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ceptual Effect

검색결과 233건 처리시간 0.027초

글자의 이중상에 의한 심리적 혼란감과 지각 통합 과정 (Psychological Disturbance caused by Letters in Double lmage and its lmplication on Perceptual Integration)

  • 박상호;정찬섭
    • 인지과학
    • /
    • 제6권1호
    • /
    • pp.47-71
    • /
    • 1995
  • 글자의 이중상으로 인한 심리적 혼란감을 '글자멀미'라 정의하였고,눈운동 및 글자 인식 과정이 교란될 때 글자 멀미가 발생한다는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자극의 노출시간과 글자의 친숙도가 글자 멀미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였다.글자 멀미는 자극 노출 시간이 50ms,100ms,3000ms로 길어짐에 따라,덜 친숙한 외국 문자보다는 친숙한 한글에서 유의미한 단어보다는 무의미한 단어에서 큰것으로 나타났다.이러한 실험발견은 이중상을 제거하려는 눈 운동이 실효를 거두지 못함에 따라 글자 멀미가 발생한다는 것,친숙한 글자일수록 글자 인식 과정의 개입을 더 강화하며 그결과 이중상에 의한 교란 효과가 증폭된다는것,글자 형태는 친숙하지만 의미추출이 어렵게 되면 이중상의 교란효과가 가중된다는 것을 암시한다.의미를 처리하는 경향이 클수록 이중상에 의한 글자 멀미가 심해진다는 가설을 좀 더 분명히 검증하기 위하여 여섯 개의 점으로 구성된 점자를 시각적으로 인식하도록 피험자들을 학습시킨 결과,학습율이 증가함에 따라 글자 멀미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하나의 자극을 의미있는 상징으로 취급하여 해석하려 할때 글자멀미가 증가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 PDF

시간-주파수 구조에 근거한 지각적 오디오 부호화기 (A Perceptual Audio Coder Based on Temporal-Spectral Structure)

  • 김기수;서호선;이준용;윤대희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권1호
    • /
    • pp.67-73
    • /
    • 1996
  • 일반적으로 고음질 오디오 부호화 방법은 전통적인 데이터 압축 기법과 인간의청각 모델을 결합한 구조를 갖고 있다. 고음질 오디오 부호화에 사용되는 주요한 청각 특성은 주파수 영역에서의 마스킹 현상이므로 서브밴드 부호화나 변환 부호화와 같은 주파수 영역 방법들이 널리 사용된다[1][2]. 그러나 지금까지의 고음질 오디오 부호화에서 시간 영역 마스킹과 시간 영역 중복성을 제거하는 방법은 적용되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오디오 데이터 압축 방법은 시간 및 주파수 영역에서 통계적, 지각적 중복성을 제거한다.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된 오디오 신호는 6프레임으로 구성된 패킷으로 나뉘어진다. 한 패킷은 1536 샘플 ($256{\times}6$)로 되어 있으며 패킷 내에서의 중복성은 시간 및 주파수 영역에서 존재한다. 각 패킷에서 두 중복성이 동시에 제거되어진다. 심리음향 모델에 있어서도 세밀한 주파수 마스킹과 함께 시간 영역 마스킹을 고려하여 보다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향상되었다. 양자화를 위해서 각 패킷은 비선형적인 임계 대역과 시간적인 청각 특성을 반영할 수 있도록 설계된 부블럭으로 분할되었다. 따라서 낮은 비트율에서 고음질의 복원음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Image Quality Assessment by Combining Masking Texture and Perceptual Color Difference Model

  • Tang, Zhisen;Zheng, Yuanlin;Wang, Wei;Liao, Kaiya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4권7호
    • /
    • pp.2938-2956
    • /
    • 2020
  • Objective image quality assessment (IQA) models have been developed by effective features to imitate the characteristics of human visual system (HVS). Actually, HVS is extremely sensitive to color degradation and complex texture changes. In this paper, we firstly reveal that many existing full reference image quality assessment (FR-IQA) methods can hardly measure the image quality with contrast and masking texture changes. To solve this problem, considering texture masking effect, we proposed a novel FR-IQA method, called Texture and Color Quality Index (TCQI). The proposed method considers both in the masking effect texture and color visual perceptual threshold, which adopts three kinds of features to reflect masking texture, color difference and structural information. Furthermore, random forest (RF) is used to address the drawbacks of existing pooling technologies. Compared with other traditional learning-based tools (support vector regression and neural network), RF can achieve the better prediction performance. Experiments conducted on five large-scale databases demonstrate that our approach is highly consistent with subjective perception, outperforms twelve the state-of-the-art IQA models in terms of prediction accuracy and keeps a moderate computational complexity. The cross database validation also validates our approach achieves the ability to maintain high robustness.

소아 성대 결절에 대한 음성 치료의 효과 (Efficacy of Voice Therapy for Children with Vocal Nodules)

  • 소윤경
    • 임상이비인후과
    • /
    • 제29권2호
    • /
    • pp.229-234
    • /
    • 2018
  • Background and Objectives : Vocal nodules occur with a 12-22% prevalence in pediatric populations. Most otolaryngologists recommend voice therapy as the primary treatmen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patient compliance with voice therapy and its effect on vocal nodules in children. Materials and Methods : We retrospectively reviewed 44 pediatric patients between 3 and 11 years old diagnosed with vocal nodules between March 2015 and December 2017. We evaluated the treatment adoption rate, dropout rate during voice therapy, and reasons for dropout. For patients who completed voice therapy, we measured the changes in nodule size, perceptual parameters, and acoustic parameters. We evaluated patient satisfaction using the pediatric voice handicap index (P-VHI). Results : Of the 44 pediatric patients diagnosed with vocal nodules, 22 (50%) agreed to voice therapy. Of the 22 patients who started voice therapy, 5 (22.7%) dropped out during therapy because they were unsatisfied with their treatment. Another 4 patients discontinued therapy for reasons unrelated to treatment effectiveness. Vocal nodule disappeared or decreased in all 13 patients who completed voice therapy. All voice parameters were improved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were observed in perceptual, acoustic, and P-VHI parameters. Conclusions : Although compliance to voice therapy among the pediatric patients with vocal nodules was low, there were significant improvements in voice parameters for those who completed voice therapy. A change toward a positive perception of voice therapy is necessary and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is needed to improve the effect of voice therapy on pediatric patients with vocal nodules.

운율이식을 통해 나타난 감정인지 양상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ual Aspects of an Emotional Voice Using Prosody Transplantation)

  • 이서배
    • 대한음성학회지:말소리
    • /
    • 제62호
    • /
    • pp.19-32
    • /
    • 2007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erception of emotional voices by transplanting some or all of the prosodic aspects, i.e. pitch, duration, and intensity, of the utterances produced with emotional voices onto those with normal voices and vice versa. Listening evaluation by 24 raters revealed that prosodic effect was greater than segmental & vocal quality effect on the preception of the emotion. The degree of influence of prosody and that of segments & vocal quality varied according to the type of emotion. As for fear, prosodic elements had far greater influence than segmental & vocal quality elements whereas segmental and vocal elements had as much effect as prosody on the perception of happy voices. Different amount of contribution to the perception of emotion was found among prosodic features with the descending order of pitch, duration and intensity. As for the length of the utterances, the perception of emotion was more effective with long utterances than with short utterances.

  • PDF

사전제시 자극의 지각적 정보가 목표자극 탐색에 미치는 영향: 안구추적연구 (Influence of Perceptual Information of Previewing Stimulus on the Target Search Process: An Eye-tracking Study)

  • 이동훈;김신정;정명영
    • 인지과학
    • /
    • 제25권3호
    • /
    • pp.211-232
    • /
    • 2014
  • 사람들은 하루에도 수없이 어떤 물체나 사람을 찾는다. 이때 찾아야 하는 대상이 무엇인가 하는 정보 외에도 그 대상이 가지고 있는 지각적 정보도 시각탐색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안구운동추적기를 사용하여 탐색 목표를 알려주는 사전제시 자극의 크기 정보가 시각탐색과정에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실험참가자는 화면가운데 제시된 특정 기호 자극(사전제시 자극)을 먼저 확인하고, 이후 화면 주변에 원형으로 제시된 8개의 자극들(탐색 디스플레이) 중 그 자극(목표자극)을 찾아 그 크기가 사전제시시와 동일한지 혹은 달라졌는지를 판단하는 과제를 실시하였다. 실험조건은 탐색 디스플레이가 모두 동일한 크기를 가진 항목들로 이루어졌는지 여부(동질적 디스플레이/이질적 디스플레이)와 목표자극의 사전제시시 크기(큼/작음)와 탐색시 크기(큼/작음)에 따라 8개의 피험자내 조건으로 구성되었다. 연구가설은 탐색 함목들이 다른 크기를 가진 이질적 디스플레이 조건에서 실험참가자는 사전제시 자극의 크기 정보와 일치하는 항목들을 먼저 살펴볼 전략을 사용할 것이라고 예측하였다. 실험결과, 과제수행 반응시간에서 탐색 디스플레이의 주효과, 목표자극의 탐색시 크기 주효과, 그리고 디스플레이 조건에 따라 다른 목표자극의 사전제시시와 탐색시 크기의 일치성 효과가 관찰되었다. 안구운동 측정치들을 분석한 결과, 그 첫 도약이 탐색 목표자극으로 향한 비율(Initial Saccade to Target Ratio)에서 반응시간과 유사하게 탐색 디스플레이 조건에 따라 목표자극의 크기 일치성 효과가 각각 달리 나타났다. 즉, 목표자극의 크기의 일치성 효과는 이질적 디스플레이 조건에서만 관찰되었는데, 이는 실험참가자들이 목표자극의 크기 정보를 바탕으로 탐색 항목들 중 사전 목표자극의 크기와 같은 항목들에게 먼저 주의를 기울였음을 나타낸다. 사후 분석 결과, 목표자극의 크기가 일관될 때는 이질적 디스플레이 조건의 안구움직임과 과제수행이 동질적 디스플레이 조건 보다 조금 더 빨랐으나, 목표 자극의 크기가 달라질 때는 오히려 더 느려졌음을 알 수 있었다.

미술관 온라인 전시가 관람객의 미적 경험과 오프라인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of Online Exhibitions in Art Museums on the Aesthetic Experience and Offline Viewing Intentions of Visitors)

  • 박소라;김선영
    • 예술경영연구
    • /
    • 제60호
    • /
    • pp.121-153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관 온라인 전시가 관람객의 미적 경험과 오프라인 전시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실증적으로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온라인 전시의 속성을 접근성, 상호작용성, 정보성, 유희성 등으로, 미적 경험은 감정적, 소통적, 인지적, 지각적 영역 등 4개의 요인으로 각각 구성하여 오프라인 미술관의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결과를 다중회귀분석한 결과, 첫째 온라인 전시는 미적 경험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적 경험 중 감정적 영역에는 정보성이, 소통적 영역과 지각적 영역에는 유희성이, 인지적 영역에는 접근성이 각각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온라인 전시는 오프라인 전시 관람 의도에 유희성, 상호작용성, 정보성 순으로 부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미적 경험은 인지적, 감정적, 소통적, 지각적 순으로 오프라인 전시 관람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미적 경험은 온라인 전시와 오프라인 전시 관람의도를 부분매개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가 온라인 전시 이용자들을 오프라인 전시로 유도하는 실무적 시사점과 함께 학술적 논의를 촉발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네크라인과 헤어스타일이 얼굴 이미지 및 형태 지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eckline-Hairstyle Combinations on the Perception of Face Image and Type)

  • 이영미;서미아
    • 복식문화연구
    • /
    • 제6권4호
    • /
    • pp.13-25
    • /
    • 1998
  • This study focuses on the visual effects of various neckline-haristyle combinations on the perception of face image and type. The study employed a model with oval face and examined 35 combinations made up of five necklines and seven hairstyles. Looking at various face images depending upon different necklines, in case of round, V, boat square, and high necklines, long wave hair and medium wave hair produced a feminine image of marked individuality; long straight hair that covers the forehead and medium straight hair gave an image of charm and purity as well as an image of neatness; and long straight hair short cut hair showed an intellectual image. Regarding the perceptual type of face depending upon the different necklines of round, V, square, and high, the long straight hair covering the forehead and medium wave hair had the effect of an optical illusion that made the face look short and round; and short cut hair made the face line look distinct and the face look oval and slender.

  • PDF

The Consensus on Impression Formation

  • Kim, In-Sook;Seok, Hye-Jung
    •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Costume Culture
    • /
    • 제9권2호
    • /
    • pp.104-112
    • /
    • 2006
  • The studies on impression formation usually have focused on the effect of certain appearance features which elevates perceptual evaluation. This study tried to find out whether there is a consensus on impression formation between the perceived person and the perceiver and if the gender is any significant variable to cast any difference on the impression evaluation. Seven photos of voluntary students in ppt file were projected to 143 students attending a university psychology class and were subjected to a impression evaluation questionnaire consisting of 28 adjective scales. The analysis of result revealed: 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impression evaluation scores of the perceivers and the perceived; the self evaluation of the perceived person was higher than the perceivers' evaluation. 2)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evaluation score difference between the genders of the perceivers; the female perceivers rated the stimuli higher than the male perceivers. There was no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genders of the perceivers and the perceived.

  • PDF

정상 소아의 비음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Nasalance for Normal Korean Children Using Nasometer II)

  • 김성일;조상기;고승오;신효근
    • 음성과학
    • /
    • 제7권4호
    • /
    • pp.73-82
    • /
    • 2000
  • The perceptual judgement of nasality is still used in the assessment of velopharyngeal incompetence, but it should not be the sole criterion for speech nasality. Objective procedures may be used to assess velopharyngeal function, for example, nasometer, aerodynamics, x-ray, electromyography, nasoendoscopy, and videofluoroscopy can be utilized. The nasometer employs noninvasive measurement methods and measures with high levels of accurac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obtain comprehensive nasalance data for Korean children, aged 7 years, and to investigate any gender differences within that age group. The results were as follow: 1. Statistically, gender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nasalance of vowels /a/, /i/, /o/, /u/, /je/, /wi/) but the nasalance of the vowels /e/, /ja/) was higher in males (p<0.05). 2.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f gender in plosives /p/, /ph/, /p'/, /t/, /th/, /t'/, /k/, /kh/, /k'/), affricatives /c/, /ch/, /c'/), and fricatives /s/, /s'/, /$\int$/). 3. The nasalance of the nasal consonants, /m/, /n/, /an/) is higher in males and only /n/, /a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