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Changes of the Heart Rate, Hand Function,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hrough the Increase of the Auditory Stimulation

청각자극 증가에 따른 지적장애인의 심박수와 손 기능, 건강관련 삶의 질의 변화

  • Son, Sung-Min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Jeonju Kijeon Collage) ;
  • Kang, Jin-Ho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Jeonju Kijeon Collage) ;
  • Bak, Ah-Ream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Jeonju Kijeon Collage)
  • 손성민 (전주기전대학 작업치료과) ;
  • 강진호 (전주기전대학 작업치료과) ;
  • 박아름 (전주기전대학 작업치료과)
  • Received : 2020.05.19
  • Accepted : 2020.07.27
  • Published : 2020.07.31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changes of the heart rate, hand function,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hrough the increase of the auditory stimulation. The subjects were 16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he increase of the auditory stimulation was modulated through the music sound and the intensity was consisted of 60dB, 65dB and 70dB. The wist heart rate and blood pressure monitor was used to measure the heart rate during the application of the auditory stimulation increase. The hand function of right and left hand was measured by the Purdue pegboard. Health related of quality of life was measured by the short form-8 health survey. As the results, the increase of the heart rate was showed by the increase of the auditory stimulation and the decrease of the hand function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was showed. For these, the increase of the auditory stimulation acts as a psychological distress, thereby the increase of the heart rate and the reduction of the hand function and health relate quality of life showed. Thus, to decrease of the heart rate and increase the hand function and the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he intensity of the auditory stimulation should be considered in the environmental stimul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청각자극 증가에 따른 지적장애인의 심박수, 손 기능과 건강관련 삶의 질의 변화를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지적장애인 16명이다. 청각자극 중가는 음악의 볼륨을 통해 조절되었고, 60dB, 65dB, 70dB로 자극의 강도를 증가시켜 적용하였다. 청각자극 증가에 따라 Xeno 손목형 심박수와 혈압 측정기(LHY Health, Co., China)를 활용하여 심박수를 측정하였다. 손 기능의 측정은 퍼듀 페그보드를 활용하여 손 기능을 측정하였다. 건강관련 삶의 질은 Short-form 8 health survey를 활용하여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청각자극 증가에 따라 심박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손 기능도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건강관련 살의 질은 청각자극 적용 후 감소하였다. 이에 청각자극 증가에 따른 심막수와 손 기능, 건강관련 삶의 질의 변화가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여, 청각자극 증가는 지적장애인의 심리적 불편감으로 작용하게 되어 심박수를 증가시키며, 손 기능과 건강관련 삶의 질을 감소시키는 데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지적장애인의 심박수의 감소와 손 기능, 건강관련 삶의 질의 향상을 위해 환경자극에서 청각자극 강도를 고려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신배정, 장희순(2007). 주거환경이 초등학생의 성장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강원도 원주시 초등학생을 중심으로. 주거환경, 5(2): 87-125.
  2. 김진영(2006). 교내소음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성철, 박근상, 김관우(2010). 소음이 과제수행에 미치는 영향. 대한인간공학회지, 29(1): 121-128. https://doi.org/10.5143/jesk.2010.29.1.121
  4. 서상희, 장상동, 김봉현(2014). 청각적 스트레스 자극에 대한 EEG 비대칭성 및 ERP 반응. 한국산학기술학회 학술대회, 2014(2): 959-961.
  5. 김근순(2005). 스트레스 반응의 생리학적 접근. 스트레스연구, 13(3): 117-125.
  6. 정혜림, 김경미(2011). 성인 정신장애의 청각자극에 따른 생리학적 반응 측정에 대한 체계적 고찰. 대한감각통합치료학히지, 9(1): 45-52.
  7. 박경옥, 김선중(1995). 다가구 주택의 거주성확립을 위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1(1), 105-111.
  8. 이장명, 심창선, 방수영, 윤재국, 성주현, 이현섭, 권순우, 서애연(2011). 소음의 건강영향 연구. 국립환경과학원.
  9. 정병록(2017). 지적 장애인의 감각처리능력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10): 280-288. https://doi.org/10.5392/JKCA.2017.17.10.280
  10. 김재경, 박민호, 장계선, 정찬순, 고일주(2008). 청각 자극에 의한 안정화된 심박 패턴 유도.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2008(2): 158-162.
  11. Orr, S.P., Metzger, L.J., Lasko, N.B., Macklin, M.L., Hu, F.B., Shalev, A.Y., & Pitman, R.K.(2003). Physiologic responses to sudden, loud tones in monozygotic twins discordant for combat exposure: association with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60(3): 283-288. https://doi.org/10.1001/archpsyc.60.3.283
  12. Shalev, A.Y., Peri, T., Orr, S.P., Bonne, O., & Pitman, R.K.(1997). Auditory startle responses in help-seeking trauma survivors. Psychiatry Research, 69(1): 1-7. https://doi.org/10.1016/S0165-1781(96)03001-6
  13. 전혜윤, 황민아(2005). 배경음악을 통한 청각자극이 ADHD아동의 철자인지과제 수행에 미치는 영향. 언어청각장애연구, 10(2): 43-60.
  14. 현보성, 양병화, 오세진(2002). 소음차폐와 과제복잡성이 과제수행 및 심리적 반응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15(1): 147-167.
  15. 이진환, 김태희(2000). 핸드폰 통화소음이 연산과제에 미치는 효과. 부산대학교 학생생활 연구소 연구보, 32(2): 61-69.
  16. 김진경, 정민예, 권오윤(2001). 장갑의 착용 유무에 따른 민첩성 평가도구의 수행 속도 비교와 각 도구간의 상관성. 대한작업치료학회, 9(1): 85-94.
  17. Wilson, F.R., Pan, W., & Schumsky, D.A.(2012). Recalculation of the critical values for Lawshe's content validity ratio.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Counseling and Development, 45(3): 197-210. https://doi.org/10.1177/0748175612440286
  18. Liao, Z.(2017). Prtable charger for smart watch. U.S. Patent Application, 29(564): 116.
  19. 진종현, 전종원(2004). 안정시 심박수에 따른 자율신경변화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8; 29-37.
  20. 김환희, 장문영(2012). 개별교육을 통한 직업 재활이 성인 지적장애인의 소근육 기능 및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1(1): 109-125.
  21. 이민정. 김홍열(2007). 원예치료가 정신지체인의 직업기술에 미치는 영향. 인간식물환경학회지, 10(4): 26-33.
  22. Ware, J.E., Kosinski, M., Dewey, J.E., & Gandek, B.(2001). A manual for users of the SF-8 Health Survey. Lincoln, RI: Quality Metric Incorporated, 4-19.
  23. 최선애(2004). 만성 뇌졸중 장애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연구. 성균관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신경림, 변영순, 강윤희, 옥지원(2008). 재가 노인의 주관적 신체 증상, 일상생활수행능력 및 건강관련 삶의 질. 대한간호학회지, 38(3): 437-444. https://doi.org/10.4040/jkan.2008.38.3.437
  25. 김은경(2014). 취약계층 노인의 성별 우울 관련 요인. 보건의료산업학회지, 8(3): 169-179. https://doi.org/10.12811/kshsm.2014.8.3.169
  26. Russo, N., Zecker, S., Trommer, B., Chen, J. & Kraus, N.(2009). Effects of background noise on cortical encoding of speech in autism spectrum disorders.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39(8): 1185-1196. https://doi.org/10.1007/s10803-009-0737-0
  27. Sun, W., Deng, A., Jayaram, A. & Gibson, B.(2012). Noise exposure enhances auditory cortex responses related to hyperacusis behavior. Brain research, 1485: 108-116. https://doi.org/10.1016/j.brainres.2012.02.008
  28. Bruneau, N., Dourneau, M.C., Garreau, B., Pourcelot, L. & Lelord, G.(1992). Blood flow response to auditory stimulations in normal, mentally retarded, and autistic children: a preliminary transcranial Doppler ultrasonographic study of the middle cerebral arteries. Biological psychiatry, 32(8): 691-699. https://doi.org/10.1016/0006-3223(92)90298-E
  29. 현경애(2005). 일시적 소음노출이 인체생리에 미치는 영향. 부산 가톨릭대학교 보건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연정민, 이주희, 김대현, 이옥경(2015). 치과기공 소음 노출이 치과기공과 학생의 스트레스와 순음청력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14(4): 363-370. https://doi.org/10.14400/JDC.2016.14.4.363
  31. Belojevic, G., Jakovljevic, B., Stojanov, V., Paunovic, K., & Ilic, J.(2008). Urban road-traffic noise and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in preschool children. Environment international, 34(2): 226-231. https://doi.org/10.1016/j.envint.2007.08.003
  32. Lusk, S.L., Gillespie, B., Hagerty, B.M., & Ziemba, R.A.(2004). Acute effects of noise on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Archives of Environmental Health: An International Journal, 59(8): 392-399. https://doi.org/10.3200/AEOH.59.8.392-399
  33. 장경애.(2015).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임상수행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융합학회논문지, 6(6): 36-42.
  34. 유수일(2004). 장애인종합복지관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손성민, 곽성원(2019). 백색소음이 지적장애 아동의 쓰기 능력과 손 기능의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논문지, 13(6): 265-275.
  36. 함장성(2006). 심박변이에 영향을 미치는 작업 관련요인. 고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최효임, 송한수, 신미연, 김인석, 현명호(2005). 특성불안에 따른 공포/비공포 자극이 과제수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0(1): 31-46.
  38. 김기도, 허명(2019). 컴퓨터 인지재활 프로그램 적용 시 백색소음이 지역사회 노인의 기억력과 주의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논문지, 13(8): 627-633.
  39. 주영주(2013).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경로 분석. 공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0. 김정만(2006). 소음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소음 진동, 16(5): 6-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