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ople of disability

검색결과 550건 처리시간 0.022초

장애인의 상용치료원 보유가 환자 중심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aving a Usual Source of Care on Patient-Centered Communication among Persons with Disabilities)

  • 전보영;이민영;안은미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518-530
    • /
    • 2021
  • Background: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having a usual source of care on the degree of patient-centered communication among persons with disability. The role of the usual source of care has been emphasized to improve patient experience, especially for patients with complex health conditions. Methods: This study used the 2017-2018 Korean Health Panel data, and the final study observations were 22,475 (20,806 people without disability and 1,669 people with disability). We applied 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 model to show the effect of having a usual source of care on patient-centered communication, and subgroup analysis considering the types and severity of disabilities. Results: Persons who have disabilities, compared with ones without it, significantly had more usual sources of care (32.4% vs. 24.6%). By type of disability, persons with mental (51.4%), internal organ (43.8%), visual (37%), and physical disabilities (31.6%) had more usual sources of care than hearing/speech (26.6%),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18.6%). The average score of patient-centered communication was higher among who had a usual sources of care (3.2 vs. 2.7), and th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having a usual sources of care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higher patient-centered communication score (𝛽=0.476, p<0.05). However, the positive effects of usual sources of care was not observed among persons with severe hearing/speech, developmental, and mental disabilities.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role of patient-centered communication was limited in persons with severe hearing/speech disabilities, developmental, and mental disabilities. The education programs and supports are needed to improve communication skills between medical staff and persons with specific types of disabilities.

Effect of Home Exercise with Taping on the Pain and Functional Disability in Patients with Carpal Tunnel Syndrome

  • In, Tae-sung;Kim, Kyung-hun;Jung, Kyoung-sim
    • Physical Therapy Rehabilitation Science
    • /
    • 제10권3호
    • /
    • pp.351-355
    • /
    • 2021
  • Objective: Carpal tunnel syndrome is one of the most common upper extremity compressive nerve disorders in modern people. Various conservative treatments such as taping, exercise, and electrotherapy have been applied to carpal tunnel syndrome and their effectiveness has been proven.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whether home exercise combined with taping is effective for pain and functional disability in patients with carpal tunnel syndrome. Design: Randomized controlled study Methods: 21 patients were recruited and were randomly divided into HEx+T (Home exercise+taping) group (n=10) and HEx (Home exercise) group (n=11). All participants performed Home exercise(tendon and neural gliding exercise) 5 times a week for 6 weeks. Additionally, subject in the HEx group, taping was applied over the wrist and forearm during the training period. Wrist pain was measured by VAS (Visual Analogue Scale). Functional disability was measured using a BCTSQ(The Boston Carpal Tunnel Syndrome Questionnaire). Results: Both the HEx+T group and the HEx group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wrist pain(p<0.05), and the HEx+T group showed a more significant decrease in pain than the HEx group(p<0.05). There was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both groups in functional disability (p<0.05), and the HEX+T group showed more improvement than the HEX group(p<0.05).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home exercise combined with taping is effective for pain and functional disability in patients with carpal tunnel syndrome.

Biopsychosocial Factors and Perceived Disability in Saleswomen with Concurrent Low Back Pain

  • Pensri, Praneet;Janwantanakul, Prawit;Worakul, Puangsoi;Sinsongsook, Thanes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권2호
    • /
    • pp.149-157
    • /
    • 2010
  • Objectives: To quantify disability level in salespeople with concurrent low back pain (LBP) and to determine the relative associations between demographic, occupational, psychosocial and clinical factors and back disability. LBP is the most common cause of work-related disability in people under 45 years of age and the most expensive cause of work-related disability, in terms of workers' compensation and medical expenses. Evidence suggests high prevalence of LBP in salespeople. Methods: A cross-sectional survey was conducted in which 184 saleswomen with a current episode of self-reported LBP working in a large up-scale department store filled out a battery of 6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and received a standardised physical examination. Results: Saleswomen with concurrent LBP had low disability levels. Factor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isability were pain intensity, measured by a visual analogue scale, in the past week (p < 0.001), physical and mental health status (p < 0.001, p = 0.003, respectively), fear avoidance scores for both work and physical activities (p = 0.031, p = 0.014, respectively), past history of LBP (p = 0.019), and self-reported frequency of pushing or pulling objects placed in high positions during work (p = 0.047). A significant level (45%) of the variance in disability status was explained by these variables. Conclusion: In clinical management of LBP workers who required prolonged standing, such as salespeople, clinicians should look for modifiabl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disability. Specific measures need to be taken to prevent disability due to LBP among salespeople.

시력·청력제한이 노년기 장애 발생에 미치는 영향 연구: 사회참여와 우울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Vision and Hearing Limitation on the Onset of Disability among Korean Elderly with the Consideration of Social Participation and Depression)

  • 구본미
    • 한국노년학
    • /
    • 제37권1호
    • /
    • pp.1-14
    • /
    • 2017
  • 본 연구는 노인들이 경험하는 시력 청력기능 제한이 사회참여와 우울 수준에 따라 노년기 장애 발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고령화연구패널(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KLoSA) 1차(2006년)와 2차(2008년) 기본조사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은 1차 조사와 2차 조사를 모두 완료한 65세 이상 노인 3,511명 중 2006년을 기준으로 ADL 및 IADL장애를 경험하지 않은 노인 2,670명이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시력제한, 청력제한, 사회참여, 우울은 각각 2년 후 IADL장애 발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력제한을 경험하고 있는 노인은 그렇지 않은 노인에 비해 2년 후 노년기 장애가 발생할 확률이 1.7배 높았으며, 청력제한을 경험한 노인은 1.9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통제변수를 투입한 분석에서는 시력제한을 경험한 노인들에게 2년 후 장애가 발생할 확률이 시력제한이 없는 노인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시력 청력제한과 사회참여 유무, 시력 청력제한과 우울증 유무를 4가지로 범주화하여 2년 후 노년기 장애 발생을 분석한 연구 결과에서는, 시력과 청력제한 모두 사회참여 수준에 따라 노년기 장애 발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력 또는 청력 기능이 좋지 않으면서 사회참여 수준도 낮은 노인들은 2년 후 노년기 장애를 경험할 확률이 그렇지 않는 노인에 비해 약 1.7배 정도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우울 수준은 시력 청력제한을 경험하는 노인들의 2년 후 장애 발생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노년기 장애 발생을 예방 지연시키기 위해서는 시력 청력제한 원인에 대한 조기발견 치료뿐만 아니라, 시력 청력제한으로 인해 사회적으로 고립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개입방안의 마련이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다.

장애 인식개선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The Effect of the Disability Awareness Program)

  • 이종남;한상미
    • 재활복지
    • /
    • 제22권2호
    • /
    • pp.103-126
    • /
    • 2018
  • 본 연구는 장애 인식개선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이를 바탕으로 장애 인식개선 프로그램의 발전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인식개선 프로그램 강사 교육을 진행한 후, 2017년 6월부터 10월까지 전국의 초 중 고등학생과 성인 총 508명에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장애 인식개선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측정하기 위해 '장애 인식 지표'를 활용하였으며, 장애 인식의 변화(장애 이해, 장애인 인권의식)와 장애인에 대한 차별과 다름에 대한 지식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실험설계를 바탕으로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검사 결과를 기술통계, 대응 t검증, 독립 t검증,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장애인 인식개선 프로그램 전보다 후에 장애에 대한 인식이 개선되었으며, 차별과 다름에 대한 지식도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성별, 연령, 프로그램 유형에 따라 프로그램 효과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장애 인식개선 프로그램의 개선방안 및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재활운동 및 체육 서비스 제공을 위한 장애인 요구도 분석 (Analysis of the Needs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y for Rehabilitation Sports Service)

  • 강동헌;박지영;은선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675-690
    • /
    • 2021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수행된 '장애인 체육', '장애인 생활체육', '재활운동 및 체육' 관련 연구들을 바탕으로 재활운동 및 체육 서비스 실수요자인 장애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요구도 조사 결과들을 수집하여 재활운동 및 체육 서비스에 대한 요구도를 분석하였다. 장애인의 요구 내용을 추출하고 추출된 내용을 귀납적 내용 분석으로 제시하였으며, 연구자의 선입견과 주관적인 판단을 최대한 배제하고자 하였다. 국내에서 수행된 '장애인 체육', '장애인 생활체육', '재활운동 및 체육' 관련 연구들을 바탕으로 장애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요구도 조사결과가 포함된 연구가 선정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재활운동 및 체육 서비스 실수요자인 장애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요구도 조사 결과에 대하여 8가지(체육활동에 관한 인식, 프로그램, 지도자, 시설, 접근성, 체육활동 참여에 관한 저해요소, 비용/지원/재원, 기타)로 구성하여 범주화하였다.

청각자극 증가에 따른 지적장애인의 심박수와 손 기능, 건강관련 삶의 질의 변화 (The Changes of the Heart Rate, Hand Function,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hrough the Increase of the Auditory Stimulation)

  • 손성민;강진호;박아름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217-227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청각자극 증가에 따른 지적장애인의 심박수, 손 기능과 건강관련 삶의 질의 변화를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지적장애인 16명이다. 청각자극 중가는 음악의 볼륨을 통해 조절되었고, 60dB, 65dB, 70dB로 자극의 강도를 증가시켜 적용하였다. 청각자극 증가에 따라 Xeno 손목형 심박수와 혈압 측정기(LHY Health, Co., China)를 활용하여 심박수를 측정하였다. 손 기능의 측정은 퍼듀 페그보드를 활용하여 손 기능을 측정하였다. 건강관련 삶의 질은 Short-form 8 health survey를 활용하여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청각자극 증가에 따라 심박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손 기능도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건강관련 살의 질은 청각자극 적용 후 감소하였다. 이에 청각자극 증가에 따른 심막수와 손 기능, 건강관련 삶의 질의 변화가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여, 청각자극 증가는 지적장애인의 심리적 불편감으로 작용하게 되어 심박수를 증가시키며, 손 기능과 건강관련 삶의 질을 감소시키는 데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지적장애인의 심박수의 감소와 손 기능, 건강관련 삶의 질의 향상을 위해 환경자극에서 청각자극 강도를 고려해야 할 것이다.

장애인치과학 수업 전후의 치의학 전문대학원 학생들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 변화 연구 (STUDENT ATTITUDES TOWARD PEOPLE WITH DISABILITIES : A COMPARISON BETWEEN BEFORE AND AFTER CLASS OF SPECIAL CARE DENTISTRY)

  • 이효주;방재범;이은영;김광철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8
    • /
    • 2014
  • Patients with disabilities are a significant segment of Korea population. However, they encounter more challenges when seeking dental care. So, dentists and students who are future dental providers should have a responsibility to provide oral care services for them. In this study, we hypothesize that the education of special care dentistry may influence positive attitudes of the disabled. The attitudes are influenced by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gender, religion, experience of volunteer activities and marital status.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hange of attitudes of students towards people with disabilities between before and after class of special care dentistry. 72 students enrolled at the Kyung Hee University were surveyed. All participants attended class of Special Care dentistry in the third grade. The survey was conducted two times, just before class and after class. The attitudes of students were assessed using the well-documented ATDP (Attitude Toward Disabled Person)-O(Original) scale and MAS (Multidimensional Attitudes Scales Toward Persons with Disabilities) scale through the methodology of questionnair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gender, experience of volunteer activities and marital status did not affect their ATDP and MAS score. In religious affiliation, onl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tudent attitudes between before and after class of Special care dentistry. It means that habitual religious activity may offer stronger effects on student's attitude than short-term education. Therefore, long-term and specific educational experiences are needed to promote positive attitudes for people with disability.

전통적 종이형태의 평가와 전자매체를 적용한 평가에 따른 지적장애인들의 시지각 능력과 시각적 주의집중의 차이에 관한 연구 (A Study about the difference of the Visual Perception and Attention of the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rom the Application of the Electronic Media and Traditional Paper Material)

  • 손성민;전병진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505-514
    • /
    • 2019
  • 본 연구는 전통적 종이형태의 평가와 전자매체를 이용한 평가적용에 따른 지적장애인들의 시지각과 주의집중의 차이를 분석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지적장애인 12명이다. 대상자들에게 전통적 평가방식과 전자매체를 활용한 평가방식을 적용하였으며, 그 차이를 비교하였으며, 그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대상자들의 시지각과 시각적 주의집중을 평가하였다. 시지각을 평가하기 위해 Motor free visual perception test-3를 활용하였으며, 주의집중을 평가하기 위해 Trail making test를 활용하였다. 그 결과, 전자매체를 적용한 평가에서 대상자들의 시지각과 주의집중 모두 높게 나타났다. 전자매체는 지적장애인들의 시지각과 주의집중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지적장애인들에게 전자매체를 적용할 경우 이러한 차이를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지체장애인의 인공지능 스피커 사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Use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s of the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y)

  • 박혜현;이선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572-578
    • /
    • 2021
  • 본 연구는 지체장애인을 대상으로 인공지능 스피커에 대한 인지적 요소와 감정적 요소가 인공지능 스피커 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지체장애인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인공지능 스피커에 대한 인지도와 필요도, 인지된 친밀함과 즐거움, 사용 의도를 파악하였으며, 각 변인이 지체장애인의 인공지능 스피커 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지체장애인의 인공지능 스피커에 대한 인지된 즐거움은 사용 의도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지체장애인의 인공지능 스피커에 대한 인지도와 필요도, 인지된 친밀함은 인공지능 스피커 사용 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장애인의 인공지능 스피커 사용 의도 향상을 위해 즐거움 요소를 강화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하며, 장애인을 위한 인공지능 제품과 맞춤형 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