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pper stem

Search Result 134,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단고추(피망) 육묘시 주야간 온도차(DIF)가 플러그묘 생장과 정식후 식물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Difference between Day and Night Temperatures (DIF) on Growth and Development of Bell Pepper Plants before and after Transplanting)

  • 임기병;손기철;정재동;김종기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5-25
    • /
    • 1997
  • 피망(Capsicum annuum L.) 플러그 육묘시 초장 조절을 위해 주야간 온도차(DIF)에 따른 16조합 처리를 50일간 실시한 뒤 각각의 묘소질에 따른 정식후 생육에 관하여 실험하였다. 주야간 온도차 처리에 따른 피망 플러그묘의 초장은 주간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같은 일평균 온도에서는 -DIF에 의해 억제되고, +DIF에 의해 촉진되었다. 엽전개 속도는 DIF처리 효과보다는 일평균 온도에 의해 좌우되었고, 생체중 및 건물중은 일평균 온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야간온도에 비해 주간온도가 크게 영향을 미쳤다. 엽면적과 줄기직경은 주야간온도가 16$^{\circ}C$부터 24$^{\circ}C$로 증가할 때까지 증가하다가 그 이상의 온도에서는 감소하였다. 육묘시 온도처리에 따른 제 1번화의 착생 절위는 일평균 온도가 증가할수록 낮아졌으나 화뢰의 퇴화는 오히려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피망육묘시 DIF를 조절하여 육묘시 초장조절이 가능하며 -DIF 처리로 초장이 억제된 유묘일지라도 정식후 +DIF 조건에서 재배함으로써 생육을 촉진시킬 수 있었다. 또한 엽전개 속도(생육속도)와 제 1번 화의 화아 분화도 일평균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조절이 가능하며, 적온 범위 내에서 일평균 온도를 증가시킴으로써 화아 분화를 촉진시킬 수 있다고 판단된다.

  • PDF

배지내 EC와 함수율이 착색단고추의 과병무름증과 배꼽썩음과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ubstrate EC and Water Content on the Incidence of Brown Fruit Stem and Blossom End Rot in Glasshouse Sweet Pepper)

  • 유근;최동근;배종향;곽성희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67-172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배지함수율과 EC수준이 시설 착색단고추(적색계 'Special')의 과병무름증과 배꼽썩음과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는 것이었다. 첫 번째 착과 된 과일의 직경이 3cm정도 되었을 때 배지의 EC와 함수율을 각각 세 수준으로 달리하여 처리하였다. 즉, 함수율은 49, 65, 86%로, EC는 2.4, 4.2, $6.3dS{\cdot}m^{-1}$로 달리하였는데 각각에서 세 수준은 저수준, 중간, 고수준으로 명명하였다. 줄기생장은 함수율이 감소할수록 감소하였고, EC가 고수준이나 저수준일 때 중간수준에 비해서 적었다. 수확 시 과중은 중간수준 이상의 함수율처리가 저수준 함수율보다 더 높았으며 (158g vs 146g), 고수준 EC처리는 중간수준 이하의 EC처리구에 비해서 적었다. 과병무름증 발생은 함수율이 높을수록, EC가 감소할수록 증가하였다. 가장 높은 발생률은 고수준 함수율/저수준 EC 처리구로 약 38%의 발생률을 보였는데, 이는 저수준 함수율/고수준 EC 처리구의 2.4%보다 훨씬 더 높았다. 배꼽썩음과는 대개 배지함수율이 적고 EC가 높았을 때 발생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동계작형 착색단고추 재배에서 생산성을 저해하는 과병무름증과 배꼽썩음과의 발생을 경감하기 위해서는 생육기별로 배지함수율과 EC를 구분해서 관리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먼저, 과병무름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하는 착색기에는 배지함수율은 낮게(49%),그리고 EC는 높게($6.3dS{\cdot}m^{-1}$)관리하여 과병무름증의 발생을 억제하고, 그리고 배꼽썩음과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착과 후 5주까지 배지함수율은 중간(65%) 수준 이상으로, EC는 낮게($2.4dS{\cdot}m^{-1}$) 유지할 필요가 있다.

김치에 대한 일본인의 인식 및 기호도 조사 (A Surrey of Japanese Perception and Preference for Kimchi)

  • 한재숙;최영희;김영진;김태선;한준표;일본명;일본명;일본명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42-49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Japanese perception and preference for Kimchi.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605 Japanese (male 224, female 381) residing in Kobe, Kyoto, Osaka, Himezi, and Tokyo. Of the respondents, 90.2% have not visited Korea however, 83.3% experienced Korean food. On their first impression of Kimchi, 56.9% answered that it was ‘good’, and 65.4% answered ‘good’ for their after taste impression. Total 92.7% of the respondents, answered nationality of kimchi is ‘Korea’. The most familiar kimchi is Baechu kimchi, and they preferred the part from white stem of the Chinese cabbage. On their perception of kimchi, ‘Kimchi is stamina food’ had the highest score of 4.17${\pm}$1.11 from male and 4.25${\pm}$0.85 from female, respectively. Their favorite sub-materials were red pepper (37.4%), radishes (33.6%) and garlic (28.4%), and unfavorable sub-materials were anchovy (28.4%) and garlic (16.5%). The most popalar dishes using Kimchi were Kimchi Ramyun (84.0%) and Kimchi Bokumbab (60.7%).

  • PDF

A New Formulation System for Slow Releasing of Phosphorous Acid in Soil for Controlling Phytophthora Diseases

  • Park, Hae-Jun;Kim, Sung-Ho;Jee, Hyeong-Ji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3권1호
    • /
    • pp.26-30
    • /
    • 2007
  • Phosphorous acid is known to effectively control various Oomycetes diseases. The phosphoric acid moves upward and downward through the xylem and phloem in plants. The sustainable forms of the slow releasing chemical in rhizosphere would be ideal to be up-taken by plants. Therefore, we developed a new system for phosphorous acid formulation using a carrier coated with polysaccharides. When the product was applied in rhizosphere, the adequate amount of phosphorous acid was consistently released up to 4 weeks in rhizosphere soils. While soil drenching with phosphorous acid at 1,000 ${\mu}g/ml$ and metalaxyl at 150 ${\mu}g/ml$ were not effective to control pepper Phytophthora blight for 4 weeks, direct application of our formulation product around basal stem of pepper plants resulted in excellent disease control effect against Phytophthora blight over 4 weeks. The application of 4 g of our product per plant was optimum to control the disease, and 8 g product/plant did not cause phytotoxicity. Based on the results, we conclude that the applications of the formulation product once or twice during cropping season can control Phytophthora diseases on various crops.

Cytological and Morphological Characterization of Anther Derived Plants from Sweet Pepper (Capsicum annuum L.) cv. 'Special'

  • Shrestha, Surendra Lal;Luitel, Binod Prasad;Lee, Taek Jong;Kang, Won Hee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431-438
    • /
    • 2010
  • Anthers of sweet pepper $F_1$ cultivar 'Special' were cultured on Dumas De Vaulx (C medium), supplemented with $0.1mgL^{-1}$ 2, 4-D and $0.1mg{\cdot}L^{-1}$ kinetin with 3% sucrose, and 0.32% phytagel. The calluses obtained were further sub-cultured on Murashige and Skoog (MS) medium without growth regulators for regeneration. Regenerated plantlets were grown in plastic pots under plastic house and characterized their cytological and morphological characters in spring, 2008. Twenty percent plantlets were identified as haploid plants after chromosome and ploidy analysis. Haploid plants contained 12 chromosomes, high stomatal density with small stomatal length as compared to diploid plants. Stomatal length in haploids was 23.3% smaller than diploids. Haploid plants were characterized as small leaf and petiole size, poor vigor, thin stem and short plant height, short internodes and small flower buds, fruit size and fruit weight as compared to diploid plants and most of the haploid fruits were seedless. SP55, SP62, SP68, SP72 and SP77 are found high yielding double haploids with high total soluble content (8.6, 8.7, 9.2, 9.1 and $9.8^{\circ}Brix$, respectively) and desirable fruit shape, and recommended them to exploit as inbred lines for heterosis breeding.

온도(溫度)와 시비량(施肥量)에 따른 고추의 생장반응(生長反應)과 개화(開花)에 관(關)한 연구(硏究) (Growth response and flowering of red pepper plants at different temperature and fertilized conditions)

  • 우인식;변종영
    • 농업과학연구
    • /
    • 제11권1호
    • /
    • pp.77-84
    • /
    • 1984
  • 국내(國內)에서 많이 소비(消費)되는 킹건고추와 일본(日本) 재래종(在來種)인 십방(十房)을 공시(供試)하여 고추의 생육(生育)에 중요(重要)한 온도(溫度)와 시비량(施肥量)을 달리하여 처리(處理)함으로써 고추의 생장(生長)과 광합성(光合成)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여 고추재배법(栽培法) 개선(改善)에 필요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고자 수행(遂行)된 본(本) 시험(試驗)의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킹건 고추는 십방(十房)에 비하여 초장(草長), 간장(稈長), 화아수(花芽數), 건물중(乾物重), 동화량(同化量)이 많았고 십방(十房)은 킹건고추보다 엽수(葉數), 절수(節數), 엽면적(葉面積)이 많은 경향(傾向)이었다. 2. 시비량간(施肥量間)에는 증비구(增肥區)가 보비구(普肥區)보다 초장(草長), 엽수(葉數), 절수(節數), 화아수(花芽數), 건물중(乾物重), 엽면적(葉面積), 광합성(光合成)이 현저히 증가(增加)되었다. 3. 온도간(溫度間)에는 고야온(高夜溫) ($25^{\circ}C$) 처리시(處理時) 초장(草長), 간장(稈長), 엽수(葉數), 절수(節數), 화아수(花芽數), 분기수(分技數), 건물중(乾物重), 엽면적(葉面積)이 현저하게 많은 경향(傾向)을 보였다. 4. 상대생장율(相對生長率), 엽면적율(葉面積率)은 증비구(增肥區)와 고야온(高夜溫) 처리시(處理時) 높아졌으나 순동화율(純同化率)은 엽수(葉數)가 많은 십방(十房)이 킹건고추보다 적었으며 고야온(高夜溫) 처리시(處理時) 오히려 감소(減少)하였다. 5. 광합성(光合成)은 킹건고추에서 증비(增肥) 광도(光度)가 높아질수록 현저하게 증가(增加)되었다. 6. 고추 수량(收量)을 좌우하는 화아수(花芽數)는 킹건고추에서 증비(增肥), 고야간온도(高夜間溫度)($25^{\circ}C$)조건(條件)에서 많았다.

  • PDF

재배시기가 착색단고추의 과병무름증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ultivation Time on the Incidence of Brown Fruit Stem of Glasshouse Sweet Pepper (Capsicum annuum L.))

  • 유근;김재철;곽성희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62-166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시설 착색단고추(cv. 적색계 Special)의 동계작형에서 재배시기에 따른 과병무름증 발생정도를 조사하고 환경적 원인을 구명하기 위함이었다. 8월 31일(T1)에 정식한 재배구가 11월 24일(T2)에 정식한 재배구에 비해서 과병무름증이 더 많이 발생하였다(6.1% vs. 2.9%; P<0.01). 과병무름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하는 착색기 부근에서 측정된 재배환경 중에 두 재배구간 가장 두드러진 차이는 일일누적광량과 야간습도에 있었다. 착색기동안 T1에서 일일누적광량과 야간습도부족(Humidity Deficit, HD)은 T2보다 더 낮았는데, 이러한 환경조건은 T1에서 뿌리압의 상승에 더 유리한 조건이었다. 야간습도가 과병무름증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재확인하기 위해서 익년에 T1재배구와 비슷한 시기에 정식한 재배구(T3)를 준비하였는데, T3에서는 뿌리압 생성을 억제하기 위해서 야간에 가온하였다. 결과적으로 T3에서 착색기동안 야간HD는 T1에 비해서 상당히 증가되었고($5.9g{\cdot}m^{-3}\;vs\;1.9g{\cdot}m^{-3}HD$) 과병무름증도 전혀 발생하지 않았다. 그러므로 착색단고추의 하계파종형(동계수확)에서 과병무름증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과실비대가 종료된 후부터 수확까지 야간에 가온을 실시하여 야간 습도를 낮춰줘야 할 필요가 있다.

고추 약배양 후대식물체의 다양성 (Diversity of Anther-derived Plants in Hot pepper (Capsicum annuum L.))

  • 권오열;김용권;윤화모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65-169
    • /
    • 1998
  • 고추 교잡계통의 약배양 후대를 재료로 하여 배상체 발생률과 주요 농업형질에 대한 다양성을 조사하였다. 교배조합간 약배양 효율이 16.4%부터 43.4%까지 분포하였고 교배조합중 약배양 호율이 높은 계통 DGSH와 교배된 DGSH$\times$C-NH 조합에서 배 발생율이 43.4%로 가장 높았다. 3개 교배조합에서 얻은 약배양 후대 275개 $A_2$계통 중 계통내 개체별 분리를 보이는 계통은 총 6계통으로 2.1%를 차지하였다. $A_2$ 계통들의 형태적 다양성을 보면 청과색은 양친이 녹색과인 것이 교배된 조합에서는 녹색과만, 그리고 녹색과와 농녹과가 교배된 조합의 후대에서는 녹색과와 농녹과 계통만 출현하였다. 엽색에서도 조합에 따라 출현 빈도는 다르지만 녹색잎과 농녹색 잎의 발현 현상은 청과색과 비슷하였지만 모친에 없는 엽색도 소수 나타났다. 과장, 과경, 1과중은 C-HC $\times$DGSH, DGSH $\times$C-NH조합에서 얻어진 $A_2$ 약배양 계통들에서 양친보다 다양한 변이양상을 보인 계통들이 많이 출현하였으나 과장, 과경, 1과중이 현저하게 큰 적조 1호가 교배된 적조 1호$\times$C-HC 조합에서 얻어진 약배양 후대 계통들은 다양성이 낮았다. 1차 분지점까지의 줄기 길이는 3개 조합 공히 양친과 비슷한 것들이 많이 출현하였고 양친보다 긴 것도 다수 출현하였다. 주경의 굵기는 양친들의 주경 굵기보다 적거나 큰 것들이 다수 출현하여 큰 다양성을 보였다. 1차 분지점까지 마디수는 C-HC$\times$DGSH 조합에서 양친과 비슷한 것이 가장 많았으나, DGSH$\times$C-NH 조합과 적조 1호$\times$C-NH 조합에서는 양친의 마디수 보다 적거나 많은 것들도 많이 출현하여 큰 다양성을 보였다.

  • PDF

기능성재료를 첨가한 오이지의 숙성 중 품질 변화 (Quality changes of Oiji with various antimicrobial ingredients during fermentation)

  • 심영현;유창희;차경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29-337
    • /
    • 200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bserve the changes of Oiji quality during fermentation by preparing the samples with various functional ingredients (Chinese pepper(Sancho), onion, pine leaves) exerting antimicrobial effect. The pH values of all experiment groups decreased significantly in proportion to the ripening period(P<0.05). Control and Chinese pepper-added groups showed a rapid decrease in pH after 5 days of ripening, and Onion- and Pine leaves-added groups after 3 days of ripening. All experimental groups showed the lowest pH value at the 20th day of ripening. Rapid permeation of salt solution occured in all groups at the 3rd day of ripening. But the increase rate of salt permeation decreased gradually after 3 days of ripening. Lightness and redness in color decreased gradually in all groups, but the redness of Pine leaves-added group increased at the 30th day of ripening. Yellowness of control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others after 10 days of ripening(P<0.05), and the yellowness of pine leaves-added Oiji was the lowest among all after 5 days of ripening(P<0.05). The maximum cutting force of raw cucumber was observed at stem end followed by blossom end and middle part, and the Oiji samples also showed the same order at the early stage of ripening. In general, maximum cutting force of minor ingredient-added Oiji wa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and maximum cutting force was decreased at the 30th day of ripening. Onion-added group showed the highest value among all at the 40th day of ripening. Chinese pepper-added group was ranked low, but onion- and pine leaves-added groups were ranked high in sensory evaluation.

  • PDF

풋고추 접목시스템에서 Tobamovirus 감염에 의한 접수 고사 (Cause of the Scion Death in Green Pepper Grafting System by a Tobamovirus)

  • 최국선;조점덕;정봉남;조인숙;최승국
    • 식물병연구
    • /
    • 제17권2호
    • /
    • pp.191-195
    • /
    • 2011
  • 풋고추 접목시스템에서 접수 부위의 고사 원인을 구명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고추 접목묘의 대목부위에서는 Tobamovirus 입자가 검출되었지만 괴사 증상이 나타난 접수 부위에서는 이 바이러스 입자를 검경할 수 없었다. 대목 부위에서 분리한 바이러스는 염기서열분석 및 기주식물의 반응으로 고추약한모틀바이러스(Pepper mild mottle virus, PMMoV)로 동정되었고, 고추 Tobamovirus pathotype P1.2(PMMoV-2)이었다. PMMoV-2는 고추 접목묘에서 대목으로 이용되고 있는 6 시판 대목 품종에 전신감염되었고, 고추 품종 롱그린맛과 대찬고추에서는 단지 접종엽에만 국부병반인 저항성 반응, 마니따에서는 전신감염을 나타냈다. 고추 대목에 롱그린맛 또는 대찬고추를 접목한 다음, PMMoV-2를 대목의 자엽에 접종하면 7일 후부터 접수의 잎에 엽맥괴사 및 시듦 증상이 나타나면서 결국 접수만 고사되었다. 이 접목시스템에서 바이러스 입자는 접수에서는 검경되지 않았으나 대목에서는 검경되었다. 그러나 PMMoV-2에 감수성 품종인 마니따를 접수로 사용한 접목시스템에서는 접수의 잎에 약한 모틀 증상이 발현되었으나 고사는 되지 않았다. Tobamovirus pathotype P1.2.3인 분리주 PMMoV-3는 이들 고추 접목 시스템에서 사용된 모든 대목과 접수에 전신감염이 되었고, 접수에 고사를 일으키지 않았다. 따라서 풋고추 접목묘에서 접수의 고사 원인은 tobamovirus pathotype P1.2에 감수성 고추 대목과 저항성 고추 접수로 조합된 접목 시스템에서 이 바이러스가 대목에 감염되었을 경우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