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Perceived Importance

Search Result 1,158,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환경의 동태성이 거래특유투자, 기호주의, 갈등 그리고 신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Dynamism on Transaction Specific Investment, Opportunism, Conflict and Trust)

  • 이종태;오세조;성민
    • 한국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유통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165-191
    • /
    • 2005
  • 유통경로 관리에서 유통환경을 명확히 이해하고, 그것이 유통경로 시스템에 주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인지하면서도 환경의 영향에 대한 이론적 ·실증적 연구는 그다지 활발하지 못했다. 특히 기존의 유통경로 연구들은 환경이 유통경로에 영향을 미치는 메커니즘을 다양한 관계특성과 관계의 질 측면에서 다루지 않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환경차원 중 환경의 동태성이 유통경로 구성원 간 관계특성인 신문사의 거래특유투자, 신문사의 기회주의, 그리고 신문지국의 갈등에 미치는 영향과 그러한 관계특성들이 유통경로 구성원 간 관계의 질인 신뢰, 즉 신용과 호의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국내 한 신문사에 소속된 신문지국의 지국장 163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해 분석한 결과, 환경의 동태성은 신문사의 기회주의 및 신문지국의 갈등과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신문사의 거래특유투자와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문사의 거래특유투자는 신용과 호의에 각각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신문사의 기회주의와 신문지국의 갈등 수준은 신용과 호의에 각각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 연구는 요즘과 같이 환경의 동태성 수준이 높은 상황에 처한 신문사에게 신문지국과의 장기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발전시키기 위한 필수조건인 신뢰를 형성하기 위해 어떠한 관리적 측면의 노력이 필요한지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습지 이용자 생태의식과 시설선호도 연구 - 우포늪을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Wetland User's Eco-consciousness and Preference of Amenities - Focused on Upo Marsh Users -)

  • 정재만;오정학;김진선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77-91
    • /
    • 2013
  • The researcher noted the fact that wetland users are more and more diversified while people are more conscious of their ecological importance. Wetlands tend to be very sensitive in ecological terms, and therefore, they can hardly accommodate their users' needs indefinitely. With such basic perception in mi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wetland users' eco-consciousness, determine their traits, analyze the corelation between their traits and preferences of wetland amenities, and thereby, provide the data useful to planning of an effective wetland management policy. To this end, the researcher sampled nation's largest wetland, Upo Marsh located in Changnyeong for a questionnaire survey. Wetland users' eco-consciousness was measured, using Dunlap's NEP (New Ecological Paradigm) approved by many researchers. Wetland users' preferences of the wetland amenities were measured, centered around 11 amenity types observed commonly at the domestic wetlands. As a result of the survey conducted in October, 2012, a total of 228 effective samples were acquired. Wetland users' eco-consciousness was higher than normal, scoring 3.45 on the 5-point scale consisting of 5 sub-scales. In particular, users were more conscious of 'the possibility of an eco-crisis,' while being less conscious of 'ejection of exemptionalism.' As a result of classifying the users into 3 sub-groups in reference to their eco-consciousness and analyzing their preferences of amenities comparative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all 3 sub-areas. In particular, the sub-group most eco-conscious tended to prefer the learning amenities, but the least eco-conscious sub-group tended to prefer the utilities. As a result of the post-hoc test, it was found that most and normal eco-conscious sub-groups were more or less homogeneous, while the least eco-conscious sub-group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former 2 sub-groups in terms of eco-consciousness. As the wetland users were found to be diversified in terms of their eco-consciousness, it is necessary to plan the wetland management policies in consideration of such differences. However, it is perceived that the wetland amenities need to be built to meet the more eco-conscious users.

화재에 대한 부모경험을 통한 인식도와 부모교육 요구도 분석 (Analysis of perception and parent education demand through parent experience of fire)

  • 김인정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85-93
    • /
    • 2013
  • This study is based on parents that have preschool children of age 4~5, and analyzes the perception and parent education demand through parent experience of fire. As a result of the study about perception through parent experience about safety life, safety accidents, safety education of fire, the effect of parents' safety consciousness to fire safety life turned out to be moderate for fathers and large for mothers. The safety education method was mostly done in speaking than experience for fathers, while mothers did education through experience in daily life. Also the difficulties in safety education was lack of educating time for fathers while it was lack of knowledge and methods for mothers. Perception through parent experience of fire safety accidents showed that fathers did not have experience of fire safety accidents while mothers did. The locations perceived by parents where fires mostly occurred showed to be within home for both parents, and both administered first aid in managing fires. Perception through parent experience of fire safety education showed the importance of fire safety education to be important in both parents, and both parents had no experience in fire safety education. Also the fire safety education knowledge acquisition method was TV or the Internet for fathers, while it was participating in seminars or lectures for mothers. Fathers were moderately satisfied of the fire safety education instruction of childhood education centers, while mothers were slightly dissatisfied. For the demand of parent education about fire safety education, fathers were moderate while mothers thought it necessary of parent education necessity. The reason why parent education was needed was to be able to know immediate and prompt measures and first aid treatment in emergency situations for fathers, while it was to figure out the cause of fire safety accidents and prevent it beforehand for mothers. For the education institution of fire safety education, fathers demanded it for safety related institutions while mothers demanded it for children education institutions, and the number of times for parent education was once or twice a year for fathers while it was once a month for mothers. For the parent education instructor of fire safety education, fathers demanded safety education experts while mothers demanded infant teachers that completed the safety education course. For the fire safety education method of parent education, fathers demanded Internet searching while mothers demanded seminars or lectures.

그린 IT기반 도서관의 친환경성 구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Eco-friendly Green IT-based Libraries)

  • 노영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5-28
    • /
    • 2020
  • 도서관에 디지털 자원 및 IT자원을 적극적으로 적용하고 활용함으로써 지구의 지속가능성에 기여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 논의하기 위해 본 연구가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공공도서관 사서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서들의 환경문제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 및 친환경활동 실천정도는 매우 높게 나타났으나, 도서관 그린 IT에 대한 인식이나 친환경관련 용어에 대한 친숙도는 매우 낮게 나타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서관에 그린 IT를 적용하는 것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높은 동의도를 보여주었다. 둘째, 친환경성 및 도서관의 녹색화에 가장 높은 기여도가 있다고 평가된 영역은 장비 및 제품 운영 영역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서비스 영역, 네트워크 및 시스템 영역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도서관 그린 IT화가 사회적으로 어떤 영향력이 있을 것이라 생각하는지에 대해 사회적 기반시설로서 도서관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인식을 증진할 수 있다는 의견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도서관의 그린 IT화는 도서관이 사회적 기반시설로서 사회적 책임을 지고 있는 기관으로 국민들이 인식되게 함으로써 도서관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춘천지역 고등학생의 식품안전성에 대한 인식도 조사 (A Study on Perceptions toward Food Safety of High School Students in Chuncheon Area)

  • 김복란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19-131
    • /
    • 2007
  • 본 연구는 춘천 지역에 소재한 고등학교 1학년 540명(남학생 264명, 여학생 276명)을 대상으로 식품 안전성에 대한 기본 인식을 알아본 것이다. 식품안전 상태에 대해서 49.4%의 학생들이 우려하고 있었으나 40.0%는 식품안전성에 대해 관심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안전에 대한 정보는 대부분이 대중매체를 통해서 접했고, 식품안전 사고의 발생이유는 식품을 생산하거나 유통시키고 판매하는 관련자들의 책임의식이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인식했다. 또한 식품의 안전을 위협하는 가장 큰 요인으로는 중금속(24.8%)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는 환경호르몬(24.4%), 식품첨가물(17.0%)이라고 하였다. 잔류농약이 가장 우려되는 식품은 채소 및 과일류이고, 농산물은 잔류농약 때문에 안전하지 못하며 92.4%의 학생들은 잔류농약이 인체에 해롭다고 인식하였다. 중금속에 의한 식품의 오염 인식도에서는 87.4%가 안전하지 못하다고 했으며 중금속에 의해 가장 우려되는 식품은 생선류로 나타났다. 또한 가공식품에 대해 가장 불안하게 여기는 요인은 식품첨가물이었고 대부분의 학생들이 식품의 포장재료나 용기에 대해 유독하다고 생각했다. 식품구입시 식품안전성을 확인하는 학생은 25.0%뿐이고, 식품을 구입할 때 식품안전성 여부를 확인한다는 학생이 식품의 안전성을 중요시하는 비율이 높았으며 식품안전성 여부를 확인하지 않는 학생은 비교적 맛을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빅데이터 기반 맛집 어플리케이션의 서비스품질이 앱 이용만족과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사용후기 정보성의 조절효과 - (Influence of Big Data Based Majib Apps' Service Quality on Use Satisfaction and Reuse Intention of Majib Apps - Moderating Effect of Review Informativity -)

  • 이신우;전현모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64-81
    • /
    • 2016
  •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빅데이터 기반 맛집 앱에 대한 이용만족과 재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 요인으로 앱 서비스품질과 사용후기를 제시하여 영향 관계를 규명하고, 이를 선행연구와 비교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맛집 앱 이용자들이 지각하는 앱 서비스품질 요인과 사용후기의 역할을 파악하여 맛집 앱 콘텐츠개발과 운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조사대상과 공간적 범위는 최근 3개월 이내에 스마트 폰 맛집 앱을 검색한 경험이 있는 전국의 20세 이상 남녀 내국인 거주자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조사대상자들에게 먼저 망고플레이트, 다이닝코드, 핫플레이스 등 빅데이터 맛집 앱을 검색해서 음식점을 선택하고 이용한 경험이 있는 지를 사전질문을 통하여 파악한 후, 경험이 있다고응답한소비자를대상으로설문조사를하였다. 연구결과, 서비스품질 중 신뢰성, 정보성, 시스템능력이 앱 이용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디자인과 이동성은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앱 이용만족은 앱 재이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용후기 정보성은 조절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식소비자들의 지속적인 맛집 앱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앱 서비스품질과 사용후기 정보성의 중요성을 규명하였다.

사회인지진로이론에 기초한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 구조모형 검증 (A Study on the Structure Model of Social Welfare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ased on Social-cognitive Career Theory)

  • 유영주;박지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호
    • /
    • pp.85-92
    • /
    • 2018
  • 본 연구는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의 전공 특성에 부합한 적절한 진로지원방안 마련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Lent 등(1994)의 사회인지진로이론에 기초하여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대한 영향요인을 규명하였다. 조사대상은 사회복지 현장실습을 경험한 3개 대학의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 132명으로, 인지적 요인(결과기대), 흥미요인(전공선택만족), 목표요인(진로결정수준), 수행요인(진로준비행동)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에는 SPSS 24.0과 AMOS 24.0를 사용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모형의 적합도는 CFI=.904, TLI=.887, RMSEA=.068로 통계학적으로 적합한 수준을 보였다. 둘째, 주요변수 간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결과기대가 높을수록 전공선택만족이 높아지고, 이는 진로결정수준을 증가시켜 진로준비행동을 높이는 결과로 이어졌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 향상을 위해서 학생 개인의 인지적 요인 및 흥미요인 등을 고려한 맞춤형 진로지원 프로그램 개발이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외국어 원문 및 영문 초록

  • 한국환경교육학회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4권1호
    • /
    • pp.89-211
    • /
    • 1993
  • The Korean government embarked upon ambitious economic development plans in the 1960's the goals of development policy at that time were the elimination of absolute poverty and the alleviation of unemployment. With scant natural resources, the government had to push for industrialization based upon borrowed foreign raw materials with surplus local labor. Preoccupation with the economic goals of industrialization and export expansion left little room for considering environmental protection. It is evident that Korea's exported industrialization strategy of the past three decades has been a success in terms of income, production, and other macroeconomic indicators, but it cannot be denied that a host of undesirable side-effects have been created. These include environmental problems. congestion in several large cities, poor wealth distribution, and regional disparities. The environmental problems were recognized even in the early stage of development, but preoccupation with the pending economic goals of industrialization and export expansion left little room for considering environment protection. The perceived and actual seriousness of the problems, however, has reached such a level that further negligence may imperil political stability and developmental problems facing the world arise from a world economic order characterized by ever expanding consumption and production, which exhausts and contaminates natural resources and creates and perpetuates gross inequalities between and within nations.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new culture and ethical values, transform economic structures, and reorient, our lifestyles. Changing lifestyles can not be promoted by government policy initiative alone but through self=generated educational efforts and mutual training by people themselves. The citizens group for environment (NGOs) should assume these educational and training responsibilities starting from grass-root level of people. It must be reawakened to the reality that the environmental preservation for better quality of life is based on the development of human relationships, creativity, spirituality, reverance for the natural world and celebration of life, and is not dependent upon increased consumption of non-basic material goods. To carry on such environment education social movements and NGOs should (1) provides educational methodologies, which focus on values clarification and moving beyond clarification and moving beyond blame to constructive action. (2) provide training for leaders of business and industry, government, union and others on consumption and production. (3) initiate and support the training and work of environmental counselor who encourage responsible consumption. (4) cooperative with media to initiate and strengthen educational programs on the social environmental programs on the social environmental impacts of consumption and production and to build awareness of consumer responsibility and potential.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can be compatible with environment protection : both can be achieved simultaneously. Effective environmental management depends on the various factors : political will, institutional arrangements, appropriate legislation, and availability of the requistite financial and technological resources, which is possible with a strong public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preservation.

  • PDF

SNS의 수용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SNS의 주요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ain Features of SNS Affecting SNS User Acceptance Decision)

  • 오은해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1권3호
    • /
    • pp.47-73
    • /
    • 2012
  • SNS는 다양한 플랫폼의 형태로 진화하며 사용자 자신이 콘텐츠 및 메시지 생산자이자 소비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고, 전통 미디어에서의 미디어 대 다수의 불특정 수용자의 구조가 아닌 SNS 플랫폼을 통한 일 대 일, 혹은 일 대 다의 시 공간을 초월한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만들었다. 또한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기술의 발달로 별개로 존재하던 정보기술, 미디어 콘텐츠,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가 상호 연결되었으며 이러한 커뮤니케이션 환경의 변화로 인해 특정한 전문가 집단이 주도하던 대중문화는 급격하게 해체 재편되고 있으며, 이러한 흐름은 기업의 마케팅 전략에도 크게 영향을 주고 있다. 즉, 기업들이 도입하는 대부분의 새로운 정보기술들은 소비자 시장에 기반을 둘 것이며, 조직의 상품 및 브랜드의 홍보와 마케팅을 위해 SNS에 전략적으로 참여하게 될 것이다. 이렇듯 SNS가 소비자들의 행동에 영향을 주는 주요 매체로 부각되고 있으며, SNS의 특성이 다른 사용자의 반응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SNS의 수용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SNS의 주요 특성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SNS의 활용 전략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SNS의 활용빈도를 높이고 궁극적으로 기대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전략을 도출하기 위하여 SNS의 특성을 개방성, 신속성, 상호작용성, 경제성으로 구분하고, 이러한 SNS의 특성이 SNS에서의 지각된 유용성과 용이성, 즐거움 그리고 SNS 사용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 PDF

고등학생의 식습관과 건강행동 및 영양교육 상태 -경기 광명지역을 중심으로- (Dietary and Health Behaviors and Nutrition Education Environments of High School Students in Gwangmyeong, Gyeonggi Province)

  • 이승교;전진선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87-301
    • /
    • 2015
  •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for high schools by examining adolescents' demand for nutrition education and their dietary and health behaviors. A survey was conducted for 500 students attending two high schools in the Gwangmyeong area. The questionnaire addressed their dietary habits, health behaviors, and nutrition education. In terms of meal conditions, 70.6% of all respondents had meals at least four times a day, 67.2% skipped breakfast frequently, and only 29.9% had breakfast with their family members. In addition, 66.0% reported a slightly unbalanced diet depending on the food (35.1% for vegetables and 28.2% for legumes). Nutrition labeling was checked occasionally (44.4%) by male respondents and surely (39.3%) by female respondents (p<0.01). In terms of health behaviors, 67.4% of male respondents reported a lack of sleep (5-7 hours), 33.3% of male respondents reported exercising three to four times a week, and 42.7% of female respondents reported no exercise. For the level of stress, 58.9% of male respondents reported "sometimes", and 43.0% of female respondents reported "always". For interest in nutrition education, 58.3% of the respondents reported "no". A majority of the respondents learned about nutrition through "the media or the Internet" (89.6%). The health behavior score was significantly carelated with dietary habits (p<0.01) and the stress score (p<0.05) for male students, and i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checking nutrition labels (p<0.01)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BMI for female studen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ppropriate health behaviors can help overcome stress and produce better dietary habits for male students, but for females, the results are ambiguous. A majority of the respondents (57.9%) perceived a need for nutrition education as part of the high school curriculum, and the content of such a curriculum included more meals with family members and the importance of breakfast. Based on the results, nutrition education for male students should focus on nutrition labeling, whereas that for female students, on exercise frequency and proper weight mana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