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formance anlysis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7초

정적해석에 의한 학교 체육관의 내진 성능 평가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of a School Gymnasium Using Static Anlysis)

  • Morooka, Shigehiro;Tsuda, Seita;Ohsaki, Makoto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9권4호
    • /
    • pp.49-59
    • /
    • 2009
  • 학교체육관과 같은 소규모 공간구조물의 지진응답은 본래 지진동에 대한 동적응답을 시각이력해석에 의해 검증해야 하지만 통상은 정적해석에 의해 평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 체육관의 내진성능평가를 가능하게 하는 정적해석의 진행수순을 나타내기로 한다. 지진하중은 2개의 성능 레벨 즉, 일본의 건축기준법에 정의되어 있는 레벨 1과 2에 대응하는 등가인 정적하중으로 근사한다. 또한, 재하 패턴으로서 고유모드형을 사용하는 것에 대한 중요성을 논의하고, 정적해석의 간단한 순서에 의해 최대연직방향가속도를 평가할수 있는 것을 나타낸다. 아울러, 레벨 2의 입력에 의한 정적해석은 동적해석으로 얻어진 응답치를 과소평가하지만, 일본의 중층구조에 사용되는 "극한내력계산법"에 근사한 등가선형차 기법에 의해 레벨 2의 입력에 대한 탄소성응답이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고자 한다.

  • PDF

정부지원 공연예술행사 평가의 후광효과: 지역대표공연예술제 성과관리 체계를 중심으로 (Halo Effect in Evaluating Government Funded Art Programs: The Case of Local Representative Performing Art Festivals)

  • 조문석;오재록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8호
    • /
    • pp.123-133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문화예술행사 평가 과정에서 제기되는 평가 오류의 문제 중 하나인 후광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문제점을 진단하고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2014년과 2015년 진행된 107개 지역대표공연예술제 평가 결과를 대상으로 3개 평가 영역, 15개 평가지표의 평가 결과에 대한 상관관계분석, 요인분석, 회귀분석을 통해 후광효과를 진단하였다. 분석 결과 평가지표 간의 상관계수의 평균은 2014년 0.676, 2015년 0.584로 나타났으며, 요인구조와 평가 영역은 일치하지 않았다. 회귀분석 결과 타 영역의 평가점수와 표준편차는 기획, 집행, 결과영역의 평가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평가결과의 왜곡은 평가의 신뢰성과 수용성을 낮추므로 합리적이고 객관적 평가를 위해 평가기준의 정교화, 평가지표별 평가자 다양화, 평가자 대상 사전교육, 메타평가의 실행을 통해 후광효과를 통제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구와 원환체를 이용한 에어백의 모델링 및 비정상위치시의 승객 거동 해석 (A New Airbag Modeling Using a Sphere and a Torus and the Occupant Analysis in the Out-of-position)

  • 임재문;김창환;박경진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4권1호
    • /
    • pp.96-109
    • /
    • 1996
  • The airbag system is known to be extremely efficient for the protection in an automobile crash. The performance of the airbag system is evaluated by real tests. However, the test is very difficult and expensive. Therefore, the computational simulations are carried out with low cost. The airbag analysis is included in the anlysis of the full-car crashworthiness. The behavior of the airbag can be predicted by a thermodynamic analysis. The contact force between the occupant and the airbag is calculated from the contact volume and the pressure in the airbag. The injury rate is evaluated from the contact force and the acceleration of dummies. So far, the contact is defined after the airgag is fully inflated. In many cases, the occupant is seated in the out-of-position and the contact can happen during the inflation process. A new algorithm has been developed for the out-of-position. To describe the inflation process precisely, the airbag is defined by a sphere and a torus. The injury is evaluated for the contact happened at any time. The developed algorithm is coded and interfaced with an existing software in the public domain. The full-car modeling is adopted from the previous study which is tuned for the regular position and real tests. Numerical experimentation have been carried out with a couple of dummies in the out-of-position and the injury processes are analyzed.

  • PDF

WACFI: 웹 어셈블리에서의 간접호출 명령어 보호를 위한 코드 계측 기술 (WACFI: Code Instrumentation Technique for Protection of Indirect Call in WebAssembly)

  • 장윤수;김영주;권동현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31권4호
    • /
    • pp.753-762
    • /
    • 2021
  • 웹 어셈블리는 웹 환경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어 형식을 일컫는다. 최근 웹 어셈블리의 성능적인 우수함 때문에 다양한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웹 어셈블리가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본 논문에서는 보안 관점에서 웹 어셈블리의 간접호출 명령어에 대한 보호 기능에 취약한 부분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이에 이러한 웹 어셈블리에서의 간접호출 명령어의 보호를 위한 코드 계측 기술인 WACFI를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WACFI에서는 소스 코드 분석을 통해 얻은 정보를 활용해 웹 어셈블리 코드를 수정하여 웹 어셈블리의 간접호출 명령어 보호 기능을 강화하였다. 우리의 실험결과에 따르면 WACFI는 단지 약 2.75%의 성능 부하만으로 이러한 보안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유도전동기 드라이브의 제어를 위한 자기동조 및 적응 퍼지제어기 개발 (Development of Self Tuning and Adaptive Fuzzy Controller to control of Induction Motor)

  • 고재섭;최정식;정동화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4권4호
    • /
    • pp.33-42
    • /
    • 2010
  • 벡터제어를 적용한 유도전동기 드라이브는 고성능 제어를 위하여 산업 적용분야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유도전동기의 모델은 비선형이고 복잡하기 때문에 포화, 온도변화, 외란 및 파라미터 변동등에 의해 성능 및 신뢰성이 저하된다. 이러한 가변속 드라이브를 제어하기 위하여 종래의 PI와 같은 제어기들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어졌다. 이러한 제어기들은 이상적인 벡터제어 상태에서도 광범위한 동작영역에서 양호한 성능을 나타내는데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논문은 퍼지제어, 신경회로망, 적응 퍼지제어로 구성된 FNN(Fuzzy-Neural Network)-PI 제어기 기반 자기동조 PI 제어기와 ANN을 이용한 속도추정을 제시한다. FNN-PI, AFC, ANN 제어기를 이용한 제어 알고리즘은 유도전동기 드라이브 시스템에 적용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고 제어기의 효용성을 입증한다.

16-QAM 신호에 대한 CCA 적응 등화 알고리즘 성능 분석 (The Performance Analysis of CCA Adaptive Equalization Algorithm for 16-QAM Signal)

  • 임승각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27-34
    • /
    • 2013
  • 본 논문은 시분산 통신 채널에서 부호간 간섭을 수신측에서 경감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CCA (Compact Constellation Algorithm) 적응 등화 알고리즘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이 알고리즘은 기본적으로 CMA 등화기의 위상 미복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등장하였으며 DDA(Decision Directed Algorithm)와 RCA(Reduced Constellation Algorithm)의 개념을 조합하였다. DDA는 단일 레벨 신호에 대해서는 안정된 수렴 특성을 갖지만 다중 레벨의 수가 큰 QAM 신호에 대해서는 매우 불안한 문제점을 가지며, RCA는 초기 수렴 상태가 보장되지 않거나, 수렴후 안정 상태에서 misadjustment에 의한 등화 잡음이 DDA보다 큰 문제점이 있으므로, 이와 같은 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CCA 적응 등화 알고리즘이 등장하였다. CCA 적응 등화 알고리즘의 성능 분석을 위하여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위해 수신측에서의 등화기 출력 신호인 복원된 신호 성상도, 잔류 isi와 MD (Maximum Distortion) 곡선에 의한 수렴 특성 및 SER (Symbol Error Rate) 성능을 DDA, RCA와 비교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모든 성능 지수에서 DDA가 가장 우월하였지만 수렴이 보장되지 않으며, 멀티 레벨 신호에서의 불안정성이 있으므로 이를 해결할 수 있는 CCA가 RCA보다 우월한 성능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Anti-Inflammatory Properties of Flavone di-C-Glycosides as Active Principles of Camellia Mistletoe, Korthalsella japonica

  • Kim, Min Kyoung;Yun, Kwang Jun;Lim, Da Hae;Kim, Jinju;Jang, Young Pyo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4권6호
    • /
    • pp.630-637
    • /
    • 2016
  • The chemical components and biological activity of Camellia mistletoe, Korthalsella japonica (Loranthaceae) are relatively unknown compared to other mistletoe species. Therefore, we investigated the phytochemical properties and biological activity of this parasitic plant to provide essential preliminary scientific evidence to support and encourage its further pharmaceutical research and development. The major plant components were chromatographically isolated us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nd their structures were elucidated using tandem mass spectrometry and nuclear magnetic resonance anlysis. Furthermore,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the 70% ethanol extract of K. japonica (KJ) and its isolated components was evaluated using a nitric oxide (NO) assay and western blot analysis for inducible NO synthase (iNOS) and cyclooxygenase (COX)-2. Three flavone di-C-glycosides, lucenin-2, vicenin-2, and stellarin-2 were identified as major components of KJ, for the first time. KJ significantly inhibited NO production and reduced iNOS and COX-2 expression in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RAW 264.7 cells at $100{\mu}g/mL$ while similar activity were observed with isolated flavone C-glycosides. In conclusion, KJ has a simple secondary metabolite profiles including flavone di-C-glycosides as major components and has a strong potential for further research and development as a source of therapeutic anti-inflammatory agents.

구속응력을 받는 콘크리트 구조물 해석을 위한 콘크리트 구성모델 (A Concrete Model for Analysis of Concrete Structure with Confinement)

  • 권민호;조창근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433-442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단조하중, 반복하중, 비례하중, 비례하지 않는 하중을 받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3차원 유한요소해석을 위한 비선형 아소성 콘크리트 모델을 개발하였다. 이 구성모델은 등가일축변형률 개념을 기초로 하여 3차원 구성관계를 세 개의 서로 독립된 등가일축 구성관계로 바꾸고 이들 통하여 콘크리트의 거동을 예측하도록 모델되었다. 일축 구성관계는 Willam-Warnke의 파괴면을 이용하여 주응력공간에서 구해진 최대 압축응력으로부터 결정되었다. 특히 중수압축을 따라 재하되는 하중에 대한 콘크리트의 비선형 특성을 예측하기 위하여 파괴면에 캡면을 도입하였다. 일축 구성관계는 Popovis와 Saenz의 모델을 근거로 하여 구속응력이 증가함에 따라 취성에서 연성으로 변화하는 현상을 묘사할 수 있도록 새롭게 유도하였다. 개발된 모델을 모델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여러 실험결과와의 비교를 시도하였다. 먼저 일정한 구속응력과 단조하중을 받는 실험결과와 비교하였고, 이축압축실험과 비례하지 않는 하중과 반복하중을 받는 삼축압축 실험결과와 비교하였다.

유기 및 유기재료로 보수된 R/C 보의 휨 피로거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lexural Fatigue Behavior of R/C Beams Repaired with Concrete-Polymer Composites)

  • 심종성;황의승;배인환;이은호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7권6호
    • /
    • pp.233-241
    • /
    • 1995
  • 본 논문에서는 인장부위가 결손된 철근콘크리트 단순보를 제작하여 유기계 보수재료로서 폴리머계(에폭시, 폴리에스터), 유.무기 혼합 보수재료로서 폴리머-시멘트계(라텍스, 프리믹스), 그리고 부기계 보수재료로서 시멘트계(그라우트)등으로 주입 또는 팻칭의 방법으로 보수한 시험체에 대해 피로실험을 수행하였다. 피로실험은 3점 휨 실험법으로 실시하였으며, 실험시 각 시험체의 하중반복횟수에 대한 보수재의 부착성능, 중앙처짐과 피로파괴시의 반복횟수를 조사하였다. 이들 실험결과를 토대로 반복횟수에 대한 각 보수시험체의 균열 및 파괴양상, 중앙처짐 등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피로강도를 예측하기 위한 S-N선도를 작도하였다. 연구결과, 콘크리트 모체와 보수재와의 부착성능은 폴리머계로 보수한 시험체가 가장 우수하였고, 폴리머-시멘트계 및 시멘트계로 보수한 시험체의 경우는 보수 접합면을 따라 균열이 진전되었다. 반복횟수에 대한 보수시험체의 중앙처짐은 사용하중 상태인 응력수준 60%에서는 모든 보수시험체가 무보수시험체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나 응력수준이 증가할수록 폴리머-시멘트계로 보수한 시험체만이 무보수시험체와 가장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본 피로실험 결과를 회귀분석하여 구한 S-N선도에 의하면 콘크리트 모체와 유사한 재료적 특성을 지닌 폴리머-시멘트계로 보수한 시험체가 무보수 시험체의 피로특성과 가장 유사한 것으로 드러났다.

상업용 정밀여과/한외여과막의 특성 분석 및 해수 여과 성능 평가 (Characterization and Seawater Filtration Performance of Commerical Microfiltration and Ultrafiltration Membranes)

  • 최창규;김인수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9권9호
    • /
    • pp.542-547
    • /
    • 2017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상용화된 3 종류의 친수성 정밀여과막/한외여과막을 대상으로 막의 특성분석 및 해수 여과 성능 평가를 수행하였다. 접촉각 측정 결과에서는 PAN 재질인 Mem-3가 가장 친수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장기간 운전 시 유기성 오염 물질에 가장 내오염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FESEM 측정결과에서는 PE 재질인 Mem-1과 PVDF 재질인 Mem-2는 sponge 형태의 단면을 보였으며, PAN 재질인 Mem-3는 finger 형태의 단면을 나타냈다. EDS에 의한 막의 원소분석 결과에서 Mem-2는 Fluoride가 대부분이었고 Mem-3는 PAN이 Nitrile기로 인해 N이 32.47%의 높은 구성 비율을 보였다. D.I. water를 이용한 투과수량 분석은 압력 증가 시 Mem-3의 투과수량이 다른 막에 비해 큰 폭으로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탁도 및 부유물질 제거 실험은 모든 막에서 유출수의 탁도는 0.191-0.406 NTU, TSS는 2.2-3.0 mg/L 사이의 투과수질을 보여 단기간 실험으로부터 해수담수화 전처리용으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