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Perception of Suicide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24초

노인의 주관적 건강 인식과 삶의 질이 우울과 자살 생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Elderly's Subjective Health Perceptions and Quality of Life on Their Depression and Suicide Ideation)

  • 오창석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79-191
    • /
    • 2012
  • The study thus examined and analyzed 1,478 people aged 65 or older i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of 2010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fferences in the elderly'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depression & suicide ideation and in their subjective health perceptions and quality of life on their depression and suicide ideation. As a result,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suicide ideation were also caused by such quality of life variables as ill in bed, exercise capacity, self-management, daily activity, pain and uncomfortableness, and anxiety. The logistic analysis results of depression and suicide ideation according to the degree of subjective health perception show a significant finding that the better health perception they had compared with their very poor subjective health perception, the lower the odds ratio became. In the category of quality of life, only experience of uncomfortableness caused significant results on suicide ideation and depres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ill be of great use as basic data to intervene in the suicide route of the elderly and take measures to prevent suicide.

자살 태도, 삶의 인식, 우울이 청소년의 자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uicidal Attitudes, Perception of Life, and Depression on Adolescents' Suicide)

  • 이상은;이은진;함옥경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7호
    • /
    • pp.305-315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자살 태도, 삶의 인식, 우울이 자살(사고, 계획, 시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I 지역 중학교 2학년 학생 889명의 일반적 특성, 자살에 대한 태도(ATTS), 삶의 인식, 우울증(K-CESD-R) 등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살 사고가 있는 학생은 246명(27.6%), 자살 계획은 85 명(9.5%), 자살 시도는 46 명(5.1%)이었다.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외모 만족도가 낮을수록, 우울이 높을수록, 주관적 정신건강, 신체건강이 낮을수록, 여가 만족도가 낮을수록 자살(사고, 계획, 시도)이 높아졌다. 자살 사고의 예측 요인은 우울, 주관적 정신건강, 외모 만족도, 자살 태도 중 해결책, 허용성이었고, 자살 계획의 예측 요인은 우울, 주관적 정신건강, 자살 태도 중 해결책, 허용성이었고, 자살 시도의 예측 요인은 우울, 자살 태도 중 허용성이었다. 본 연구 결과는 청소년 자살 예방 교육에서 우울을 낮추고 삶의 인식과 자살 태도를 바꾸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ypes of Subjective Perceptions of Suicide among Young People in Their 20s and 30s

  • Eun-Mi PARK;Young-Sun LEE;Se Hui KIM
    • 식품보건융합연구
    • /
    • 제10권3호
    • /
    • pp.9-17
    • /
    • 2024
  • Purpose: This study aims to categorize the subjective perception of suicide of young social workers in their 20s and 30s, and to explore the factors constituting each type, and used the Q methodology. Research design, Research method: As a research method, the Q population was deriv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literature research, and the final 23 Q statements were confirmed. Next, 30 social workers in their 20s and 30s were classified by normal distribution on a 7-point scale as a P samp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QUANL-PC program. Resul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our types were extracted, and there were no affirmative statements commonly cited in all types, and the opposite statement is 'if someone wants to commit suicide, it is the person's job and should not interfere'. Types 4 named suicide as 'unacceptable social problem', 'signal of a request for help, relief of severe pain, and 'impulsive mistake', respectively. Conclusion: Based on this result, the elements constituting the perception of each type were analyzed, and the need for access strategies for each type of suicide prevention education and campaign, and follow-up research were suggested.

응급구조학과 학생들의 낙태와 자살에 대한 인식 (Paramedic students' perceptions of Abortion, and Suicide)

  • 백미례;우성희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7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708-711
    • /
    • 2017
  • 본 연구는 응급구조학과 학생들의 낙태, 자살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2016년 응급구조학과 학생 115명을 대상으로 8문항의 낙태 인식도구와 58문항의 자살 인식도구를 사용하였고 낙태와 자살 관련문항은 각각 6문항과 2문항이었다. SPSS 21.0 program을 이용하여 t-test와 ANOVA, 교차분석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낙태인식의 전체 점수는 $20.57{\pm}4.12$였고 자살인식의 전체 점수는 - $14.16{\pm}15.76$로 나타났다. 낙태 의사 결정자로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임신한 여성이라는 비율이 가장 높았고, 본인이나 친구가 원치 않은 임신인 경우 낙태를 하겠다가 가장 높았다. 자살을 생각해 본적이 있는 군이 남학생($-18.11{\pm}14.44$)과 여학생($-18.11{\pm}14.44$) 모두에서 그렇지 않은 군보다 자살인식이 높았고 여학생 중 가까운 지인의 자살 시도나 자살경험을 한 군($-17.82{\pm}17.89$)이 그런 경험을 하지 않은 군보다 자살 인식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죽음과 삶의 경계에서 늘 의사결정을 하여야하는 미래의 응급구조사인 응급구조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생명을 존중할 수 있는 윤리관을 정립할 수 있도록 생명윤리 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교과과정을 마련하고, 가족이나 지인의 자살을 경험한 적이 있는 학생들과 여학생들을 중점으로 한 계속적인 상담과 교육을 통해 긍정적인 자살인식수준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 PDF

청소년의 자살예방을 위한 게이트키퍼 행동 영향요인 (The Influencing Factors on GateKeeper Behavior of Adolescents for Suicide Prevention)

  • 오경옥;강문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1호
    • /
    • pp.431-438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자살예방을 위한 게이트키퍼 행동 영향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D 광역시 소재 5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학생이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21.0 program을 이용하여 서술통계, t-test, ANOVA, Multiple regression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결과, 대상자의 게이트키퍼 행동은 성별(t=2.85, p=.005), 학교유형(t=-2.81, p=.006), 가족이나 친구의 자살경험 여부(t=-2.09, p=.038)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자살예방에 대한 인식(r=.23, p=.006) 및 지식(r=.42, p<.001)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회귀분석결과, 자살예방에 대한 인식(${\beta}=.20$, p=.006)과 지식(${\beta}=.35$, p<.001)이 게이트키퍼 행동에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수는 게이트키퍼 행동에 대해 총 24.3%를 설명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을 대상으로 자살예방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지식 향상을 제공할 수 있는 중재 개발을 제언한다. 또한 추후 청소년의 자살예방을 위한 게이트키퍼 행동을 예측할 수 있는 다양한 변수를 확인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Study on Awareness of Suicide and Suicide Prevention Among Community Youth

  • Jiyoung Kim;Young-Hoon Ko;Ho-Kyoung Yoon;Boram Chae;Rayoung Han;Nayoung Chae;Jongha Lee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35권3호
    • /
    • pp.210-217
    • /
    • 2024
  • Objectives: South Korea has the highest suicide rate among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countries; there is an increasing trend in suicide attempts amo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Various factors contribute to the risk of suicide among adolescents, and the perception of suicide prevention has emerged as a significant factor.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emotional and behavioral difficulties amo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their perceptions of suicide prevention and to explore differences in suicide perception according to age.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communit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cluding 530 participants, between 2020 and 2021. Emotional and behavioral difficulties were assessed using the Strengths and Difficulties Questionnaire-Korean version, and participants were asked to complete a questionnaire on the importance and possibility of suicide prevention. A correlation test and analysis of variance were us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variables, and suicide awareness was compared according to age. Results: The participants who displayed higher strength or lower difficulty were more likely to respond positively to suicide prevention measures. They also exhibited high strength and low difficulty levels, thus agreeing with the importance of suicide prevention. Regarding age-related perceptions of suicide, adults aged 20-29 years reported the lowest probability of suicide prevention. Conclusion: Suicide perceptions influence the incidence of suicide. Therefore, active societal engagement through suicide prevention campaigns and related education is essential to improve such perceptions. Continuous attention and support are required to address this issue.

청소년 자살시도 관련 변인이 자살시도 유형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Variables Related to Suicide Attempt on the Types of Youth Suicide Attempt)

  • 이승진;유난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67-79
    • /
    • 2020
  • 본 연구 목적은 청소년 자살시도자의 양상을 분석하고, 개인심리(주관적 우울감, 주관적 스트레스), 건강상태(주관적 건강인식, BMI), 주관적 학업성적이 청소년 자살시도 유형(계획적 자살시도자와 충동적 자살시도자)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제 15차(2019년) 청소건강행태조사 원시자료를 사용하여 위계적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자살시도자의 양상을 살펴본 결과, 청소년 자살시도자 1,731명중 계획적 자살시도자가 1,575명(91%)으로 충동적 자살시도자 156명(9%)에 비해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성별을 살펴보면, 여성(67.3%)이 남성(32.5%)에 비해 자살시도가 높게 나타났고, 학교유형별로 보면 중학생(62%)이 고등학생(38%)에 비해 높은 자살시도율을 보였다. 둘째, 자살시도 유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은 '주관적 우울감', '주관적 스트레스', '주관적 건강인식'이었다. 우울감을 경험한 청소년의 경우 그렇지 않은 학생들에 비해 계획적 자살시도를 실행할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스트레스를 많이 느끼는 청소년의 경우에도 계획적 자살시도자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관적 건강인식의 경우 충동적 자살시도자가 계획적 자살시도자와 비교하여 1.32배 건강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나 건강하다고 생각하지 않은 청소년의 경우 계획적 자살시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BMI, 주관적 학업성적의 경우 청소년들의 자살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초로 가정과수업이나 창의적 체험활동에서 잠재적 청소년 자살시도 예방을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자살보도에 대한 지각과 인식: 사회학습효과의 검증 (The roles of perception and attitudes toward media reports of suicides in social learning effects)

  • 배준성 ;허태균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6권2호
    • /
    • pp.179-195
    • /
    • 2010
  • 기존의 논문들은 미디어의 자살보도와 시·공간적으로 근접한 자살사건 간의 관련성을 보고하고 그 영향에서의 사회학습적 효과를 제안했지만, 구체적인 심리적 과정을 확인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미디어의 자살보도가 우리나라 성인들의 지각, 기억, 태도에 영향을 미치고 결국 자살에 대한 태도와 인식을 변화시켜 모방자살을 증가시키게 된다는 사회학습과정에서의 인지적 기제를 확인하고자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300명의 일반 성인들을 대상으로 자살보도에 대한 지각, 기억, 태도, 그리고 자살보도의 부정적인 영향과 긍정적인 영향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고 마지막으로 자살에 대한 태도와 행동을 측정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일반인들은 보도내용 중에서 모방자살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내용들을 더 많이 기억하고 있었으며, 자살보도로 인한 부정적 영향과 국민의 알권리에 대한 이중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자살보도로 인해서 자살자가 얻는 보상에 대한 지각이 모방자살에 대한 긍정적 생각과 태도를 일으키는 것으로 밝혀져 모방자살에서의 사회학습적 기제의 역할을 지지하는 결과를 얻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하여 향후 미디어의 자살보도에 대한 심리학적 접근의 방향과 자살보도의 제한에 대한 함의점을 논하였다.

  • PDF

대중매체의 자살보도 및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uicide Ideation on Suicide Reports of Mass Media and Social Support in College Students)

  • 한수미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33-142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suicide reports by mass media and social support on suicide ideation for college students. Methods: Participants are 350 undergraduate students in one university. This study uses three questionnaires: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 Suicide Reports, Social Support, and Suicidal Ideation. The SPSS/WIN 12.0 program is used to analyze the data. In particular, the participants' biographical data are analyzed into frequency and percentage. The degrees of suicide reports, social support, and suicide ideation are calculated into Mean and SD. Moreover, the suicide ideation by suicide report and social support are analyzed by the two-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Results: This study reveals that college students have an average of 30 minutes to one hour news time a day (38.9%) and have at least one suicide report in a month (30.3%). 79.7% participants believe that the suicide report of mass media results in the cause of the copycat suicide. In terms of suicide report and suicide ideation, the types of mass media (F (4,340)=2.41, p<.05) and suicidal urge (F (1,340)=31.23, p<.01), respectively, have significant influences on suicide ideation. On the other hand, the social support and suicide ideation, whether college students have their mentors (F (1,328)=13.26, p<.001) and/or careres (F (1,328)=26.84, p<.001) have significant influences on suicide ideation. Conclusion: College students have higher suicide ideation at news by internet site rather than by radio, TV, and so on. Moreover, college students who have a suicide feeling in the last one year, have more suicide ideation than who have not. On the other hand, college students who have a mentor and carer tend to have less suicide ideation.

  • PDF

Association between Perceived Parenting Style and Adolescents' Attitudes toward Suicide

  • Choi, Seo-Hyun;Lee, Sang-Eun;Lee, Chai Won;Maeng, Seri;Son, Jisung;Kim, Won-Hyoung;Bae, Jae Nam;Lee, Jeong Seop;Kim, Hyeyoung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31권4호
    • /
    • pp.193-200
    • /
    • 2020
  • Objectives: Adolescent suicide, a major cause of adolescent death, is affected by various factors, including attitudes toward suicid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parenting style and adolescents' attitudes toward suicide and the mediating role of attitude toward suicide between parenting style and suicidal ideation. Methods: We surveyed 1,071 adolescents from eight middle schools in Incheon, Korea. The survey included sociodemographic information, attitudes toward suicide, perception of parenting style, depression severity, and suicidality. Results: Students in the authoritarian parenting group had a more permissive attitude toward suicide compared with the democratic and permissive parenting groups. These students considered that suicide is justified in certain situations and that choosing suicide is an individual's right. They also had a negative attitude toward talking about suicide or intervening in others' suicide. This association remained statistically significant after adjusting for the impact of confounding factors that could affect attitudes toward suicide, except for suicidal processes and preparedness to prevent suicide. In the mediation analysis, we observed that some factors of the attitudes toward suicide mediated between authoritarian parenting attitudes and suicidal ideation, namely, suicide as a right, preventability, suicide as normal/common, preparedness to prevent suicide, and resignation. Conclusion: This study revealed the significant impact of parenting style on children's attitudes toward suicide. Educating parents about the appropriate parenting attitudes-sympathetic and rational-can help prevent youth suici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