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ceived consumption value

검색결과 111건 처리시간 0.036초

지각된 소비가치가 브랜드 동일시, 감정몰입 및 행동몰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erceived Consumption Value on Brand Identification, Emotional Commitment and Behavioral Commitment)

  • 윤성욱;서미옥;윤동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5989-5997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의 지각된 소비가치 요인을 도출하고, 이러한 소비가치의 요인이 브랜드 동일시와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의 감정몰입과 행동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브랜드에 대한 지각된 소비가치를 기능적, 심리적, 개성추구적 가치의 세 가지 개념으로 정의하였고, 이들 가치가 브랜드 동일시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것은 다시 브랜드에 대한 감정몰입 및 행동몰입에 그리고 감정몰입은 행동몰입에 서로 미치는 효과를 검증해 보았으며, 소비가치의 구성 요소들이 브랜드 동일시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의 크기도 검증해 보았다. 이를 위해 브랜드 제품사용 경험이 있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210부의 설문지를 이용한 구조방정식모델 분석을 통해 변수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심리적 가치와 개성추구적 소비가치는 브랜드 동일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기능적 소비가치는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브랜드 동일시는 브랜드에 대한 감정몰입 및 행동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감정몰입은 행동몰입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브랜드 동일시에 대한 소비가치의 상대적 영향력은 심리적 가치가 개성추구적 가치보다 크게 나타났다. 결론에는 연구결과 요약과 시사점, 그리고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하였다.

대학생의 문화적 가치와 개별특성이 외식에 대한 소비자태도와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The Effect of Cultural Values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on Consumer Attitude and Consumption Behavior of Food Away from Home for College Students)

  • 유소이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79-393
    • /
    • 2010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stimate the effect of related factors such as cultural values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to consumer attitude, and furthermore to estimate the effect of consumer attitude and related factors such as price perception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to consumption behavior(expenditure) of food away from home. To do thi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college students and a 2 step approach by using LIMDEP program was applied to estimate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Consumer attitude toward food away from home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some cultural values such as health, sensibility, socially responsible consumption and religion,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ch as sex and pocket money. If they perceived more positively about the value of health, sensibility and religion, they would be likely to have more positive attitude, while they perceived more negatively about the value of socially responsible consumption, they would be likely to have more negative attitude. In addition, if they were females and had much more pocket money, they would be more likely to have more positive attitude. 2) Expenditure of food away from home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age and pocket money, while consumer attitude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expenditure of food away from home at the second stage i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It might imply that consumption behavior of food away from home for college students would be more constrained by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ch as sex and economic capital.

소비가치가 친환경 화장품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nsumption Value on Eco Friendly Cosmetics Purchasing Behavior)

  • 강현경;조혜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562-571
    • /
    • 2021
  • 본 연구는 친환경 화장품에 대한 소비가치가 소비자 효과성과 시장 영향력, 그리고 친환경 화장품 구매행동과의 관계를 공분산 모델을 통해 검증하였다. 조사대상은 최근 6개월 이내 친환경 화장품을 구매한 적이 있는 20대 이상 여성 소비자로 2020년 5월 17일부터 5월 30일까지 온라인 전문조사기관의 패널을 통해 300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친환경 화장품에 대한 소비가치로 기능적 가치, 사회적 가치, 녹색 소비가치가 도출되었다. 사회적 가치와 녹색소비가치는 소비자 효과성과 시장 영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기능적 가치는 영향관계가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소비자 효과성과 시장 영향력은 친환경 화장품 구매행동을 증진 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친환경 화장품 구매에 있어서 환경문제에 대한 지각수준(소비자 효과성, 시장 영향력)이 가지는 중요성을 규명하였고 소비자들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친환경 제품 개발과 마케팅전략 수립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비대면시대 소비자의 무인점포 지속적이용의도에 관한 연구: COVID-19 사회적 위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Consumers' Intention to Continue Use of Unmanned Stores in the Non-face-to-face Era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COVID-19 Social Risk)

  • 오종철
    • 벤처혁신연구
    • /
    • 제3권2호
    • /
    • pp.1-21
    • /
    • 2020
  • 최근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새로운 기술들의 등장은 사회전반은 물론 소매업에도 큰 변화를 일으켰다. 소매업에서는 새로운 기술 기반의 무인점포가 등장하여 소비자들의 소비행태를 변화시키고 있다. 특히 2019년 12월 등장한 COVID-19로 인한 전 세계적인 팬데믹은 사회적 위험을 높였고 이로 인해 비대면 시대가 시작되면서 무인점포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무인점포 이용자가 지각하는 혜택 요인(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경제성, 지각된 즐거움, 상대적 이점)과 희생 요인(지각된 위험, 기술성)이 지각된 가치를 매개로 지속적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한다. 또한 COVID-19로 인한 사회적 위험이 무인점포를 통한 소비과정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를 실증분석을 통해 검정하는 연구이다. 본 연구는 비대면시대에 무인점포의 활성화를 위한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본 연구는 연구의 가설검정을 위해 무인점포 이용자를 대상으로 총 293부의 데이터 수집하였다. 또한 수집된 데이터는 SPSS 21.0과 AMOS 21.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무인점포의 지각된 혜택(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경제성, 지각된 즐거움, 상대적 이점)은 모두 지각된 가치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인점포의 지각된 희생(지각된 위험, 기술성)은 모두 지각된 가치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무인점포에 대한 지각된 가치는 지속적이용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COVID-19로 인한 사회적 위험은 무인점포에 대한 지각된 희생이 지각된 가치에 영향을 미칠 때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Role of Perceived Value of Avatar's Virtual Fashion in Metaverse on the Impact of Sense of Presence on Purchase Intention

  • Eun-Jung Lee;Ji-Hye Jeo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6권3호
    • /
    • pp.334-345
    • /
    • 2024
  • With the advent of Metaverse, a promising new era for business on virtual reality (VR) platforms has dawned. In this rapidly expanding Metaverse platform, the potential for virtual fashion marketing through avatars is vast, with leading fashion brands already making strides by creating virtual fashion stores or hosting virtual fashion shows. However, the research on fashion-related industries in this newly emerging virtual world platform is still in its infancy. This study sought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taverse and the factors that influence how the perceived value of virtual fashion products affects purchase intention. A survey was conducted with three hundred Korean respondents, and the hypothesis was verified through analysis using the SPSS statistical program. Our analysis revealed that the sense of presence significantly influences the value of fashion products on the Metaverse platform. As a result, the sense of presence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emotional, visual authority, and economic value of the avatar virtual fashion perceived by users. Second, enjoyment, visual authority, and economic value influence users' intention to purchase virtual fashion items. In addition, all of these perceived value factors were confirmed to have a significant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impact of the presence of the Metaverse platform on the purchase intention. Through this study, we empirically analyze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taverse platform and the virtual fashion experience using avatars - a topic that has yet to be covered. We formed new insights into virtual fashion consumption, providing primary data for related research streams. Our survey respondents consisted only of those with recent Metaverse experience, so the research results were highly effective.

패션 디자이너 브랜드의 SNS 정보전달 유형의 효과 -SNS 소비가치, 제품태도, 구매의도의 관계- (Effects on SNS Communication Types of Fashion Designer Brands -SNS Consumption Value, Product Attitude, and Behavioral Intention-)

  • 이수진;이유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996-1011
    • /
    • 2023
  • This study introduces an effective marketing strategy for fashion SMEs and small designer brands utilizing Instagram as a social networking platform. The research compared the impact of two information delivery types (native advertisements vs. live streaming after native ads) and two types of promotional messages (scarcity vs. price discount) on SNS consumption value, and product attitude toward fashion designer brands. The study involved surveying 251 Korean women aged 25-55 with experience in buying designer products and using SN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6.0 and Process Macro v3.5. Results indicated that both native advertisements and live streaming enhance economic and social values in SNS consumption. Live streaming with price discount messages generates higher perceived SNS consumption values compared to scarcity messages. Consumers showed a more favorable attitude toward designer brand products when watching the live streaming of price discount messages rather than scarcity messages. The findings emphasize that the broadcast host actively induced participation to reveal viewers' social presence through comments or emphasized discount messages such as ultra-special prices during live streaming on Instagram.

한국과 베트남 소비자의 지각된 가치가 베이커리 브랜드 선호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Perceived Value Effects on Global Brand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in Bakeries: Korean and Vietnamese Consumers)

  • 조준상
    • 유통과학연구
    • /
    • 제13권9호
    • /
    • pp.59-70
    • /
    • 2015
  • Purpose - This study aims to suggest strategies for Korean enterprises advancing into the Vietnam bakery market by analyzing the effects of perceived values on brand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among Korean and Vietnamese consumer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perceived value model designed includes functional (price, quality), emotional, and social values. The survey collected data from 500 consumers in Seoul (Korea) and HoChiMinh (Vietnam). The SPSS 18.0 package was used for analysis. Results - First, among Vietnamese consumers, perceived value had a positive (+) effect on global brand preference in the order of functional value of quality, social value, and the functional value of price. However, from an ethnocentric trend and brand image origin, emotional value had a negative effect on global brand preference. In contrast, among Korean consumers, perceived value had a positive (+) effect on global brand preference in the order of functional value of quality, the functional value of price, and the social value. However, emotional value had no effect on global brand preference. Second, for both Korean and Vietnamese consumers, perceived value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Third, unlike the Korean consumer, for the Vietnamese consumer, global brand preferen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Conclusions - The study implies the following. First, the Vietnamese bakery market has a high proportion of middle-aged customers in their 40s (64%). In terms of monthly income, there was a large proportion (40%) of high-income earners (over $325). Therefore, bakery consumption can be seen as concentrated among middle-aged and high-income consumers. Based on this, bakery strategies should include efforts to increase purchase prices as well as ways to attract local consumers (large cities). Second, unlike Korean consumers, among Vietnamese consumers, the resistance to a global brand based on emotional value (the ethnocentric tendency and brand image origin) can be seen as relatively low. Thus, in the case of the Vietnam bakery market, to increase a global brand's preference, the company should develop a differentiated strategy so that Vietnamese consumers can recognize it better, focusing on product quality, good service quality, and price in the local environment and on social value for social development. Third, in the case of the Vietnamese customer, we found that social value exerts the greatest influence on purchase intention. Therefore, a brand that engenders an image of building the local Vietnamese community can achieve a higher social value and influence purchase intention. In addition, although Vietnamese consumers have ethnocentric tendencies in terms of products, we found that if it is a preferred global brand then there are intentions to purchase. Fourth, in the case of Vietnam, if the preference for global brands is formed, consumer awareness may be connected to purchase intention. Therefore, global brands operating in Vietnam should pay attention to how to improve consumer preferences for global brands in order to increase purchase intention.

패션 브랜드 자산가치(資産價値)의 구성요인(構成要因)에 관(關)한 연구(硏究) - 진(Jeans)브랜드를 중심(中心)으로 - (A Study on Components of Fashion brand equity - Emphasis on Jeans brands -)

  • 이지원;나수임
    • 패션비즈니스
    • /
    • 제10권2호
    • /
    • pp.117-146
    • /
    • 2006
  • The brand equity is defined differently as each view of careers such as consumers, producers, distributors, however, the brand loyalty can be thought to be made from consumers, which means that it can be more reasonable to be looked into as part of consumer rather than financial affairs or account. The brand equity based on the customers' perception can be called the preference that it be made after the presence of brand. The value of the brand that consumers feel emotionally is as important as the value of the brand in the real market.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brand loyalty in the future by the consumers' inclinable feeling to the brand. This inclinable feeling to the brand can be connected to the purchase, however, it shows that the importance of consumer's emotional attitude to the brand is less considered in the existing studies. This study showed that the brand awareness and the brand experience after using it, the identity as perceived quality, brand personality, consumption emotion, the brand image and how the consumer emotionally feel the brand, the brand loyalty for fashion br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how to build the value of the fashion brand equity after investigating into those factors.

디지털 문화콘텐츠의 고객만족도 및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Customer Satisfaction and Purchase Intention of Digital Cultural Contents )

  • 왕루;짱신단;방기위;배기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333-346
    • /
    • 2021
  • 본 연구는 중국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디지털 문화콘텐츠의 특성, 지각된 가치와 위험이 고객만족도 및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향후 디지털 문화콘텐츠 발전에 일조하는데 있다.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총 328부 설문지를 수집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문화콘텐츠의 특성인 창작성을 제외하여 오락성과 상호작용성은 고객만족도와 구매의도에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친다. 둘째, 지각된 가치는 고객만족도와 구매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지각된 위험은 고객만족도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셋째, 오락성, 상호작용성, 지각된 가치 3가지 요인과 구매의도 간에 고객만족도는 부분 매개효과를 미친다. 따라서 디지털문화콘텐츠의 발전을 촉진하기 위해 내용 오락성, 내용 생산자 및 서비스 제공자 간의 의사소통 개선, 그리고 고객의 소비과정 중에서 실제 느끼는 효용 및 가치를 높임을 통해 만족도를 향상시켜서 구매행동을 추진하게 되는 것이다.

비건 화장품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소비자 가치 인식, 환경적 동기 및 지각된 장벽의 영향 분석 (Analyzing the Effects of Consumer Value Perception, Environmental Motives, and Perceived Barriers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Vegan Cosmetics)

  • 이은희;배승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1043-1054
    • /
    • 2023
  • 비건 화장품 시장이 급성장하는 가운데, 소비자의 환경 및 윤리적 가치 지향이 강화되고 있지만, 이에 관한 연구는 제한적이다. 본 연구는 비건 화장품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주는 소비자의 가치 인식과 환경 동기, 그리고 지각된 장벽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300명의 비건화장품 사용 경험이 있는 여성을 대상으로 PLS-SEM 분석을 진행한 결과, 금전적 가치, 사회적 가치, 브랜드 가치, 감정적 가치, 품질 가치, 그리고 환경 지식이 구매의도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조절 효과 분석에서는 이미지 장벽과 가치 장벽이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중요도-성능 지도 분석을 통해, 감정적 가치가 비건 화장품의 구매의도를 강화하는 전략적 결정에 중요한 핵심 요인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는 비건 화장품 시장의 경쟁력 강화와 지속 가능한 소비 태도 활성화에 대한 이론적 및 실무적 기여를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