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ception of user

검색결과 685건 처리시간 0.027초

포털사이트의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The Determinants of Continuance Use Intention to Use Web Portal)

  • 박기운;옥석재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17권2호
    • /
    • pp.49-72
    • /
    • 2008
  • Today, the World Wide Web (WWW) impacts many facets of our lives, including communication, entertainment, social activities, shopping, etc. The web portal is the most accessed type of site and is advertising-supported the more users who visit the site, the more income it generates. User perception to a web site is very important much research has focused on the internet users' behavior. Some well-known theories, such as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have been used to examine variables that motivate individuals to accept and use an IS. But Understanding continued use is the goal of this study. We focus on user beliefs (specifically, perceived usefulness) and attitude because pier studies of IT usage, predominantly based o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and similar models, have established these perceptions as the dey determinants of both initial IT usage (acceptance) and long-term usage (continuance) intention and behavior (Bhattacherjee 2001; Davis et al. 1989). Any change in beliefs or attitudes will likely have a corresponding impact on, and may even revers, users' continuance intention and behavior. Also, continuance use have some features which are prior use, habit, feature-centric view of technology. So this research reflected continuance use features. Examination of the paths in the model revealed several interesting results. First, Perceived usefulness was a stronger predictor of acceptance intention in TAM than attitude, But attitude was a stronger predictor of continuance intention in this study than perceive usefulness. Second, confirmation was not affect directly to attitude. Last, Habit was strongest predictor of continuance intention in this study.

교육자치혁신과 학교공간혁신 연계 방안 - 세종특별자치시를 중심으로 - (A Linkage between Educational Autonomy Innovation and School Space Innovation - Focusing on Sejong Special Self-Governing City -)

  • 이용환;구중필;김관영;박정란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8권4호
    • /
    • pp.33-43
    • /
    • 2019
  • 본 연구는 사용자 교육적 가치의 중요성을 목표로하는 학교공간혁신의 개념 연구를 통하여 학교공간이 학생들의 교육활동을 중심으로 하는 국가수준의 교육자치 목표 및 기본가치와 상호관계성 연계 정도에 대하여 사용자를 중심으로 조사·분석을 하고자 하였다. 이는 교육자치 혁신 교육과정과 학교 자치적 다양한 교육활동과 연계된 학생, 교사 즉 수요자의 요구도 분석을 통해 수요자 중심 즉 수요자의 요구가 최대한 반영되는 학교공간혁신 연계 방안 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교육자치 혁신과 학교공간 혁신의 기본개념 고찰과 국가수준의 2015개정 교육과정과 교육자치 혁신과정에 대한 문헌조사 및 교육목표, 교육과정의 기본가치 인식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원도심지역 학생, 교사를 대상으로 교육의 기본가치, 학교교육의 기능, 학교환경 및 공간 구성 방향, 학교공간에 대한 조사분석으로 학생과 교사의 인식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사이버멀미 통합 모델: 가상현실 사용자의 불편감 현상 연구 (An Integrated Model of Cybersickness: Understanding User's Discomfort in Virtual Reality)

  • 장은희;서대일;김현택;유병현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5권3호
    • /
    • pp.251-279
    • /
    • 2018
  • 사이버멀미란 가상현실을 경험할 때 발생하는 멀미와 유사한 증상으로 눈의 피로, 방향감각 상실, 메스꺼움 등을 동반한다. 사이버멀미는 가상현실 산업의 확산을 위한 선결 과제로 여겨지고 있으며, 해당 증상을 완화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시도되어 왔다. 그러나 아직까지 사이버멀미의 발생 기전과 해결책에 관한 명확한 결론은 도출되지 못하였다. 본 논문은 사이버멀미 현상을 보다 입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해당 현상을 관통하는 주요 구성 요소인 사이버멀미의 유발 원인, 인간의 인지체계, 사이버멀미의 측정 방법을 연결한 통합적 관점을 제시하였다. 특히 현재까지 알려진 사이버멀미의 유발 원인을 콘텐츠, 하드웨어, 사용자 특성 측면으로 새로이 분류하였다. 또한 사이버멀미 관련 요인에 대한 기존의 연구를 콘텐츠의 가상현실 충실도 관점에서 해석하여 상이한 연구 사이의 일관성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사이버멀미를 정량화하기 위한 객관적, 주관적 측정 도구를 살펴보고 각각의 한계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유튜브 이용자의 몰입경험과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Factors Influencing on the Flow and Satisfaction of YouTube Users)

  • 이강유;성동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660-675
    • /
    • 2018
  • 본 논문은 최근 급성장하고 있는 온라인 영상 서비스의 인지된 특성이 이용자의 긍정적인 몰입 경험과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고자한다. 연구를 위해 평소 유튜브를 이용하는 20-30대 응답자 289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이후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해 변인 간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유튜브의 상호작용 특성과 추천 서비스의 새로움, 콘텐츠의 다양성, 콘텐츠의 오락성이 모두 개인의 몰입 경험 하위차원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한편 추천 서비스의 정확성은 개인의 몰입 경험에는 유의한 영향이 없었으나, 만족 수준에는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마지막으로 몰입은 이용자의 만족에 직접 적인 영향을 주고, 유튜브의 특성과 만족을 일부 매개한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이 같은 연구결과는 온라인 영상 플랫폼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의 인식과 경험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며, 이용자의 만족을 위해 실무 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안들을 제시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아바타와의 동일시가 가상 패션 아이템 속성 지각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Identification with avatar and self-reference effects: Impact on perceived attributes and purchase intentions)

  • 최우진;이유리
    • 패션비즈니스
    • /
    • 제28권2호
    • /
    • pp.1-14
    • /
    • 2024
  • Within the metaverse platform, users engage in communication with others through 'avatars' reflecting their own identities. Users experience various virtual fashion items through avatars, and the fashion industry anticipates avatars wearing virtual fashion items as an emerging business opportunity. Many fashion brands are currently releasing virtual fashion items specifically designed for avatars.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impact of user identification with their avatar on their perception of the attributes of virtual fashion items (investment attractiveness, scarcity, playfulness, and aesthetics) and its influence on behavioral intentions. The research involved a survey of 250 females with prior knowledge of the metavers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research hypotheses and validate the model. The results confirmed that as users within the metaverse perceive greater identification with their avatar, they also perceive the attributes of virtual fashion items more favorably. This finding affirms the self-reference effect, where users positively evaluate objects associated with themselves. Additionally, perceiving the attributes of virtual fashion items was found to be positively linked to purchase intentions for virtual products and actual interest in the brand. Lastly, a higher intention to purchase virtual fashion items was associated with forming a more favorable attitude toward the respective brand. Consequently, this study provides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marketing strategies within the metaverse, emphasizing the active utilization of avatars and elements that facilitate user-avatar identification for effective engagement.

Evaluating the Current State of ChatGPT and Its Disruptive Potential: An Empirical Study of Korean Users

  • Jiwoong Choi;Jinsoo Park;Jihae Suh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33권4호
    • /
    • pp.1058-1092
    • /
    • 2023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erception and adoption of ChatGPT (a large language model (LLM)-based chatbot created by OpenAI) among Korean users and assesses its potential as the next disruptive innovation. Drawing on previous literature, the study proposes perceived intelligence and perceived anthropomorphism as key differentiating factors of ChatGPT from earlier AI-based chatbots. Four individual motives (i.e., perceived usefulness, ease of use, enjoyment, and trust) and two societal motives (social influence and AI anxiety) were identified as antecedents of ChatGPT acceptance. A survey was conducted within two Korean online communities related to artificial intelligence, the findings of which confirm that ChatGPT is being used for both utilitarian and hedonic purposes, and that perceived usefulness and enjoyment positively impact the behavioral intention to adopt the chatbot. However, unlike prior expectations, perceived ease-of-use was not shown to exert significant influence on behavioral intention. Moreover, trust was not found to be a significant influencer to behavioral intention, and while social influence played a substantial role in adoption intention and perceived usefulness, AI anxiety did not show a significant effect. The study confirmed that perceived intelligence and perceived anthropomorphism are constructs that influence the individual factors that influence behavioral intention to adopt and highlights the need for future research to deconstruct and explore the factors that make ChatGPT "enjoyable" and "easy to use" and to better understand its potential as a disruptive technology. Service developers and LLM providers are advised to design user-centric applications, focus on user-friendliness, acknowledge that building trust takes time, and recognize the role of social influence in adoption.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ASMR 콘텐츠 분야에 따른 소비자 인식 및 구전효과 차이점 분석: ASMR 제품리뷰 및 ASMR How-to 콘텐츠 중심으로 (The User Perception in ASMR Marketing Content through Social Media Text-Mining: ASMR Product Review Content vs ASMR How-to Content)

  • ;최재원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30권4호
    • /
    • pp.1-20
    • /
    • 2021
  • Purpose Nowadays, Autonomous Sensory Meridian Response (ASMR) is rapidly growing in popularity and increasingly appearing in marketing. Not even in TV commercial advertisement, ASMR also fast growing in one-person media communication, many brands and social media influencers used ASMR for their marketing cont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consumers' perceptions about the products in ASMR marketing content and compare the differences in communication effect of ASMR content creator between product review and how-to in the same Macro tier influencer - the YouTuber that has 10,000-100,000 subscribers. Design/methodology/approach The research methods selected ASMRtist that do product review content and how-to content, Text comments data was collected from 200 videos of tech-device review videos and beauty-fashion videos. A total of 52,833 text comments were analyzed by applying the LDA topic modeling algorithm and social network analysis. Findings Through the result, we can know that ASMR is good at taking attention of viewers with ASMR triggers. In the Tech device reviews field, ASMR viewers also focus on the product like product's performance and purchase. However, there are many topics related to reaction of ASMR sound, trigger, relaxation. In the Beauty-fashion field, viewers' topics mainly focus on the reaction of the ASMR trigger, response to ASMRtist and other topics are talking about makeup - fashion, product, purchase. From LDA result, many ASMR viewers comment that they feel more comfortable when watching the marketing content that uses ASMR. This result has shown that ASMR marketing contents have a good performance in terms of user watching experience, so applying ASMR can take more consumer intention. And the result of social network analysis showed that product review ASMRtist have a higher communication effectiveness than how-to ASMRtist in the same tier. As an influencer marketing strategy, this study provides information to establish an efficient advertising strategy by using influencers that create ASMR content.

간편송금 서비스 간소화에 따른 사용자의 불안감 해소방안 연구 (A Study on Ways to Relieve User's Anxiety Caused by Simplification of Easy Money Transfer Service)

  • 김소영;김승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1호
    • /
    • pp.293-299
    • /
    • 2022
  • 본 연구는 간편송금 서비스의 간소화에 따른 사용자의 불안감 해소방안에 관한 연구이다. 기술의 발전으로 금융 서비스는 점차 간소화되고 있지만, 오히려 사용자의 불안감은 증가하는 캐즘(chasm)이 발생한다. 연구 방법은 1차로 사용자의 기술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제시한 통합기술수용모형(UTAUT)의 요인을 기반으로 설문을 통해 서비스에 관한 인식과 기술 수용 의지를 알아보았다. 2차로 휴리스틱 방법론을 통해 도출한 송금 상황의 실시간 추적기능(tracking)을 제시한 후, 신뢰도와 이용 지속 의도에 관하여 심층 인터뷰하였다. 실험 결과 명확한 피드백의 제공은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불안감 해소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 수용의 캐즘과 관련해 디자인의 관점으로 접근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모바일 폰을 사용한 비디오 투과식 증강현실에서의 왜곡 보정과 시야각 조정 (Distortion Calibration and FOV Adjustment in Video See-through AR using Mobile Phones)

  • ;황재인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43-50
    • /
    • 2016
  • 이 논문에서는 스마트폰을 사용한 비디오 투과식 증강현실에서 왜곡 보정과 시야각 조정을 다룬다. 삼성 기어 VR이나 구글의 카드보드와 같은 스마트폰을 사용한 HMD(Head Mounted Display)에서는 일반적으로 렌즈로 인해서 영상이 왜곡되어 렌더링이 된다. 특히나 스마트폰을 사용한 증강현실에서는 스마트폰의 카메라와 HMD의 렌즈로 인해서 발생하는 왜곡이 합해져서 보다 복잡한 형태의 왜곡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왜곡은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인지나 인식 기능에 부조화를 야기하게 된다. 유리와 같은 투명 디스플레이를 궁극적인 형태의 HMD라고 생각하면 최대한 이런 왜곡을 없애서 투명한 것과 같은 효과를 주어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스마트폰 기반 비디오 투과식 증강현실 방식에서 왜곡을 보정하고 시야각을 조정하여 투명에 가까운 효과를 주는 방법을 제시한다. 논문에서 왜곡 보정 및 시야각 조정 모듈을 개발하고 이에 대한 성능을 측정하였다.

인터넷 의류 판매용 가상피팅모델의 개발을 위한 여성의 신체치수 인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women's perceived body size for developing virtual fitting model in e-retailing of apparel)

  • 천종숙;박진순
    • 감성과학
    • /
    • 제6권1호
    • /
    • pp.17-26
    • /
    • 2003
  • 의류상품의 전자상거래 시장이 확대됨에 따라 인터넷쇼핑에서 의류를 구매할 때 선택한 의류를 착용한 자신의 모습을 확인하는 도구로 가상피팅모델이 제공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상피팅모델 구축 시 사용자의 주관적인 체형인식을 반영할 필요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여성의 신체 치수나 체형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다른지 연구하였다. 의류학 전공 여자대학원 50명을 대상으로 실험한 본 연구의 결과는 인체부위에 대한 개인의 치수인식이 체형에 따라 다름을 보여준다. 연구자들은 인터넷 의류 쇼핑용 가상피팅모델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신체치수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인지하는 자신의 체형특성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고 결론지었다 특히 배가 많이 나온 체형도 자신이 실제보다 배가 나오지 않은 체형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여성이용자에게 거부되지 않는 가상피팅모델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지나치게 극단적인 체형의 가상피팅모델의 구축은 신중하게 고려해야함을 시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