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3초

정신재활시설을 이용하는 정신장애인 가족의 돌봄 경험 - 포토보이스방법론을 적용하여 (Caring of Family of Persons with Mental Disabilities who uses the Psychiartric Rehabilitation Facility - Using the Photovoice Methodology)

  • 류세나;조현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547-559
    • /
    • 2022
  • 본 연구는 정신재활시설을 이용하고 있는 정신장애인 가족의 돌봄 경험은 어떠한지 탐색하기 위한 질적 연구이다. 분석결과, 정신장애인 가족의 삶은 6개의 주제에서 12개의 하위주제로 나타났다. 발병하기 이전의 삶의 모습은 전기난로처럼 따뜻하고 편안한 일상생활, 가족간 갈등으로 새장의 앵무새처럼 답답하고 힘든생활로 나타났다.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한 당사자를 바라보는 느낌은 앞이 잘 보이지 않는 두려움과 막막함, 삶을 꽃 피우기 전 질병에 갇힌 자녀에 대한 죄책감이었고, 강제 입원, 그리고 나의 느낌은 찢어지는 마음에 어찌할 바를 모름, 불투명한 회복과 미래의 삶에 대한 걱정으로 생각이 혼란해짐으로 나타났다. 질병이 장기간 지속되고 입·퇴원이 반복되면서 느낀 경험은 주변에 가족의 정신병이 알려질까 두려움, 반복되는 재발과 증상 악화에 대처하기 위해 안간힘을 씀으로 도출되었다. 정신재활시설을 이용하면서 변화된 삶은 편안한 쉼터에서 마음의 위로를 받음, 미래에 대한 희망이 보이고 웃을 수 있는 여유가 생김으로 나타났고, 앞으로 기대하는 삶, 그리고 희망은 작은 변화를 보며 감사함을 느낌, 회복을 위한 따뜻한 울타리가 되길 다짐함으로 도출되었다.

의료 빅데이터로 분석한 만성질환자의 건강정보 수준별 차이 연구 (A Study On The Difference By Health Literacy Level Of Chronic Patients Analyzed By Medical Big Data)

  • 박새한;이상엽;한기현;김지연;구지현;정병호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73-86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basic data that can be applied to the development of personalized programs in which chronic patients can actively participate in health care on their own,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literacy, level of metal health, and level of life health of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For the study, the Korean Medical Panel's annual data(Version 2.1) was used, and 4,095 people aged 19 or older with chronic diseases and without disabilities were extracted, and frequency analysis, t-test, ANOVA, and chi-squared goodness of fit test, etc. were performed with IBM SPSS Statistics 26.0.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health literacy, the higher level of mental health and level of life health. In addition, the distribution between health literacy, level of mental health, and level of life health was found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Respondents with higher ability to health literacy tend to evaluate level of metal health and life health lower, and the rate of change in this trend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e rate of change in the tendency to evaluate level of mental health and life health higher in respondents with lower ability to health literacy.

장애인의 폭력 및 차별경험과 자살생각에 관한 융합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Violence, Discrimination and Suicidal Ideation among Person with Disabilities)

  • 김석환;이현주;김지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0호
    • /
    • pp.347-353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에 대한 차별과 폭력경험이 자살생각에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자료는 2014 장애인실태조사를 이용하였으며, 6,332명을 최종분석대상자로 하였다. 자살생각은 최근 1년 동안 실제로 자살시도를 해 본적이 있는지 여부로 정의되었다. 참조군은 자살생각 없음이며,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자살생각을 가진 장애인은 18.5%(n=1,171)였다. 장애인이라는 이유로 언어폭력과 정신적 폭력을 당한 경험이 있는 경우에서 자살생각 위험이 높게 나타났다. 성희롱, 성추행, 성폭력을 경험한 시기가 청소년기인 경우에서 자살생각 위험이 16.7배(CI=4.22-66.18), 가해자가 모르는 사람인 경우 5.85배(CI=2.34-14.6), 대처방법이 무시하거나 참는 경우 4.08배((CI=2.05-8.12) 자살생각 위험이 높았다. 결혼 시 차별경험을 받은 경우 1.60배(CI=1.24-2.08), 장애로 인한 차별을 항상 느끼는 경우 2.73배(CI=4.22-66.18) 자살생각 위험이 높았다. 차별경험과 폭력경험으로 인한 자살생각은 자살로 발전할 수 있으므로 정신적 안녕을 위해 가족 및 사회의 관심과 배려 및 지역사회 차원의 예방프로그램이 함께 지원되어야 할 것이다.

한국의 장애인 환자 치과 진료를 위한 국민 건강 보험 가산제도의 종류 및 청구 현황 (THE ADDITIONAL POINT SYSTEM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FOR DENTAL TREATMENT IN PATIENTS WITH A SPECIAL HEALTH CARE NEED IN KOREA)

  • 권도윤;남옥형;김미선;최성철;김광철;최재영;이효설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1-16
    • /
    • 2018
  • In order to increase the accessibility of dental car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has implemented an additional point system of National Dental Insurance for dental treatment of patients with a special health care need (AI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ypes and status of AID in Korea using data of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from 2011 to 2017. The basic consultation fee is increased by 9.03 points (713 won) for brain disorder, intellectual disability, mental disability, or autistic disorder. From 2011 to 2015, the number of claims with a basic consultation fee increased from 90,456 to 141,179. Dental treatment and surgical treatment fee is increased by 100% of the defined insurance score for each of the 15 items. During the five years from 2012 to 2016, the number and amount of claims for each item increased steadily. Of the total claims for 5 years, endodontic treatment was highest, with 107,477 cases, followed by 51,641 cases of scaling. There are two types of dental safety observation fee, simple and complex. The simple safety observation fee is 10,370 won per day, and the complex safety observation fee is 20,750 won per day. Dental safety observation fees were charged 34 times in 2015, 14 times in 2016, and 41 times through May 2017. From 2011 to 2017, the number and amount of claims using AID for dental car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creased. However, considering that the number of registered dental users with disability was about 560,000 in 2016, the number of claims using AID is 1-20,000, which is less than 2% of registered dental users with disabil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pand dental servic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cluding AID.

ICF 관련 범주에 따른 근골격계질환 장애인의 사회참여 관련요인 (Factors Influencing Social Participation in People with Musculoskeletal Conditions - Applying ICF relevant categories -)

  • 신은경;이한나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5권1호
    • /
    • pp.5-31
    • /
    • 2013
  • 본 연구는 WHO의 국제건강관련분류체계인 ICF를 적용하여, 한국의 근골격계질환 장애인(척수손상, 근육디스트로피, 왜소증, 류마티즘) 352명의 사회참여 관련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기술분석, 집단별 평균분석 및 분산분석과 사후검정, 단순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근골격계질환 장애인의 정신기능, 신경근육골격 및 운동과 연관된 기능, 비뇨생식기와 생식기능, 피부 및 관련구조, 학습과 지식 적용, 일반적 과제와 요구, 이동의 수준이 높을수록 사회참여의 수준도 높았다. 개인요인에서 소득이 근육디스트로피질환 장애인의 사회참여 관련요인으로 나타났고, 환경요인에서 서비스, 시스템 및 정책이 척수손상 장애인의 사회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장애에 관한 보편주의적 접근을 의미하는 ICF 구성요소로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ICF 코어셋을 검토하여 질환관련범주를 측정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 PDF

정신적 장애인의 소득수준과 직업능력에 따른 취업욕구 (Employment Needs of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 Centering on Income and occupational ability Variables)

  • 박효은;최만규;이현경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3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87-388
    • /
    • 2013
  • 본 연구는 정신적 장애인의 소득수준과 직업능력에 따른 취업욕구를 살펴보고 그에 따른 취업 활성화를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8년~2010년 장애인 고용패널조사'에 3년간 참여한 정신적 장애인 298명(가중빈도적용:154,348명)을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직업교육을 희망하는 정신적 장애인이 남성, 중졸 이상, 자격증 소지자, 그리고 정신적 장애인 유형중 지적장애일때 교육참여 희망률이 높았다. 한편, 취업의사를 가진 정신적 장애인은 남성, 가구주, 중졸이상, 자격증 소지자, 육체활동 능력이 높아질 때, 그리고 정신적 장애인 유형 중 자폐장애일 때 취업의사가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정신적 장애인의 경제활동참여를 높이기 위하여 정신적 장애인의 의사를 반영한 직업재활서비스제공, 사업주 주도적 직업활동을 제안하였다

  • PDF

중장년 장애인의 소득지위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우울과 사회적 지지의 다중매개효과 (The Effect of Income Status on Life Satisfaction of Middle-aged and Disabled Persons: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and Social Support)

  • 이형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377-389
    • /
    • 2021
  •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 데이터 15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중장년 장애인의 소득지위와 삶의 만족 사이에 우울과 사회적 지지가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중장년 장애인의 소득지위는 우울(B=.241, p<.001), 사회적 지지(B=-.167, p<.001) 및 삶의 만족(B=-.277, p<.001)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중장년 장애인의 소득지위가 삶의 만족 사이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 우울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셋째, 중장년 장애인의 소득지위와 삶의 만족 사이에 우울과 사회적 지지가 다중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중장년 장애인에 대한 적정한 수준에서 생활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소득지원 체계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중장년 장애인의 삶의 만족을 높이기 위해 우울에 적극 대처할 수 있는 정신건강 지원 서비스 개입과 사회적 지지망의 확대가 필요하다.

일부 특수학교 장애인의 구강보건의식행태에 관한 조사연구 (Study on the oral health awareness and behavior in the special school for students of disability)

  • 송윤신;장우성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03-111
    • /
    • 2011
  • Objectives : This study of oral health problems was conducted to 311 students in Special Schools in order to inquire into the state of their oral health behaviors, to find out the main obstacles against dental services, to secure dental reasonable basis for oral health promotion. Methods :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in the Special School of the 311 students in the area of the metropolitan Seoul. By means of Chi-squared test and Fisher's exact test, oral hygiene habits for each type of the subjects, the contents of dental care services, the prerequisites to improve oral health, were inquired. To evaluate the effects to the current oral health status of types of disability, 2-way ANOVA was practiced. Results : The handicapped with Visual impairment, mental retardation, multiplicity with disabilities, answered negatively in their own oral health status. 47.4% of the deaf can do brush for theirselves without the inconvenience, but in other types of disability they showed that they were helped by others. Subjects did not use the secondary oral hygiene necessaries because, except brain damage, almost of types of disability impeded the convenient use. 60 to 88.2 percent of the total respondents were the recent visitors to dental clinique within 1 year, and the most common motives of the visiting dentist, is a routine medical examination, their movements to the dentist in all types of disabilities, needed helps of others. Most of them received medical treatment at a private dentist, the handicapped preferred the private care and place(49.8%). Only in the case of the brain disorders, extremely much of the disabled answered that they were needed the preventive treatment, and the another cases of disability were largely needed the treatment of the decayed teeth. To improve the oral health of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at the opening of the clinics and hospitals over a certain size, the mandatory medical facilities for the care of the disabled should be preceded and followed by the improvement of dental insurance system so as to reduce the burdens of the cost of dental care. Conclusions : The improvement of oral health policy for the disabled are needed inevitably: Development of secondary oral hygienic easy to use for the disabled, the building systems of medical dental hospital with the disabled facilities, by the improvement of the insurance system, the reduction of the burden of payments.

스마트 힐링콘텐츠의 문화기호학적 방법론 연구 (A Research for Methodology of Culture Semiotics for Smart Healing Contents)

  • 백승국;윤은호
    • 정보화연구
    • /
    • 제11권3호
    • /
    • pp.347-357
    • /
    • 2014
  • 본 논문은 문화콘텐츠에 감성적 심리학적 접근방법론을 적용하여 콘텐츠 유저의 감성에 긍정적인 효과를 유발하는 기능성 문화콘텐츠의 학제적 연구의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해, 감성 수용과 표출에 문제가 있는 일반인이나 자폐 스펙트럼 장애인 등을 대상으로 한 기능성 문화콘텐츠의 학제적 접근에 대한 가능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최근 스마트폰과 태블릿 컴퓨터 어플리케이션 기술의 발전은 감성과 연관된 기능성 문화콘텐츠를 필요로 하고 있으며, 학제적 관점에서의 기능성 문화콘텐츠의 개발시장의 잠재성이 보조 대안적 커뮤니케이션(AAC) 어플리케이션의 성공으로 드러나고 있다. 따라서 감성장애를 선제적으로 예방하고 해소하는 어플리케이션이 개발될 경우, 감성장애인의 중재 비용이 상당히 감소되는 경제적 효과와 콘텐츠의 새로운 생태계를 조성하는 순기능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감성장애자들에게 심리적 안정과 균형감을 유지하게 만드는 어플리케이션의 속성과 특징에 대한 문화기호학적 접근을 시도하고자 한다. 즉 문화기호학적 차원에서 기존 스마트 힐링 어플리케이션의 내용 분석과 유저 인터페이스(UI) 그리고 유저 경험(UX)에 대한 분석과 평가를 시도하여 감성기반의 힐링콘텐츠 구축 방법론에 대한 학제적 이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우리나라 권역 장애인구강진료센터 이용자 만족요인 비교 (Comparison of factors among the regional oral health center for the disabled in Korea)

  • 정윤숙;최영애;강재민;이영은;송근배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83-191
    • /
    • 2021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of satisfaction with regional oral health center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Korea.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784 patients who visited regional oral health care centers in Korea. A self-developed questionnaire (29 items) was adapted with a consent form and IRB (Institutional Review Board). All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for statistics using SPSS version 25.0. Result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452 (57.7%) male patients, 207 (26.4%) aged 20-29 years old, and mostly had physical, developmental, and mental disabilities. The patients were introduced by their acquaintances, and the major reason for visit was specific dental care for the disabled. Most patients used their cars and took half to one hour to commute. The common factor affecting the comprehensive satisfaction was the facility satisfaction. Conclusions: A more comprehensive and standardized questionnaire should be developed for the annual evaluation of all centers. This study presents the basic data that can aid to activate the operation of the four oral health care centers for the disabled, which are scheduled to be implemented in the future, as well as 10 currently operated cent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