physical strength promoted. Third, the more they practice martial art, the more sincere the trust and friendship among colleagues are. As well they seem to feel strong solidarity oneanother. But practicing martial art appeared that it doesnt have an effect on coping with complications among generations and the gaps between master sergeant and them. Fourth, employees engaged in security industry practicing martial art is not only used in job performance merely as a technique; it is also effective on the mind that it make their anxiety dissolved and give them self-confidence.

  • PDF

산후 건강회복에 대한 비교 연구 : 미숙아 출산모와 만삭아 출산모 (Postpartum Health: A comparison of Mothers with Preterm Infants and Mothers with Fullterm Infants)

  • 안숙희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7-19
    • /
    • 2002
  • This study was to compare mother's postpartum physical health, mental health, and role performance between mothers with fullterm infants and preterm infants over 3 months postpartum period. The study used a correlational and longitudinal design and was secondary data analysis from a large study. A convenience sample of 132 mothers who had fullterm and preterm infants was followed up for 3 times (postpartum 1-2 days, 6 weeks, and 3 months) during the first 3 months postpartum period. Postpartum physical health was assessed by level of fatigue in the morning and in the afternoon, and number of physical symptoms. Postpartum mental health was assessed by positive affect, anxiety, and depression; and postpartum role performance was measured by role functional status. Mothers with preterm infants experienced higher levels of fatigue in the morning, lower positive affect, higher anxiety and higher depression over 3 data collection time points, compared to mothers with fullterm infants. Mothers with preterm infants also resumed lesser self-care activity and social and community activity than the counterparts. It implies that some aspects of preterm birth and caring for preterm infants continue to negatively affect the mother's health outcomes during the postpartum period.

  • PDF

정신질환자간호 시뮬레이션교육이 간호학생의 임상실습에 대한 불안과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Psychiatric Nursing Simulation on Anxiety and Self-confidence about Clinical Placement of Nursing Students)

  • 한종숙;백희정;정안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7812-7819
    • /
    • 2015
  • 간호학생들은 정신질환 및 정신질환자간호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부족으로 환자와의 관계형성에 대한 불안과 두려움을 갖게 된다. 시뮬레이션교육은 임상상황과 유사한 비위협적인 환경에서 수행되므로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표준화환자를 활용한 시뮬레이션교육이 정신건강간호학 임상실습에 대한 불안과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에 의한 유사실험연구이다. 연구대상은 3년제 간호대학에 재학 중인 3학년 학생으로 실험군(N=28)은 조현병환자 시나리오로 표준화환자를 활용한 시뮬레이션교육을 실시하고, 대조군(N=18)은 실험군과 같은 내용의 사례를 적용한 토론교육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를 산출하고 비교검증을 위해 t-test와 ANCOVA를 하였다. 연구결과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정신건강간호학 임상실습에 대한 불안점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자신감은 군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임상실습 전에 수행한 시뮬레이션교육은 간호학생의 정신건강간호학 임상실습에 대한 불안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 학습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고 사회 불안 성인의 위협 자극에 대한 주의 및 기억 편향 (Attention and Memory Bias to threatened stimuli in Individuals with High Social Anxiety)

  • 박진아;김소연
    • 감성과학
    • /
    • 제27권2호
    • /
    • pp.113-126
    • /
    • 2024
  • 사회 불안 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사회적 맥락에서 위협적인 자극에 대한 주의 편향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다. 최근 연구들에서 이러한 주의 편향은 비교적 일관되게 보고되는 반면, 위협 자극에 대한 기억 편향에 대한 연구는 드물며 그 결과 또한 혼재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 사회불안 개인의 위협 자극에 대한 주의 편향 및 기억 편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고 사회불안(HSA) 그룹 19명과 저 사회불안(LSA) 20명이 모집되었으며, 참가자들은 위협에 대한 주의 편향을 측정하는 연속 주의 과제를 수행하였다. 주의 과제 후, 참가자들은 이전 주의 과제에서 사용된 방해자극을 사용한 예기치 못한 기억 과제를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HSA 집단과 LSA 집단 모두 방해자극인 정서적 얼굴에 대한 초기 주의 편향이 나타났다. 그러나, 분노 얼굴 자극에 대한 주의 유지 현상은 HSA 집단에게서만 발견되었다. 또한, HSA 집단은 기억 과제에서도 분노 얼굴에 대해 기억 편향을 나타냈다. 반면, LSA 집단의 경우 긍정정서인 행복 얼굴에 대한 후기 주의 편향이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부정적 자극에 대한 과도한 편향과 긍정적 자극에 대한 편향의 부재가 사회 불안 장애의 유지 및 심각성 등 병태 생리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Factors Associated with Suicide Risk in Advanced Cancer Patients: A Cross-Sectional Study

  • Park, Sun A;Chung, Seung Hyun;Lee, Youngji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11호
    • /
    • pp.4831-4836
    • /
    • 2016
  • The study aimed to find out to what degree suicidal thoughts and associated factors affect the suicide risk of advanced cancer patients. The frequency of suicidal thoughts among patients with cancer, especially in the advanced stages, is about 3 times greater than the adult average in South Korea. We recruited 457 participants with four types of cancers (colon, breast, cervical, and lung) using stratified sampling. Data collection was carried out through one-on-one interviews by trained nurses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Advanced cancer patients with high, vs. low, levels of anxiety and pain had a higher suicide risk. In contrast, having one's spouse as the primary care provider was associated with a low suicide risk. Overall, the three factors of anxiety, pain, and the primary caregiver being one's spouse explained 17.2% of the variance in suicide risk. In conclusion, we derived influencing factors of suicide risk using a sample of patients with various types of advanced cancer. The results provide systematic baseline data for preparing nurse-led interventions to prevent suicidal thoughts and suicide attempts among advanced cancer patients.

한국 대학생의 영어 의사소통 긴장감 연구 (Exploring the nature of communication anxiety in English among Korean EFL undergraduates)

  • 김성중
    • 영어어문교육
    • /
    • 제13권4호
    • /
    • pp.211-231
    • /
    • 2007
  • Communication anxiety (CA) in L2 has been identified as one of the important predictors of determining success in the attainment of L2 communication competence. L2 professionals have attempted to explicate its nature in L2, but seemingly failed to achieve the goal. This is probably because they have tended to rely on studies dependent on the use of surveys, which are usually constructed on the basis of their own perspectives rather than L2 students' on CA. To solve this problem, some L2 professionals have utilized diverse research methods that can gather opinions directly from L2 students who are the main constituent in L2 learning; regretfully, they have barely listened to L2 students' voices about controlling CA in L2. This descriptive study explored the nature of CA and the way of controlling it by analyzing data from 57 Korean EFL undergraduates who voluntarily responded to the oral interview quest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pointed out that CA in L2 negatively influenced L2 performance. However, it seemed to have the potential to promote L2 learning. Provided are some important implications that can assist L2 teachers to help their students control CA by maximizing the positive nature of CA.

  • PDF

그룹 활동 프로그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활동 수행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roup Programs on Social Interaction and Satisfaction of Performance Activities in Chronic Stroke)

  • 최지현;박아름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573-581
    • /
    • 2019
  • 본 연구는 그룹 활동 프로그램이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만성 뇌졸중 환자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활동 수행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만성뇌졸중 환자 8명을 대상으로 주 1회 60분씩 40주 동안 그룹작업치료를 진행하였으며, 프로그램은 구성원들 간의 상호작용을 유도하는 대근육, 소근육, 인지활동으로 구성되었다. 결과 측정은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척도(SIAS)과 캐나다작업수행(COPM)을 사용하여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중재 후 프로그램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그룹 활동 후 대상자들의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정도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감소가 확인되었으며, 활동 수행 능력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향상이 확인되었다. 또한 대상자 모두 중재 이후 프로그램에 대한 긍정적인 만족도를 보였다.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만성뇌졸중 환자에게 지역사회에서 제공하는 그룹 활동 프로그램은 지역사회 구성원들과 상호작용을 수행하며, 대상자들의 과제 수행력을 높여 의미 있는 삶을 구상함에 긍정적인 접근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