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ch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24초

Processing Flaxseed for Food and Feed Uses

  • Wiesenborn, Dennis;Tostenson, Kristi;Kangas, Nancy;Zheng, Yun-Ling;Hall III, Clifford;Niehaus, Mary;Jarvis, Paul;Schwarz, Jurgen;Twombly, Wesley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3호
    • /
    • pp.305-310
    • /
    • 2005
  • Flaxseed is outstanding for lignans and oil rich in ${\alpha}$-linolenic acid which protect against several major illnesses. Better understanding of processing and storage characteristics of flaxseed will increase options for food use. Lignans and oil are found in the hull and embryo, respectively. Comparison of pearling and impact-dehulling processes for separation of lignan and oil-rich fractions showed the impact process was less effective, but easier to scale-up. Screw-pressing embryo reduced oil yield compared to whole seed, but doubled productivity and sharply reduced frictional heating of the oil. Flaxseed hull and embryo, also whole, ground and steamed-ground samples, were stable up to 30 weeks in closed containers at $23^{\circ}C$. Steamed-ground samples in open trays at $40^{\circ}C$ deteriorated markedly (peroxide value > 100 by 22 weeks); yet, whole seed remained stable. Incorporation of 18% flaxseed embryo into yellow perch feed increased ${\alpha}$-linolenic acid to 13 to l4% of muscle and liver lipids, compared to 0.5 to 0.7% in the no-embryo control. Feed conversion ratio, weight gain, and survival were similar. These studies are helping to establish the technological base for processing and utilizing flaxseed and flaxseed fractions to improve human diets.

Effect of dietary selenium from selenium-enriched kale sprout, selenomethionine, and sodium selenite on performance and selenium concentrations in the tissues of growing quails

  • Chantiratikul, Anut;Arunsangseesod, Orawan;Wangkahart, Eakapol;Leamsamrong, Kwanyuen;Chantiratikul, Piyanete
    • Animal Bioscience
    • /
    • 제34권4호
    • /
    • pp.692-700
    • /
    • 2021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dietary selenium (Se) from Se-enriched kale sprout (SeKS), selenomethionine (SeMet), and sodium selenite (SS) on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Se concentrations in the tissues, and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Se concentrations in muscle and feather in growing quails. Methods: The 320 quails (7 d of age) were divided into four treatments, according to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The treatments were T1: control diet; T2, T3, and T4: control diets plus 0.2 mg Se/kg from SS, SeMet, and SeKS, respectively. The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Se concentrations in the tissues of quails were determined. Results: The results indicated no effect (p>0.05) of Se supplementation on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glutathione peroxidase (GSH-Px) activity in breast muscle of quails. Supplemental Se from SS, SeMet, and SeKS increased greater (p<0.05) Se concentrations in breast muscle, liver, kidney, heart, and feather, compared to those of quails fed the control diet. Quails fed Se from SeMet had greater (p<0.05) Se concentrations in the tissues than quails fed Se from SeKS and SS. In addition, Se concentrations in breast muscle and feather of quails at 21 and 42-d-old were highly correlated (R2 0.714 to 0.756) (p<0.05). Conclusion: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GSH-Px activity in breast muscle of quails were not affected (p>0.05) by dietary Se supplementation. The Se from SeMet was more effective in increasing Se concentrations in the tissues of quails than Se from SeKS and SS. Feather Se concentrations of 21 and 42-d-old quails can be used for assessment of Se bioavailability of Se sources.

육계 관련 동물복지 인증기준 비교 (Comparison of Animal Welfare Standards for Broiler)

  • 유금주;천시내;김찬호;정지연;김동훈;전중환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643-658
    • /
    • 2020
  • 국내외적으로 축산분야의 동물복지가 이슈화 되면서 유럽연합(EU)을 포함한 축산 선진국들은 동물복지와 관련된 법률과 규제를 강화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축산업의 환경변화와 동물복지에 대한 사회적 인식변화로 인해 기존 인증기준의 보완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국내의 동물복지 축산농장인증기준의 개선 방향을 모색하는 일환으로 육계 관련 국내외 동물복지 인증기준들을 비교분석 하였다. 동물복지 인증기준은 각 국가별 혹은 인증기관별로 사육여건과 운영목적에 따라 조금씩 상이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동물복지에 있어 가장 중요하게 다뤄지는 사육밀도, 홰의 제공은 모든 인증기관에서 거의 유사한 반면에 사료, 물, 깔짚 및 조명 등의 기준은 서로 상이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는데, 이는 국가별 사육여건을 고려한 자율적 기준 마련이 가능한 부분이라 판단된다. 따라서 국외 인증기준을 비교분석함과 동시에 국내사육여건을 고려한다면 보다 현실적인 국내 동물복지 인증기준이 마련될 것이다.

담수산 어류 꺽지 (Coreoperca herzi)의 자원 평가 및 관리 방안 연구: 섬진강 중.상류 수계에서 꺽지의 자원량 및 잠재생산량 추정 (2) (Stock Assessment and Management Implications of the Korean aucha perch (Coreoperca herzi) in Freshwater: (2) Estimation of Potential Yield Assessment and Stock of Coreoperca herzi in the Mid-Upper System of the Seomjin River)

  • 장성현;류희성;이정호
    • 생태와환경
    • /
    • 제44권2호
    • /
    • pp.172-177
    • /
    • 2011
  • 본 연구는 최적화된 자원량을 기반으로 최대 생산성을 얻을 수 있는 잠재생산량 추정을 통한 어족자원(꺽지)의 효율적 관리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섬진강 중 상류 수계에서 2008년 8월부터 2009년 4월까지 계절별로 총 4회 조사를 실시하였다. 자원량 추정은 소해면 적법(Swept Area method)을 이용하였으며, 잠재생산량은 생물학적 허용어획량(Allowable Biological Catch, ABC)에 기초한 어족자원 잠재력 추정시스템을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꺽지 자원의 효율적인 관리 방안을 검토하기 위해 가입당생산량모델(Beverton and Holt)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어획개시연령($t_c$)은 1.464 age로 나타났으며, 이를 체장으로 환산한 결과 7.8 cm(BL)로 확인되었다. 현재 어획강도를 나타내는 순간어획사망계수(F)는 0.061 $year^{-1}$이었으며, 이를 기준으로 한가입당 생산량(Y/R)은 4.124 g로 추정되었다. 어획개시연령($t_c$)과 순간어획사망계수(F)를 기준으로 한 적정어획사망계수($F_{ABC}$)는 0.401 $year^{-1}$로 추정되었는데 이는 현재 꺽지 자원에 대한 어획강도가 매우 낮은 상태임을 시사한다. 꺽지의 연간 자원량은 3,048 kg으로 나타났으며, 현재 어획개시연령과 적정어획사망계수를($F_{ABC}$)를 바탕으로 한 잠재생산량은 861 kg으로 추정되었다. 가입당 생산량 모델을 사용하여 어획개시연령을 3 age로 어획사망계수는 0.643 $year^{-1}$로 가정할 경우, 가입당 생산량은 현재의 4.12 g에서 13.84 g로 약 3.4배 증가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담수산 어류 꺽지 (Coreoperca herzi)의 자원 평가 및 관리 방안 연구: 섬진강 중.상류 수계에서 꺽지의 개체군 생태학적 특성치 추정 (1) (A Study on the Stock Assessment and Management Implications of the Korean Aucha perch (Coreoperca herzi) in Freshwater: (1) Estimation of Population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Coreoperca herzi in the Mid-Upper System of the Seomjin River)

  • 장성현;류희성;이정호
    • 생태와환경
    • /
    • 제43권1호
    • /
    • pp.82-90
    • /
    • 2010
  • 본 연구는 섬진강 중 상류 수계의 꺽지자원에 대해서 자원평가의 기초로 사용되는 자원생태학적 특성치들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령사정을 위한 연령형질로서 이석(otolith)을 사용하였으며, 연령사정 결과, 최고연령은 5세로 나타났다. 체장(BL)과 체중(BW)의 관계식은 $BW=0.0195BL6{3.08}$($R^2=0.966$) 이었으며, 윤문이 형성되었을 때의 체장을 역계산하기 위한 체장(BL)과 이석경(R)과의 관계식은 BL=3.882R+1.66($R^2=0.944$)로 나타났다. 비선형회귀방법을 이용한 von Bertalanffy 성장모델의 매개변수는 이론적 최대체장($L_{\infty}$)이 19.68 cm, 이론적 최대체중($L_{\infty}$)이 188.64 g, 성장계수(K)가 0.17, 체장이 0 일 때의 연령이 -1.46세 등으로 각각 추정되었다. 이를 통해 추정된 성장식은 Lt=19.68(1-$e^{-0.17(t+1.46)}$)($R^2=0.997$)로 나타났다. 생존율을 추정하는 6가지 방법 중 평방오차합(Sum of squared error: SSQ) 이 가장 작은 어획물곡선법을 이용하여 생존율을 추정하였으며, 추정된 생존율(S)는 $0.666\;year^{-1}$으로 확인되었다. 순간자연사망계수(M)와 순간전사망계수(Z)는 $0.346\;year^{-1}$$0.407\;year^{-1}$로 각각 추정 되었으며, 이를 통해 확인된 순간어획사망계수(F)는 $0.061\;year^{-1}$로 확인되었다.

한국산 꺽저기 (Coreoperca kawamebari)의 산란습성(産卵習性) 및 초기생활사(初期生活史) (Spawning Behavior and Early Life History of Aucha Perch, Coreperca kawamebari from Korea)

  • 한경호;박준택;김병무;오성현;이성훈;진동수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29-136
    • /
    • 2000
  • 1998년(年) 2월(月)부터 5월(月)까지 매월 1회 전라남도 장흥군 유치면 단산리, 부산면 지천리 및 용반리에서 자연산란(自然産卵)한 난(卵)과, 반두를 이용하여 채집한 꺽저기 어미를 여수대학교 자원생물실험실로 운반하여 사육수조에서의 산란습성(産卵習性)과 난발생과정(卵發生過程) 및 자치어(仔稚魚) 형태변화를 관찰하였다. 1. 산란기(産卵期)는 자연(自然)에서는 4월(月)에서 5월(月)까지 였고, 인위적인 수조 안에서 한쌍의 어미가 2~3회에 걸쳐 산란(産卵)을 하였으며, 이후 수컷이 수정란(受精卵)에서부터 부화(孵化) 후 10일까지의 자어(仔魚)를 보호(保護)하였다. 2. 꺽저기의 수정란(受精卵)은 구형(球形)의 심성점착란(沈性粘着卵)으로 투명한 황색을 띄면서 알의 크기는 2.21~2.65 mm (평균 2.44 mm, n=10)로 여러개의 유구(油球)를 가지며, 유구(油球)의 크기는 0.058~0.343 mm였다. 3. 사육수온 $18{\sim}22^{\circ}C$에서 수정(受精)후 194시간 23분 만에 부화(孵化)가 시작되었다. 4. 부화(孵化)직후 자어(仔魚)의 전장은 5.09~5.68 mm (평균 5.38 mm, n=10)로 큰 난황(卵黃)과 난황(卵黃)의 앞쪽에 유구(油球)가 위치하였고, 입과 항문이 열려있었으며, 눈에는 색소포(色素胞)가 착색(着色)되었다. 5. 부화(孵化) 후 5일째 자어(仔魚)는 전장 6.12~6.68 mm (평균 6.47 mm)로 난황(卵黃)을 완전 흡수하여 후기자어기(後期仔魚期)로 이행하였고, 각 지느러미의 원기가 출현(出現)하였으며, 흑색소포(黑色素胞)는 머리 위부분파 꼬리 부분에서 2~3개의 띠 모양으로 형성되었다. 6. 부화(孵化)후 22일째 자어(仔魚)는 평균전장 11.54 mm로 각 지느러미가 정수에 달하였으며, 체측에 5~7줄의 가로 무늬 띠가 형성되었다. 7. 부화(孵化) 후 32일째 개체는 평균전장이 13.05 mm로 체측에 5~6개의 세로무늬 띠, 7~8줄의 흑갈색 가로띠 및 머리부분에 5~7줄의 방사상의 줄무늬가 나타나 치어기(稚魚期)로 이행하였으며, 이 시기의 치어(稚魚)는 체형과 반문이 성어와 닮아 있었다.

  • PDF

임플랜트 전산화단층사진에서 하악의 위치와 gantry각의 변화가 임플랜트 매식로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mandibular position and gantry angle on the evaluation of implant site with implant CT)

  • 이설미;안창현;최항문;허민석;이삼선;최순철;박태원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32권1호
    • /
    • pp.35-39
    • /
    • 2002
  • Purpose: The altered gantry angle during scanning for some multiplanar reconstruction CT program (CT/MPR) may cause distortion of the imag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certain whether there is a image distortion in a reformatted image when the gantry and the object are equally inclined using ToothPix and DentaScan program. Materials and Methods: A resin block model with four cylindrical holes and a human dry mandible were used. Two MPR software packages, ToothPix and DentaScan program, were used for reformatted panoramic images. The block and the gantry were equally inclined at 0°, 15°, and 30°. Results: With ToothPix program, a resin block model with empty holes and a dry mandible showed inclined images in the reformatted panoramic image. Increasing the gantry angle, the depth and inclination of the holes were increased in the reformatted central panoramic images. However, a resin block model with gutta perch a in its holes and a dry mandible with a wire in its mandibular canal didn't show image distortion. With DentaScan program, image distortion was not seen in any situation. Conclusion: ToothPix program may distort the reformatted image when the gantry angle is not at zero degrees. However, with DentaScan program, the patient may be positioned comfortably and the gantry can be adjusted to the patient positioning.

  • PDF

덕티드 추진체를 사용한 수직 이·착륙 초소형 무인 항공기 개발 동향 (The Development Trend of a VTOL MAV with a Ducted Propellant)

  • 김진완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68-73
    • /
    • 2020
  • 본 논문은 산악 지형, 도심, 함정, 교량 등에서 수직 이·착륙 비행, 제자리 비행, 고정익기처럼 저속 및 고속비행을 할 수 있는 덕티드 추진체를 사용한 수직 이·착륙 초소형 무인 항공기 개발 동향을 기술한다. 이 항공기는 여러 측면에서 헬리콥터와 고정익기와는 비행 특성이 다르다. 미육군 미래 전투 체계와 DARPA의 OAV 프로그램의 목적은 운용자에 안전하고 낮은 음향 특성을 갖는 수직 이·착륙 덕티드 팬 초소형 무인 항공기 개발이다. 현재의 초소형 무인 항공기에 영상/적외선 카메라를 탑재하고 숲이나 언덕 뒤에 숨어 있는 적을 정지비행과 응시로 약 1 시간 동안 감시 및 정찰을 한다. OAV의 Class-I은 개인 병사가 배낭에 담아 운반할 수 있는 크기와 무게의 수직 이·착륙 덕티드 MAV 개발이다. Class-II는 Class-I보다 두 배의 운용 시간과 더 넓은 범위의 비행이 가능한 유기체의 수직 이·착륙 덕티드 팬 초소형 무인 항공기 개발이다. 초소형 무인기는 장시간 운용을 위해 현재의 '호버 및 응시'에서 '퍼치-앤-응시'으로 기술을 발전시켜야 한다. 근 미래의 OAV 개념은 유·무인 지상 차량이 주행하는 동안에 차량의 상부에 자동 이착륙하고, 탑재된 상태로 이동하고, 재급유, 재충전, 재이륙하는 합동 운용으로 임무 능력과 효율성을 확장하는 것이다. 덕티드 MAV는 지상 차량의 착륙 패드에서 자동으로 이착륙하기 위해 저렴한 초소형 GPS를 활용한 고정밀 상대 위치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VTOL 덕티드 MAV와 유·무인 지상 차량 간에 유기체의 협업 동작이 가능케하는 공통 명령과 제어 아키텍처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하악 무치악 부위의 임플란트 이식을 위한 전산화단층촬영 영상의 비교 평가 (Comparative evaluation of computed tomography for dental implants on the mandibular edentulous area)

  • 선경훈;정호걸;박혁;박창서;김기덕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39권1호
    • /
    • pp.27-33
    • /
    • 200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linical usefulness of the recently developed 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 and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in pre-operative implant evaluation, by comparing them with the single detector computed tomography, already confirmed for accuracy in this area. Materials and Methods: Five partially edentulous dry human mandibles, with $1{\times}1mm$ gutta percha cones, placed in 5mm intervals posterior to the mental foramen on each side of the buccal part of the mandible, were used in this study. They were scanned as follows: 1) Single detector computed tomography: slice thickness 1mm, 200mA, 120kV 2) 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 slice thickness 0.75mm, 250mA, 120kV 3)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15mAs, 120kV Axial images acquired from three computed tomographies were transferred to personal computer, and then reformatted cross-sectional images were generated using V-Implant $2.0^{(R)}$ (CyberMed Inc., Seoul, Korea) software. Among the cross-sectional images of the gutta perch a cone, placed in the buccal body of the mandible, the most precise cross section was selected as the measuring point and the distance from the most superior border of the mandibular canal to the alveolar crest was measured and analyzed 10 times by a dentist.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intraobserver differences in the distance from the most superior border of the mandibular canal to the alveolar crest (p>0.0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single detector computed tomography, 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 and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in the distance from the most superior border of the mandibular canal to the alveolar crest (p>0.05). Conclusion: 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 and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are clinically useful in the evaluation of pre-operative site for mandibular dental implants, with consideration for radiation exposure dose and scanning time.

  • PDF

동물복지 관련 산란계 농가 실태조사 (A Farm on Laying Hens' Welfare in Korea)

  • 전중환;이준엽;박규현;김두환;송준익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51-156
    • /
    • 2012
  • 본 조사는 산란계 케이지 사육시설에 대한 대체 사육시설 등 해결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평사, 방사사육 및 동물복지 사육시설을 사용하는 산란계 농가를 대상으로 사육시설에 대한 실태를 조사하였다. 사육형태는 방사사육, 평사사육 및 대체 사육시설 3가지로 구분되었으며, 축사형태는 무창축사와 개방축사 2가지로 구분할 수 있었다. 급이기는 선형과 원형이 각 37.5%와 62.5%로 조사되었으며, 급수기는 니플이 75%, 선형이 12.5%, 버켓이 12.5%로 조사되었다. 사육밀도의 경우 평균 5.6수/$m^2$로 조사한 모든 농가가 인증기준에 부합하였다. 횃대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곳이 25%에 달하였으며 횃대가 설치되어 있는 농가의 경우도 수당 15 cm 이상의 횃대가 제공되어야 하는 인증기준에 미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전체 조사농가의 50%가 재래식 산란상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인력수거 방식으로 집란하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