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ceived Suitability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36초

패션기업의 CSR 활동 유형에 대한 소비자의 인지적 적합성이 소비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Consumer Behavior according to their Perceived Suitability toward the Type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 이정임;신수연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888-899
    • /
    • 2011
  • Fashion companies make use of diverse strategies to have a competitive edge as there is a growing fierce competition. According to earlier studies, consumers prefer the products and services of companies that direct their energy into CSR activities if there's little disparity in quality of products and services among the companies. The way consumers look at the CSR activities of businesses is very important for the companies since it is linked to their evaluation and image of the companies and indulgencies on their word-of-mouth, purchase and loyalty. It's not quite advisable for fashion companies to make an investment in CSR activities without any specific plans or conviction of the effectiveness of the activities. Actually, lots of domestic companies fail to success their CSR activities, despite of their hard efforts.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ppropriateness of corporate CSR activities, the attitude of customers to companies and their intention of recommendation and purchase in detail, and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strategy setting for the CSR activities of fashion businesses.

ChatGPT의 특성이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교사의 디지털 기술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fluence of ChatGPT Characteristics on Acceptance Intention: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Teachers' Digital Technology)

  • 김효정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135-145
    • /
    • 2023
  • ChatGPT is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conversation agent developed by OpenAI using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echnology. In this study, an empirical study was conducted on incumbent teachers on the intention to use the newly emerged Chat GPT. First, we studied how accuracy, entertainment, system accessibility,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affect ChatGPT's acceptance intention. In addition, we analyzed whether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differ in the intention to accept depending on the digital technology of teacher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uitability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generally good. Accuracy and entertainment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and system accessibilit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ease of use. In the analysis of teachers' digital technology control effects, it was found that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had a control effect between acceptance intentions. It was found that the group with high digital skills of teachers was strongly intended to accept the service regardless of perceived usefulness and ease of use. In the group with low digital skills of teachers, it is thought that ChatGPT's service shows the acceptance intention only when the perceived usefulness and ease of use are high. Therefore, in the group with low digital technology, it is necessary to seek teaching activities such as the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models using ChatGPT.

Mobile Banking 사용 의도 결정 요인 (Determinants of the user's Intention to use of Mobile banking)

  • 한상일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35-157
    • /
    • 2005
  • 기술수용모델과 계획행동이론 관련 연구들을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는 기술수용모델의 구조를 유지하면서 한 가지의 신뢰 관련 요인(인지된 신뢰성)과 두 가지의 인지된 행위 통제 요인(인지된 유효성과 인지된 비용),그리고 국내의 특성을 고려한 기술적 적합성 항목을 모델에 추가하여 모바일 뱅킹 분야에 적합하게 기술수용모델의 적응성을 확장하였다. 국내에서 182개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구조방정식 모델 기법을 이용,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모바일 뱅킹 채택에 대한 사용자 의도를 예측하는데 있어서 본 연구에서 사용된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지지하고 있다. 또한 정보기술/시스템 수용과 모바일 뱅킹 시스템 운영의 실제적인 시사점들이 논의되어졌다.

  • PDF

모바일 간편 결제 서비스 수용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중국사례를 중심으로 (An Empirical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Acceptance of Mobile Easy Payment Services: A Case of Chinese User)

  • 진로;이동명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1-13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중국 사례를 중심으로 모바일 간편 결제 서비스의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기 위하여 연구모형을 설계하였다. 이를 위해 서비스 특성(즉시 접속성, 경제성, 보안성), 사회적 특성(주관적 규범, 이미지), 개인적 특성(자기 효능감, 개인 혁신성, 적합성), 지각된 용이성, 지각된 유용성과 수용의도를 연구변수로 도입하여 연구모형을 제시하고 모바일 간편 결제 서비스 사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서 최종 439부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2.0과 AMOS 23.0을 이용하여 제기된 연구가설을 검증했다. 분석 결과에 의하면 서비스 특성, 사회적 특성, 개인적 특성은 지각된 용이성과 지각된 유용성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각된 용이성은 지각된 유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각된 용이성과 지각된 유용성은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상담사의 말더듬 성인에 대한 직업 추천 양상과 관련 요인 분석 (Occupational advice from vocational counselors for adults who stutter and associated factors)

  • 박진;장혜경;신형탁;조남빈;박희영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1권2호
    • /
    • pp.65-76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직업상담사를 대상으로 한국고용노동부에 수록된 31개의 직업군들을 바탕으로 말더듬 성인을 위한 직업 추천 양상에 대한 실증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총 69명의 직업상담사(실험조건 당 23명)로 하여금 말더듬 성인을 통해 생성된 세 가지 발화샘플(유창한 발화, 덜 심한 말더듬, 심한 말더듬) 중 하나를 듣고 제공된 척도질문지(직업 관련 말하기 요구량 척도, 직업 관련 교육 수준 척도, 직업 조언 척도, 의사소통 평정 척도, 의미 차이 평정 척도)를 통해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두 말더듬 상황에서 직업 관련 말하기 요구량이 높은 직업군은 낮게 추천한 반면, 직업 관련 말하기 요구량과 교육 수준 정도가 모두 낮은 직업군은 높게 추천되었다. 또한 의사소통 평정에 있어 실험조건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지만, 의미 차이 평정에 있어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직업 추천 정도와 관련해 직업 관련 말하기 요구량 인식 정도는 유의한 수준에서 부적 상관관계가, 의사소통 평정은 유의한 수준에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의미 차이 평정에 있어서도 유의한 수준에서의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는 의사소통장애인으로서 말더듬 성인이 직업과 관련해 상당한 역할 제한성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라 할 수 있다.

패션 가상현실(VR)매장의 비주얼 머천다이징(VMD) 구성요소가 기술 수용의 심리적 효용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Visual Merchandising (VMD) Components of Fashion Virtual Reality (VR) Stores on Psychological Benefits of Technology Adoption)

  • 간정미;이은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4호
    • /
    • pp.601-610
    • /
    • 2023
  • 본 연구는 가상현실(VR) 매장의 VMD 구성요소가 기술수용의 심리적 효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분석결과, 패션 가상현실(VR) 매장의 VMD 구성요소 중 체험성, 심미성, 적합성은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사용 용이성, 지각된 유희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나, 유행성은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사용 용이성, 지각된 유희성 모두에 유의한 영향이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아직 충분히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패션 가상현실(VR) 매장의 VMD 구성요소를 추출하고 기술수용의 심리적 효용과 패션 가상현실(VR) 매장의 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를 갖는다.

공공분야의 지식관리 시스템 도입요인과 보상요인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KMS Adoption Factor and the Compensation Factor on the Business Performance of Public Organization)

  • 구병관;이선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418-429
    • /
    • 2012
  • 본 연구는 평가와 보상요인이 지식관리 시스템 도입요인(조직특성, 지식정보특성, 이용자특성)과 성과요인 간에 조절적 역할을 하고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조직 유연성, 신뢰, 지식의 적합성, 기능의 제공정도, 인지된 이익 요인은 KMS 활용도에 조절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사용 용이성, 이용자 전문성 요인은 KMS 활용도에 조절적인 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KMS 만족도에는 조직 유연성, 신뢰, 기능의 제공 정도, 이용자 전문성 요인은 KMS 만족도에 조절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지식의 적합성, 사용 용이성, 인지된 이익 요인은 KMS 만족도에 조절적인 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화된 썸네일 큐레이션 사용성 평가 -넷플릭스 사례를 통한 UX study- (An Empirical Study of Personalized Thumbnail Curation of Netflix)

  • 박시원;박지수;강지수;이보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0호
    • /
    • pp.265-274
    • /
    • 2021
  • 본 연구는 기술수용모델을 기반으로 넷플릭스 썸네일 큐레이션에 대한 사용자 경험에 대해 실증적으로 접근했다. 상관관계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썸네일에 대한 의존도가 높을수록 썸네일 큐레이션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고, 썸네일 정보 유용성과 썸네일 이용 용이성은 썸네일 큐레이션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특히 썸네일 이용 용이성의 경우, 세부 변인 가운데 썸네일 적합성에 대한 영향력이 가장 높게 제시되었으며, 이 변인은 썸네일 큐레이션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도 입증되었다. 또한 넷플릭스 썸네일 큐레이션의 만족도는 넷플릭스 전체 만족도와 행동적 이용 의사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본 연구를 통해 넷플릭스 썸네일 큐레이션 사용성 평가도구로써 기술수용모델의 적합성이 입증되었다.

전자교육공동체에서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사용용이성이 학습자의 몰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on Learner Flow in e-Learning Community)

  • 김성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87-97
    • /
    • 2006
  • 이 연구는 전자교육공동체(e-learning community)에서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사용용이성이 학습자의 태도적 몰입과 행동적 몰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살피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관련 선행연구 특히, 기술수용모형(Technology Acceptance Model)을 토대로 연구모형과 다섯 개의 연구 가설들을 세웠다. 잠정적인 모형에서 제시된 가설들을 검증하기 위해 측정도구를 개발했다($Cronbach\;{\alpha}=.88$). 가설검증을 위한 자료 수집은 예비교사를 위한 전자교육공동체의 회원 6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지각된 유용성이 태도적 몰입에 영향을 미친다(가설 II), 지각된 사용용이성이 태도적 몰입에 영향을 미친다(가설 III), 그리고 태도적 몰입은 행동적 몰입에 영향을 미친다(가설 IV) 등 세가지 가설은 채택되었으며, 지각된 사용용이성이 지각된 유용성에 영향을 미친다(가설 I), 지각된 유용성이 행동적 몰입에 영향을 미친다(가설 V)는 가설들은 기각되었다. 이 경로분석 결과를 토대로 수정한 모형은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X^2$ 값은 4.29, 유의확률.23으로 유의수준.05에서 모형과 자료가 일치한다는 영가설이 채택되었다. 표본크기에 영향을 받지 않는 적합도 지수인 RMSEA, NNFI, CFI 값은 각각.08,.94,.97로 비교적 높은 적합도 수준을 보였다. 이 연구는 전자교육공동체에서의 학습자 몰입을 촉진하기 위해 설계 시 고려해야 할 중요한 시사점들을 제공해 준다는데 의의가 있다.

  • PDF

골프웨어 브랜드의 스폰서십에 대한 소비자 인식이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nsumer Cognition about Golf Wear Brand Sponsorship on Customer Loyalty)

  • 권유진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480-494
    • /
    • 2016
  • This study focuses on influential relationships for consumer's cognition about sponsorship, consumer-brand relationship, brand equity,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To accomplish it, a questionnaire survey (answered by 600 males and females over the age of 20) was conducted by an Internet Research Company from October $5^{th}$ to $20^{th}$ in 2011.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First, consumer's cognition about sponsorship consisted of sponsorship interest, sponsorship importance, sponsor-sponsorship suitability, and sponsorship expectation. Consumer-brand relation consisted of personal attachment, trustful relationships and commitment relationships. Brand equity for golf wear consisted of three factors (brand awareness, brand image, perceived quality).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consisted of one factor. Second, the commitment relationship was influenced by sponsor-sponsorship suitability, sponsorship interest, sponsorship importance and sponsorship expectation. However, personal attachment was influenced by only sponsorship interest and sponsorship expectations. The trustful relationship was influenced by all factors of consumer cognition, except sponsorship interest. Customer loyalty was influenced by consumer's cognition about sponsorship, consumer-brand relationship, brand equ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The leverage of consumer-brand relationship and consumer's cognition for sponsorship was notably larger than ot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