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Perceived Equity

Search Result 123, Processing Time 0.03 seconds

어학원의 소셜 미디어 마케팅이 브랜드 자산과 소비자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Social Media Marketing of Language Schools on Brand Equity and Consumer Purchase Intent)

  • 김도훈;김종무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0호
    • /
    • pp.427-436
    • /
    • 2018
  • 기업들이 온라인 마케팅 채널로 SNS를 이용하고 있으며 나아가 소셜을 통한 고객관계관리(소셜CRM)의 영역으로 발전시키고 있는 추세이다. 이처럼 사회 전반적으로 소셜 미디어를 통한 기업들의 마케팅이 활발한 상황이지만 국내 어학 브랜드들의 소셜 미디어 마케팅 활동은 브랜드 특성에 따라 상이한 상태이다. 본 연구는 소셜 미디어 마케팅 활동의 구성 요소 중 정보성, 콘텐츠 적합성, 최신성이 브랜드 자산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소셜 미디어 마케팅 활동의 구성 요소들은 브랜드 자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그 영향력은 최신성, 콘텐츠 적합성, 정보성 순이었다. 둘째, 브랜드 자산과 소비자 구매의도에서도 유의한 영향관계가 있으며, 자녀유무에 따라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어학원 소셜 미디어 마케팅에 관한 기초 연구 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며 어학원 소셜 미디어 마케팅에 관한 학술적인 자료가 충분하지 않은 현 상황에서 향후 후속 연구에 이론적인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로하스 이미지 레스토랑의 브랜드 자산과 이타적 가치, 로하스 관여도, 추가 지불의사와의 관계 연구 (The Relationship of Brand Equity of Restaurant LOHAS Image with Altruistic Value, LOHAS Involvement and Additional Willingness to Pay)

  • 김나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748-760
    • /
    • 2016
  • 본 연구는 로하스 이미지 레스토랑의 브랜드 자산을 이타적 가치, 로하스 관여도, 추가 지불의사와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는 2013년 8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수집되어 544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그 결과 첫째, 로하스 이미지 레스토랑의 브랜드 인지도와 브랜드 연상은 이타적 가치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브랜드 충성도와 지각된 품질은 정(+)의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로하스 이미지 레스토랑의 브랜드 인지도, 브랜드 충성도, 브랜드 연상은 로하스 관여도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각된 품질은 로하스 관여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이타적 가치는 로하스 관여도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이타적 가치는 추가 지불의사에 정(+)의 영향을 주었다. 다섯째, 로하스 관여도는 추가 지불의사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외식업체에서 로하스 가치를 추구하는 집단 혹은 이타적 성향이 높은 집단을 지속적으로 발굴하여, 이들을 표적으로 환경친환성과 건강성을 부각시킬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전략이 요구됨을 시사하고 있다.

서비스 산업에서의 고객만족 선. 후행요인과 브랜드선호도 및 재구매의도 형성과정 (The Antecedents and Outcomes of Customer Satisfaction and the Formation Process of Brand Preference and Repurchase Intention in Service Industries)

  • 장형유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6권3호
    • /
    • pp.61-86
    • /
    • 2006
  • 연구는 서비스산업에서의 고객만족 형성요인과 그 이후의 브랜드선호도 및 재구매의도와의 인과관계에 대한 종합적 모형을 제시하고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 주요한 목적이다. 실증분석 결과 기존 연구와 같은 맥락으로 지각된 품질과 지각된 가치가 고객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지각된 공평성의 경우는 그 영향력이 통계적으로 무의미하게 나타났다 고객만족과 브랜드선호도 및 재구매의도의 매개변수로 투입된 전환비용과 고객애호도간의 구조적 인과관계도 모두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직접적인 영향뿐만 아니라 간접적으로 영향관계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재구매의도의 형성에 관한 연구가설에서는 기존의 연구들과는 달리 고객만족이나 전환비용이 직접적 인과관계를 형성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브랜드선호도를 통한 재구매의도의 직접적인 영향관계는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무에서 중시하는 브랜드선호도가 소비자의 지속적 반복의도를 형성하게 하는데 중요한 매개역할을 수행함을 알 수 있었다. 연구모형의 분석에 따른 실증결과를 바탕으로 서비스산업에서의 소비자의 고객만족 형성 이후 반복구매 가능성의 증대를 위한 효과적 전략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 PDF

여성의 신체에 대한 권리와 성폭력 (The Right to Women's Body and Sexual violence)

  • 김성희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6권4호
    • /
    • pp.17-28
    • /
    • 1998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sexual violence based on the right to women's body. For empirical analysis the data on 376 female students and 320 male students on two universities were collected.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Most of male students usually did sexual violence to women and lots of female students easily were invaded her right to body. The range of conception which the students perceived as sexual violence was wider than that of related laws Thus in order to secure sexual equity this study proposed that laws should reflect widely the right to women's body and that male students should be educated to respect it.

  • PDF

가전제품 소비자의 Channel Equity에 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Channel Equity of Electronic Goods)

  • 서용구;이은경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8권3호
    • /
    • pp.1-25
    • /
    • 2008
  • 본 연구는 가전제품 소매채널에 관한 소비자의 선호 및 이용행태를 조사하고 가전제품 구매 채널 현황과 소비자들의 점포선택과 만족도를 분석하여 소비자가 특정 채널에 대하여 가지고 있는 소위 channel equity에 대하여 탐색적으로 접근 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가전제품 멀티채널 쇼핑환경은 소비자로 하여금 채널별로 차별화된 구매 패턴과 쇼핑동기를 만들어 주고 있었다. 백화점이나 대리점은 품질의 우수성과 A/S 측면에서 우세하며 대형할인점, 양판점, TV홈쇼핑, 인터넷쇼핑몰, 전자제품 판매 상가는 가격적인 측면이 경쟁 우위로 조사되었다. 채널별 소비자 만족도에 있어서는 애프터서비스가 잘되고 있는 백화점이나 대리점 등이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소매 채널임을 알 수 있다. 채널 에퀴티의 구성요인은 가격 경쟁력과 비교구매, 이용편리성, A/S, 판매원의 전문성, 배송의 신속성, 제품 검색용이, 판매원의 친절성, 매장의 쾌적성, 교통 편리성 등을 들 수 있다. 백화점의 경우 거의 모든 요소에서 가장 높은 만족도를 가지고 있어 채널 에퀴티가 높게 평가되었다. 인터넷 쇼핑몰은 제품을 쉽게 검색할 수 있다는 점에서 우위에 있으며 TV홈쇼핑의 경우는 비교구매와 가격경쟁력에서 우위가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채널별로 채널 에퀴티를 구성하는 요인들의 상대적 비중은 매우 달랐다. 본 연구에서는 채널 만족도를 평가한 후 에퀴티 포트폴리오와 채널별 에퀴티 구성 결과를 제시하고 있으나 향후 채널 에퀴티의 개념과 관리 툴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가 요망된다.

  • PDF

개방형 협업 플랫폼 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음악산업을 중심으로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on Participation Intention of Open Collaboration Platform : Focused on Music Industry)

  • 이동민;이룡;송영주;김광용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61-179
    • /
    • 2014
  • Added value of music industry in Korea is not distributed and calculated properly, and this obstacle brings various problems in a creative environment. Meanwhile, a new business model such as Open Collaboration, Crowdsourcing and platform that makes decisions and innovation from external resources has been appeared in commercial area. This new model like a composer delivers to consumers directly through Youtube.com, and multi collaboration is applied to the music industry, and it enables a new type of mechanism for creation, distribution, division, and calculation of music. However there are not enough empirical study of the music market because existing relative researches has been centered around fundamental concepts and application methodologies. This research defines Open Collaboration Platform in the music industry, and studies affecting factors of Participation Intention for example Justice, Information System Quality and Perceived Value. For a survey we apply PLS(Partial Least Square) to analyse Equity, Information System Quality and structural equation between Perceived Value and Participation Intention. Analysis results show Distributive Justice and Procedural Justice affects Platform Trust, and Service Quality, Economical Value and Emotional Value affects Platform Usefulness. Also Platform Trust and Platform Usefulness affects Platform Participation Intention. We discussed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 based on research results.

스마트폰 사용자가 모바일뱅킹을 사용하지 않는 이유: 소극적 저항과 적극적 저항의 차이를 중심으로 (Why Smartphone Users are Not Using Mobile Banking: Focusing on the Difference between Passive Resistance and Active Resistance)

  • 김종기;김지윤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7권3호
    • /
    • pp.81-102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ason why smartphone users do not use mobile banking based on Status Quo Bias and to find out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passive resistance and active resistance. Design/methodology/approach This study made a design of the research model based on Status Quo Bias. SPSS 23.0 and SmartPLS 2.0 were used for the analysis. Multiple group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differences between groups. Findings According to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 this study confirmed that inertia and perceived risk affected smartphone users who do not use mobile banking. According to the type of resistance, the active resistance group(64.2%) was more than the passive resistance group(35.8%),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reasons for not using mobile banking between passive and active resistance group. That is, the greatest difference between passive and active resistance groups was found to be perceived risk, which is an assessment of risk.

럭셔리 패션브랜드 확장시 지각된 적합성과 브랜드 가치전이 (Perceived Fit and Brand Value Transfer in Luxury Fashion Brand Extension)

  • 김은영;박은주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51-163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erceived fit and brand transfer on extension evaluation in luxury fashion brands. The instrument for this research was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based on a previously developed scale. The variables addressed in this scale included perceived fit, brand value for both parent brand (clothing) and extension brand (home line), extension brand association, and purchase intention of the product in extension brands. The participants in this research comprised of 215 female consumers between the ages of 19 and 51 demographically distributed nationwid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paired t-test, factor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via SPSS 12.0. Findings showed that brand value consisted of two factors: cognitive and hedonic value in luxury fashion brands. Parent brand value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perceived fit with a positive effect on brand association and hedonic value in extension brands. With respect to brand transfer, cognitive value of the parent brand increased the extension brand's cognitive value, while hedonic value of the parent brand increased the extension brand's hedonic value. In addition, purchase intention of the product in the extension brands was determined by the perceived fit and hedonic value of extension brands. This study also discusses the managerial implications for marketers in developing effective luxury brand extensions into new product categories, which leads to a synergy effect in building brand equity in the luxury fashion market.

브랜드 전환 매트릭스를 적용한 캐주얼웨어 시장의 유행 현상 분석 (Analysis of Fashion Phenomenon in Casual Wear Market Applying Brand Switching Matrix)

  • 정인희;김상완
    • 복식문화연구
    • /
    • 제15권3호
    • /
    • pp.525-540
    • /
    • 2007
  • This study intended to construct the brand switching matrix in the Korean casual wear market and to analyze it in various aspects. 1,014 sample data were collected in Seoul area, a center of fashion retailing. Since the respondents cited over 200 brand names as their last 2 purchased casual wear brands, 15 most frequently-purchased brands were selected for constructing the brand switching matrix. As a result of the examination, it was founded that the brand loyalty was dominant rather than brand switching in the casual wear market. Polo was identified as the leading brand in the market. Its brand equity, which was comprised of brand recognition, brand preference (loyalty), perceived quality, and brand association, was evaluated very high. Especially, the strength of Polo was the consumer's strong preference and the brand image of simplicity, naturalness, and neatness. After combining 15 brands into 6 groups based on the style and price, additional interpretation was performed on this 'trend switching matrix.' A transition of fashion trend in casual wear was observed. Applying the brand switching matrix on fashion products gave us much insight to the market.

  • PDF

청소년 가족유형별 건강형평성, 건강행위 및 정신건강 요인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제16차 청소년건강행태 온라인조사 자료 활용 (Health Equity, Health Behaviors, and Mental Health Factors Affecting Subjective Happiness among Korean Adolescents by Family Type: Using Data of the 16th Korean Youth Risk Behavior Survey)

  • 장인순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92-103
    • /
    • 202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pare basic data for education and policy proposals related to enhancement of happiness by identifying factors affecting the subjective happiness among Korean adolescents by family type. Methods: The study was a secondary analysis using the raw data of the 16th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2020). A complex sampl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adolescent happiness by family type. Results: As a result, the factors that commonly affect the subjective happiness of adolescents for all family types were identified as economic status, academic performance, perceived stress, and loneliness. Additional factors that affect the subjective happiness of adolescents of both Korean two-parent and single parent families were sleep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Financial assistance, number of toilets, breakfast, exercise, depression, suicidal ideation, and suicide attempt were also reported for Korean two-parent families.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d empirical basic data for enhancing adolescent happiness in consideration of priority targets and family composition characteristics by identifying factors affecting subjective happiness by family type. Adolescent happiness is a factor that should be actively pursued at home, school, and society, and it should be the goal of education for holistic growth of stud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