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formance Art/Exhibition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17초

복합기능을 수용하는 소규모 및 극소규모 미술관의 단위전시공간 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position of the Exhibition space unit in the Minimum Art Museum and Small Art Museum Admitting Multifunction)

  • 문정민;안우진;고성룡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9호
    • /
    • pp.181-187
    • /
    • 2001
  • The art museum plays a role as a cultural space that can solve the cultural desire of people and see a good art works. It is in exhibition space that they personally exchange the feeling between an art work and a viewer in art museum. The types and works - a fiber, a photo, an establishment that needs many places, devices, a video art, and an action art called "performance", cultural art - are shown in small art museum. Moreover, exhibition spaces are modified into the space of another art activities like dancing, music concerts in small art museum because it has no profit space for diverse art activities. And the exhibition the characters of the exhibition space in small art museum. So, it needs to change the characters of the exhibition space in small art museum. Under these background, this stud\ulcorner surveys and analyzes the exhibits, the organization methods, the modified conditions, and the scale of the existing exhibitional space in small art museum. Therefore,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composition of the exhibition space unit considering the function and the multifunction in minimum art museum and small art museum.

  • PDF

<수궁가> 공연을 활용한 공연예술박물관 어린이 체험전시 사례 분석 (Analyzes the case of Performing Arts Museum of the children's experience exhibition in relation to the performance)

  • 하을란
    • 공연문화연구
    • /
    • 제36호
    • /
    • pp.473-504
    • /
    • 2018
  • 이 글은 국립극장 공연예술박물관에서 <수궁가> 공연을 활용하여 어린이를 대상으로 기획한 체험전시 사례를 분석한 것이다.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전시나 교육프로그램에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부분은 어린이가 프로그램의 진행 '대상'이 아닌 '주체'로서 그 내용 안에서 스스로 사고할 수 있는 힘을 기를 수 있도록 소통 가능한 방식의 프로그램이어야 한다. 이 글은 이러한 점을 염두에 두고 <수궁가> 공연을 전시에 연계하여 공연무대를 만드는 요소 중에서 '분장'이라는 부분을 체험으로 풀어냈던 전시사례를 분석한 것으로 그 사례를 소개하고 공유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이 전시의 주제가 됐던 <수궁가> 공연이 어떻게 전시로 활용되어 어떤 체험내용으로 구성되었는지 그 사례를 살펴보고, 공연과 연계한 어린이 체험 전시의 더 나은 방향에 대해 고민해보는 계기를 마련해보고자 하였다.

Hamlet's (Un)manly Grief: the Cult of the Past in the Age of Theatrical Power

  • Choi, Jaemin
    • 영미문화
    • /
    • 제17권1호
    • /
    • pp.163-189
    • /
    • 2017
  • The mourning and grief practice richly registered in Shakespeare's Hamlet is one of the abiding themes that critics have been fascinated with. This paper attempts to take a fresh look at the issue by building its arguments on Benjamin's insight that the modern art (mechanically) reproducing the exhibition value brings about the destruction of the ritual value and favors the conditions of melancholy. Instead of taking for granted that Hamlet's performance of grief is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those of other characters such as Gertrude, Ophelia, and Laertes, this paper argues that Hamlet's performance comes to be recognized masculine and different from others, only because he presents himself to be so through his theatrical performance as well as his princely power that the subjects (others in the story) ought to ascribe to. To prove this point, this paper closely analyzes Hamlet's rhetorics and the ways he constructs his mourning self, which is emblematic of the shift in art history that Benjamin has characterized with the terms of "ritual value" and "exhibition value." In conclusion, this paper suggests that Shakespeare's Hamlet marks the change of the historical horizon, a permanent removal from the past in which the ritual value had been once protected, pushing us to a new age to live with melancholy and the disconnection from things and their muted language.

자연사박물관의 전시매체유형 및 연출기법에 관한 고찰 - 국내자연사박물관사례를 중심으로 - (Study on their Presentation Types and Exhibition Methods in National History Museum - Focused on National History Museum In Korea -)

  • 이종숙;김경미;유동림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131-138
    • /
    • 2006
  • This paper compares presentation methods which are characteristic among museums of natural history in Korea. The different medium for exhibitions are divided into Specimen, Model or Panel Type Displays, Video Presentations, Sound, and Tactile Exhibits, and further classified as Fixed (A Type), Observable (B Type), or Performance Art (C Type) Displays. The museums we studied were the Seodaemun Museum of Natural History, Ewha Womans University Museum of Natural History, Seoul National Science Museum, Gyeryongsan Natural History Museum, the National Science Museum, Mokpo Natural History Museum, and the JejuDo Folklore and Natural History Museum. A study of these museums' approaches to display composition, and exhibition methods according to their exhibit types and contents, revealed the following results: The museums of natural history rely more on Fixed type displays to show information, with appropriate uses of the Observable and the Performance Art type exhibitions. Better utilization of appropriate medium is desired for display contents of Astronomy Space Earth, Minerals Rocks Geology, Animals, Plants, Insects, Prehistoric Organisms Environment, and Anthropology.

전시디자인의 변천과정과 요인에 관한 연구 - 독립기념관의 시기별 전시변화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ransition Process and factor of Exhibition Design - Based on the Exhibition's Transition in the Independence Hall -)

  • 권순관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5권5호
    • /
    • pp.265-272
    • /
    • 2006
  • Traditionally exhibition design as been restricted to architectural, interior, and lighting design, but recently it has begun to overlap into environmental, performance, and installation art. Exhibition design also increasingly involves the application of film, fashion, and the new media. In the past, exhibits were arranged and displayed for the visitor to view directly, but with the development of more effective exhibit media a connection has been created between the exhibit and the visitor. However exhibition design has reached the limits of continuous growth without background theory, when now it must take Into consideration the museum's activation and the importance of the exhibition's design. Exhibition design has developed and grown rapidly since the Taejeon Expo in 1993, but it is a difficult development without a theoretical structure. The flow of exhibition design must be systemized, as the systemization of the transition process of exhibition design has not yet been achieved. This study aims to present an arrangement of exhibition design flow, and to investigate the variation factors in the transition process of exhibition design and exhibit medium development, based on the 18 year history of the Independence Hall that introduced the first systematic planning of an exhibition in 1987.

Eclipse기반 GMF 기법을 이용한 미디어 아트 콘텐츠 저작도구 개발 (Development of the Media Art Contents Authoring Tool Using Eclipse-based GMF Technique)

  • 곽재호;박송림;김회율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13-125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미디어 아트 콘텐츠 저작도구인 ECAS(Exhibition Contents Authoring System)와 그 개발 방법을 소개한다. ECAS는 기존의 저작도구가 가진 텍스트 기반의 프로그래밍 방식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효율적인 구현을 위해 Eclipse가 제공하는 GMF(Graphical Modeling Framework) 기법을 사용하였다. ECAS의 속도 및 성능 향상을 위해 SWT(Standard Widget Toolkit), JIT(Just-In-Time)와 같은 속도 향상 기법들을 활용하였다. 얼굴 검출 기능, 사운드 효과 기능, 하드웨어 연동 기능 등의 주요 기능들을 중심으로 기존의 저작도구와 작품 구현 비교를 통해 ECAS의 편리성과 효율성을 보였다.

보상프로그램의 가치가 충성도 강화 및 전이에 미치는 영향 -공연예술/전시장의 고객보상프로그램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Value of Reward Program on Loyalty Strengthening and Transference -Focusing on Reward Program of Performance Art/Exhibition-)

  • 서혜연;김향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760-770
    • /
    • 2016
  • 본 연구는 보상프로그램에 대한 가치가 보상프로그램에 대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과, 보상프로그램에 대한 충성도가 이를 운영하는 공연예술/전시장에 대한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충성도 전이 효과와 이들 충성도를 태도적 충성도와 행동적 충성도로 구분하여 충성도의 강화효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보상프로그램에 대한 가치는 보상프로그램에 대한 충성도로 전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보상프로그램 내, 공연예술/전시장 내 태도적 충성도가 행동적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충성도 강화 효과를 밝혔다. 또한 충성도 전이에 있어서 보상프로그램에 대한 행동적 충성도가 공연예술/전시장의 행동적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태도적 충성도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충성도 전이효과는 부분적으로 살펴볼 수 있었다.

가변형 아트 파빌리온 공간 표현특성에 관한연구 (A Study on the Deformable Art Pavilion Spatial Expression Characteristics)

  • 두보위;홍관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23-34
    • /
    • 2019
  • 근대 이전의 공간이 고정적이고 폐쇄적이었다면, 근대 이후에 지어진 공간의 특성은 융통성과 개방성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공간 컨셉을 기반으로 현대 예술 전시관 또한 점차 건축물 내부 공간에서 실외 공간으로의 변화를 추구하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외부 아트 파빌리온이라는 개념이 탄생하게 되었다. 전통예술 전시관과 비교했을 때, 파빌리온은 현재 건축공간의 질서에서 벗어났을 뿐 아니라 창의적인 공간형태를 실현하였다. 따라서 많은 전문가디자이너들은 이를 통해 인간과 자연 사이의 장벽을 깨고자 시도하였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최근의 가변형 아트 파빌리온을 분석하고자한다. 가변형 아트 파빌리온의 표현특성을 고찰하고 사례를 분석하여 가변형 아트 파빌리온의 디자인 원칙과 원리를 파악하고, 향후 연구될 기본적인 설계의 방향과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가변형 공간의 이론을 고찰하여 가변형 공간의 특성과 개념 범주를 파악한다. 둘째, 아트 파빌리온 관련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그 표현특성을 정리한다. 또 문헌연구를 통해 아트 파빌리온을 표현특성별로 구분하였다. 셋째, 가변형 공간 형태와 가변형 공간의 특성이 반영된 사례를 통해 연구를 진행한다. 사례분석에서 도출된 결과를 통해 각 아트 파빌리온의 변형방식과 공간특성의 표현방식 상의 차이와 그 나타나는 원인을 파악한다. 본 연구는 가변형 공간의 변형방식을 선별하기 위한 기준 근거를 제시하고, 또 미래 건축공간 디자인측면에서 공간개념의 변화와 공간 의의의 범주를 확장시킬 수 있다.

서울시 대학생의 소비가치 유형과 예술상품 소비 -공연예술 및 미술전시회 관람을 중심으로 (Types of Consumption Values and Art Appreciation of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 조수현;이연숙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0권1호
    • /
    • pp.83-105
    • /
    • 2006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lassify types of consumption values and to examine 5 types of art appreciation of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Five types of art appreciation included fine art exhibition(including photographs, architects, calligraphy works), classical and opera performance, traditional Korean music performance, drama and musical performance, dance performance. The sample for this study consisted of 422 university students of five universities in Seoul.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structured questionnaires. The statistical methods used for the analysis were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factor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result of factors for consumption values of students emerged four factors. These were called as 'materialism', 'honor centered', 'family centered', 'hedonism' value. 2. The cluster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se four factors. The result showed 3 groups of consumption value which were called as 'material' honor value group', 'family value group', 'hedonic value group'. 3. The consumption value of university students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according to their demographic variables. 4. The behavior of art appreciation of university students significantly differed by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consumption value. The material' honor valued group showed the least chances to make decisions on art appreciation for one's own, which reflected that this group appreciate art to satisfy their honors rather than to enjoy art itself. They also showed the most chances to consider the renownedness of the art work or artists among three groups. And they showed the least chances to pay for the tickets for art appreciation, all of those meant that they appreciate arts unvoluntarily in situational condition. The family valued group showed the most chances to pay for the tickets when they appreciate arts. And therefore they were most susceptible for the prices. The hedonic valued group showed the most interests in art. They decided to appreciate art for their own, and they considered the contents and the highness in the level of the art the most when they appreciate art. And they show the most intention of participation in drama/musical performances, which reflect their interests in hedonic values. Based on these results of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consumption values of university students affected their behavior of art appreciation. Thus, university students' behavior on art appreciation can be effectively developed by education according to their consumption values.

  • PDF

Operaestate 전시 축제 사례를 통해서 본 관객과 학습자의 수행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formativity of the Audience and Learners through the Operaestate Exhibition Festival)

  • 박나훈
    • 트랜스-
    • /
    • 제9권
    • /
    • pp.1-15
    • /
    • 2020
  • 최근 공연예술에서 두드러지게 확인할 수 있는 현상은 바로 예술 생산물의 사회적 공유이다. 각 지자체의 도시 재해석의 결과로서 공연물 제작, 극장을 벗어난 공연의 활성화, 그리고 거리 및 특정한 공간 및 공공의 공간에서 이뤄지는 공연 행위 등은 기존의 극장 중심의 공연 형태에서 벗어나 사회적 소통과 확대를 통해 예술행위의 외연 확장을 위한 노력으로 보인다. 나아가 이는 동시대 공연예술의 공공성의 위치를 반증한다고 볼 수 있겠다. 이에 본 연구자는 몇 년 전부터 활발하게 행해져온 공공예술의 한 부류인 장소 특정적 공연 형태를 근거로 하여 최근 일어난 이태리 발사로 델 그라파 도시의 (Balsano del grapa) 전시 축제인 오페라 에스테이트(Operaestate) 축제를 통해 관객과 학습자의 수행성을 연구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