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Perceptual quality

Search Result 344,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누설요소와 인간 시각 시스템을 이용한 HDTV 영상 압축 알고리듬 (HDTV Image Compression Algorithm Using Leak Factor and Human Visual System)

  • 김용하;최진수;이광천;하영호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822-832
    • /
    • 1994
  • DSC-HDTV 시스템은 영상에 존재하는 공간, 시간, 진폭의 중복성을 제거하기위하여 변환 부호화, 움직임 보상 예측 부호화, 적응 양자화를 이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장면 변화와 전송 잡음으로부터 신속히 화질을 복원하는데 이용하는 누설요소의 적용 방법과 인간 시각 시스템을 이용한 인식하중치를 구하여 적응 양자화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인식하중치는 대비 민감도, 시공간 매스킹과 주파수 민감도에 따라 구한다. 적응 양자화는 인식하중치와 버퍼이력상태로부터 얻은 전체 왜곡 레벨을 이용하고 그에 따른 잉여 비트량은 다음 프레임의 화질 개선에 이용된다. 장면이 변할 경우 복원된 영상은 큰 양자화 오차를 포함하기 때문에 움직 보상 예측 부호화에서 구한 변위프레임 차신호가 큰 값이 되어 비트량이 증가하고 버퍼의 상태가 불안정하게 된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누설요소를 장면이 변할 경우 0으로 하고 그이후의 프레임에서의 15/16으로 고정하여 전체왜곡레벨을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조절한다. 실험결과 제안된 방법의 영상의 화질은 수 프레임내에 복원되고 버퍼상태도 신속히 안정화된다.

  • PDF

단일 영상에서 눈송이 제거를 위한 지각적 GAN (Perceptual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for Single Image De-Snowing)

  • ;이효종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8권10호
    • /
    • pp.403-410
    • /
    • 2019
  • 눈이 내리는 영상에서 눈송이들에 의하여 영상의 질이 저하되고 영상 내에 존재하는 객체들을 명확히 탐지하기 위해서는 눈송이를 제거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지각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에 기반하여 단일 영상으로부터 눈송이를 제거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잔류 U-Net을 눈송이가 제거된 영상을 생성하는 생성기로 설계하였다. 다양한 크기의 눈송이를 처리하기 위하여 다양한 필터 커널의 인셉션 모듈을 설계하고 입력한 눈이 내리는 영상의 다양한 해상도 특징을 추출하기 위하여 적용되었다. 눈송이 제거 영상의 품질을 높이기 위해서 대립손실을 제외하고는, 지각적 손실과 총 변동 손실 함수를 적용하여 제설 이미지와의 유사도를 찾아갈 수 있도록 하였다. 합성 강설 이미지와 실제 강설 이미지를 대상으로 제안 네크워크의 제설 기능을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 제안 알고리즘은 합성 이미지와 강설 이미지 모든 분야에서 육안으로 관찰해본 결과 화질이 우수함을 보여주었고, 객관적 평가를 위하여 신호강도를 나타내는 PSNR과 구조변화를 측정하는 SSIM 인덱스를 비교하였으며, 제안 알고리즘이 지수 상으로도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여주었다.

지각 오디오 부호화기에서의 스펙트럼 에너지 기반 톤 성분 검출 알고리듬 (Tonality Detection based on Spectrum Energy in Perceptual Audio Coder)

  • 이근섭;연규철;박영철;윤대희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9권6C호
    • /
    • pp.770-776
    • /
    • 2004
  • 지각 오디오 부호화기는 신호의 지각적 중복성과 함께 지각에 무관한 성분들을 줄이기 위해 인간의 청각 특성인 마스킹 효과를 이용하여 부호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양자화 잡음을 귀에 들리지 않는 수준 이하로 낮춘다. 이때 마스킹 하는 주체인 입력 신호의 특성이 들, 잡음 중 어떤 성분에 가까운지에 따라 주위의 작은 신호들을 마스킹하는 양이 달라지기 때문에 입력 신호의 특성을 알아내는 것은 지각 부호화기의 성능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본 논문에서는 낮은 복잡도로 구현 가능한 새로운 톤 성분 검출 알고리듬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알고리듬은 MPEG 심리음향 모델-II 비해 초월함수가 적게 사용되며 사용되는 연산도 단순하기 때문에 낮은 복잡도의 부호화기 구현에 적합하다. 제안한 알고리듬은 다양한 신호들에 대해 성능평가가 수행되었으며, DSP를 사용한 구현 결과 약 3 MIPS 정도로 구현 가능하였다.

CDMA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주관적 음질을 추정하기 위한 객관적 척도 (Objective Measure for Estimating Subjective Voice Quality in Wireless Communication)

  • 백금란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1998년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17권 2호
    • /
    • pp.297-302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채널을 통과하면서 여러 가지 형태로 손상된 음성에 대한 주관적 음질 평가를 할 수 있는 객관적 척도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즉, CDMA 채널을 통과한 음성 신호에 대하여 주관적 음질 평가 방법 중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MOS(Mean Opinion Score) 테스트를 수행하고, 이 MOS 테스트 결과를 추정할 수 있는 객관척도 알고리즘을 시뮬레이션 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 PSQM(Perceptual Speech Quality Measure)을 CDMA 채널 환경에 맞게 수정하여 우수한 성능의 객관적 음질 평가 방법을 얻었다.

  • PDF

적응적 신호 크기 예측을 이용한 G.711 패킷 손실 은닉 알고리즘의 성능향상 (Performance Improvement of Packet Loss Concealment Algorithm in G.711 Using Adaptive Signal Scale Estimation)

  • 김태하;이인성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403-409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G.711 패킷 손실 은닉 알고리즘의 성능향상을 위해 적응적 신호 크기 예측을 사용하는 패킷 손실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기존의 방법은 연속 손실이 발생하였을 때 20 %의 감쇠인자를 가지고 이득조절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이 방법은 신호의 변화를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신호가 왜곡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Least Mean Square(LMS) 예측기를 사용하여 이전과 이후 프레임의 정보를 통한 적응적 신호 크기 예측으로 이득을 조절하는 것을 제안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의 성능 평가는 Perceptual Evaluation of Speech Quality(PESQ) 평가를 통하여 나타내었다.

환경인식 기반의 향상된 Minimum Statistics 잡음전력 추정기법 (Improved Minimum Statistics Based on Environment-Awareness for Noise Power Estimation)

  • 손영호;최재훈;장준혁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23-128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잡음 환경에서 음성향상을 위한 Minimum Statistics (MS) 잡음전력 추정 기법을 제시한다. 기존의 방법에서는 최소값 추적을 위해서 유한한 서치 (search)윈도우를 사용하여 최적으로 신호의 파워 스펙트럼을 수무딩하고 최소 확률을 적용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알고리즘은 기존의 최소값 서치 윈도우가 다양한 잡음 환경에 상관없이 고정된 사이즈를 사용하는 것에 환경인식 정보를 적용하여 서치 윈도우 사이즈가 Gaussian mixture model(GMM)기반의 잡음 분류 알고리즘을 이용한 결과 값의 비교로 잡음 환경에 따라 변화 하도록 한다. 제안된 음성 향상 기법은 ITU-T P.862 perceptual evaluation of speech quality (PESQ)를 이용하여 평가하였고 기존의 MS방법보다 향상된 결과를 보였다.

서브밴드 백색화 필터를 이용한 부공간 잡음 제거 (Subspace Speech Enhancement Using Subband Whitening Filter)

  • 김종욱;유창동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69-174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서브밴드 백색화 필터를 이용한 새로운 부공간 잡음제거 방법을 제안하였다. 기존의 부공간 접근방법에서는 백색 잡음을 가정하거나, 유색 잡음에 대한 전처리로서 백색화 필터를 사용하였다. 백색화 필터를 서브밴드로 나누어 처리함으로써, 제안된 방법은 잔여잡음을 줄이면서 신호 왜곡의 상한값을 최소화하도록 설계하였다. 또한 서브밴드 백색화 필터를 도입함으로써 부공간 잡음제거 방법에서 약점으로 지적되는 것 중의 하나인 Karhunen-Loeve(KL) 영역에서의 주파수 해상도를 높일 수 있었다. 실험결과에 의하면 제안된 방법은 Ephraim에 의해 제안된 방법 부공간 잡음 제거 방법이나, Boll에 의해 제안된 주파수 차감법에 비해 구분 신호대 잡음 비 (SNRseg: segmental signal-to-noise ratio), 음성의 인지적 성능 평가 (PESQ: perceptual evaluation of speech quality)를 고려하였을 때 향상된 성능을 보였다.

Improved Angle-of-View Measurement Method for Display Devices

  • Lee, Eun-Jung;Chong, Jong-Ho;Yang, Sun-A;Lee, Hun-Jung;Shin, Mi-Ok;Kim, Su-Young;Choi, Dong-Wook;Lee, Seung-Bae;Lee, Han-Yong;Berkeley, Brian H.
    • Journal of Information Display
    • /
    • 제11권1호
    • /
    • pp.17-20
    • /
    • 2010
  • With the increasing demand for a better FPD image quality, better evaluation metrics and advanced display quality measurement methods are required to meet these needs. There are many measurement methods for evaluating the viewing angle of various display devices, but these methods, which include luminance drop, color shift, and contrast ratio decrease, are imperfect considering that human perception does not completely correlate to them. In this paper, a new method of measuring the perceptual angle of FPDs is proposed, considering human visual perception, which uses the color space of the color appearance model.

병리적 음성에 대한 언어습득 이후 인공와우이식 성인의 청지각적 변별특성과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 (The Effect on Intervention Program and Auditory-Perceptual Discrimination Feature of Postlingual Cochlear Implant Adults about Pathological Voice)

  • 배인호;김근효;이연우;박희준;김진동;이일우;권순복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7권2호
    • /
    • pp.9-17
    • /
    • 2015
  •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ability of recognition of auditory perception with regards to the quality of voice in postlingual CI adults and proposed a training program to improve within subject reliability. A prospective case-control study was conducted in adults with 7 postlingual deaf who received a CI surgery and 10 normal hearing controls. The pre and post test and training program included parameters of consensus auditory-perceptual evaluation of voice(CAPE-V) with pathological voice sample by using Alvin. In results of pre-post test for monitoring improvements of internal reliability for listeners via the training program,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test and group.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rnal reliability between pre-post test in the normal hearing group, the result was no significant in the CI group. The present study found that CI adults showed less ability in awareness of voice quality compared to normal hearing group. Also the training program improved pitch and loudness in CI adults.

Improved Method for Angle-of-View Measurement of Display Devices

  • Lee, Eun-Jung;Chong, Jong-Ho;Yang, Sun-A;Lee, Hun-Jung;Shin, Mi-Ok;Kim, Su-Young;Choi, Dong-Wook;Lee, Seung-Bae;Lee, Han-Yong;Berkeley, Brian H.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9년도 9th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 /
    • pp.979-982
    • /
    • 2009
  • With increasing demand for better FPD image quality, better evaluation metrics and advanced display quality measurement methods are required to meet these needs. There are many measurement methods to evaluate viewing angle of the various different display devices. However, these methods, which include luminance drop, color shift, and contrast ratio decrease, are imperfect considering that human perception does not completely correlate to these methods.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method for measuring perceptual angle of FPDs considering human visual perception, which uses color space of the color appearance mode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