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ony (Paeonia lactiflora)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39초

한국산(韓國産) 작약근(芍藥根) 함유(含有) Paeoniflorin 과 Albiflorin의 분리(分離) 및 분석(分析) (Isolation and Determination of Paeoniflorin and Albiflorin in Korean Peony(Paeonia lactiflora Pall) Root)

  • 정명근;강광희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249-254
    • /
    • 1997
  • 한국산 재배작약(Paeonia lactiflora Pall.)에서 작약근의 주 활성물질로 평가되는 paeoniflorin과 albiflorin을 분리하였고. 국내 재배작약 10계통간에 paeoniflorin 과 albiflorin의 함량을 정량적으로 분석 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한국산 재배작약으로 부터 silicagel column chromatography를 실시하여 paeoniflorin 과 albiflorin을 분리하였고, 그 화학적 구조를 분광학적 방법 $(UV,\;FT-IR,\;^1H{\cdot}^{13}C-NMR)$으로 확인 하였으며, HPLC 상대순도는 각각 98%, 93%였다. 2. 국내 재배작약 10계통의 paeoniflorin함량을 조사한 결과 $1.56%{\sim}4.04%$의 범위를 나타내었으며, 이들 중 의성 9호가 1.56%로 가장 낮았고, 밀양 4호가 4.04%로 가장 높은 양상을 나타내어 재배 계통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3. 국내 재배작약 10계통의 albiflorin함량은 의성 4호가 0.04%로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풍기 27호가 1.98%로 가장 높아 계통간 차이가 뚜렸하였고, 조사된 10계통 중 풍기 계통은 $0.10%{\sim}1.98%$로 기타 계통보다 함량이 월등히 높았다.

  • PDF

Genetic relationships and molecular authentication of plant origins and the commercial medicinal herbs in peony using RAPD markers

  • Bang, Kyong-Hwan;Jung, Jin-Ho;Kim, Ok-Tae;Chung, Jong-Wook;Ham, In-Hye;Seong, Nak-Sul;Luo, Rong;Zhang, Gui-Jun;Choi, Ho-Young
    • Advances in Traditional Medicine
    • /
    • 제7권1호
    • /
    • pp.26-33
    • /
    • 2007
  • Genetic polymorphism and molecular authentication were investigated with the commercial medicinal herb, Peony (Paeonia spp.), using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markers. To identify the polymorphism of the RAPD patterns among plant origins, 20 different random primers were applied to the genomic DNA extracted from Paeonia spp. plants such as Paeonia (P.) lactiflora, P. officinale and P. japonica. Ten primers out of 20 primers could be used to discriminate the plant species in the same genus and 72 out of 81 scored DNA fragments (88.9%) generated with these primers were polymorphic. Especially, four primers, such as OPA1, OPA3, OP9, and OPA13, were useful to discriminate the plant origins among the species of Peony. In the results of cluster analysis using RAPD data obtained from the 10 primers, Peony (Paeonia spp.) plants used in this study were grouped into the two distinctive clusters, genetically. Herb medicine, especially P. lactiflora, were easily identified, when species-specific primers were applied to the investigation for discriminating herb medicine currently traded in domestic herb market, Kyungdongmart. Consequently, RAPD analysis was useful method to discriminate plant origins and the commercial medicinal herbs, Paeonia spp..

작약의 종(種), 부위 및 생육시기에 따른 성분 함량의 변화 (Change of Medicinal Components by Different Species, Plant Parts and Growth Stage of Paeonia spp.)

  • 김세종;박준홍;김길웅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215-219
    • /
    • 2006
  • 작약의 이용성을 높이기 위해 작약의 종 및 품종, 생육시기, 식물체 부위별 성분의 함량 분포와 변화를 HPLC를 이 용하여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작약의 종 및 품종간 성분의 함량 분포는 야생작약(P. japonica M., P. obovata M., P. anomala L.) 보다는 재배작약(태백작약, 의성작약)에서 전반적으로 함량이 더 높았고, 성분별 분포는 paeonifloin, methyl gallate, astragalin, kaempferol 순으로 높았으며 methyl gallate 는 의성작약에서 0.45%로 가장 높았다. 식물체 부위별 함량 분포는 methyl gallate는 꽃잎에서 1.79%로 가장 높았으며 잎에는 0.56% 함유하였고, 뿌리에는 0.01%로서 소량 분포하였다. Astragalin 은 꽃잎과 잎에서 높았고, 작약의 지표 성분인 paeoniflorin 은 뿌리에서 2.52%로 가장 높았으며 잎에도 1.09%나 함유하여 이용 가치가 매우 높다고 사료된다. 생육시기별 함량 분포는 생육초기인 4월에 가장 높았고 생육 후기로 갈수록 감소하는 경향이므로 잎과 줄기를 이용하려면 뿌리 수확직전인 $8{\sim}9$월이 적기라고 생각된다.

작약(芍藥)의 화분소포자(花粉小胞子)로부터 캘러스와 배(胚) 형성(形成) (Callus and Embryo Formation from Microspore Culture of Peony(Paeonia lactiflora Pall.))

  • 손재근;김경민;권용삼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12권
    • /
    • pp.51-55
    • /
    • 1994
  • 작약(芍藥)의 약(葯)으로부터 분리된 화분소포자(花粉小胞子)를 생장조절제가 첨가되지 않은 MS 배지에 배양하였을때 직접 배(胚)발생 과정을 거쳐서 소포자 유래의 배(胚)가 형성되었고, 1mg/l의 PAA가 첨가된 배지에서는 화분소포자 유래의 캘러스가 형성 되었으며 이들 캘러스를 생장조절제를 함유하지 않은 배지에 이식하였을 때 배양 7주 후에 배(胚)가 형성되었다.

  • PDF

Discrimination of Floral Scents and Metabolites in Cut Flowers of Peony (Paeonia lactiflora Pall.) Cultivars

  • Ahn, Myung Suk;Park, Pue Hee;Kwon, Young Nam;Mekapogu, Manjulatha;Kim, Suk Weon;Jie, Eun Yee;Jeong, Jae Ah;Park, Jong Taek;Kwon, Oh Keun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641-651
    • /
    • 2018
  • Floral scents and metabolites from cut flowers of 14 peony cultivars (Paeonia lactiflora Pall.) were analyzed to discriminate different cultivars and to compare the Korean cultivar with the other cut peonies imported to Korea using electronic nose (E-nose) and Fourier transform infrared (FT-IR) spectroscopy combined with multivariate analysis, respectivel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and discriminant function analysis (DFA) dendrogram of peony floral scents were not precisely same but there were 3 groups including same cultivars. PCA and partial least squares-discriminant analysis (PLS-DA) dendrograms of peony metabolites showed that different cut peony cultivars were clustered into two major groups including same cultivars. Fragrance pattern of Korean 'Taebaek' was classified to same group with 'Jubilee' on the PCA and DFA results and its metabolite pattern was clearly discriminated by the PCA and PLS-DA compared to the other cultivars. These results show that the 14 peony cut flowers could be discriminated corresponding to their chemical relationship and the metabolic profile of Korean 'Taebaek' has distinctive characteristics. Furthermore, we suggest that these results could be used as the preliminary data for breeding new cut peony cultivars and for improving the availability of Korean cut peony in cosmetic industry.

Novel Purification Method of Two Monoterpene Glucosides, Paeoniflorin, and Albiflorin, from Peony

  • Kim, Nam-Soo;Kim, Dong-Kyu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6호
    • /
    • pp.1055-1059
    • /
    • 2007
  • Two monoterpene glucosides, paeoniflorin and albiflorin, in peony (Paeonia lactiflora) were purified from 70% ethanol extract of Paeoniae Radix by diethyl ether washing and n-butanol partition, acetone dissolution, and gradient preparative HPLC. After the whole course of purification, yield of paeoniflorin, albiflorin, and the sum of them were 75.0, 38.8, and 68.7%, respectively, together with the corresponding purity of 96.2, 93.8, and 96.0%.

작약(芍藥)의 주요병해(主要病害) 발생(發生) (Incidence of Major Diseases on Paeonia lactiflora PALLAS)

  • 박소득;김기재;유오정;김세종;김재철;신종희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236-240
    • /
    • 1996
  • 1. 작약(芍藥)의 지상부(地上部)에 기생(寄生)하는 주요 병원균(病原菌)은 점무늬병균 등 7종(種)이었으며 점 무늬병은 잎, 검은무늬병은 줄기, 흰가루병은 잎과 줄기 등 지상부 전체에 발생이 심하였다. 2. 작약(芍藥)에는 점무늬병과 흰가루병이 우점종(優占種)이었고, 각각 4월 하순, 5월 중순부터 발생되기 시작하여 5월 하순 이후는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의성작약(義城芍藥)이 영천종(永川種)보다 발병율이 높았다. 3. 시기별(時期別) 작약(芍藥) 지상부(地上部) 고사율(枯死率)은 95년의 경우 5월 하순부터 고사(枯死)하기 시작하여 6월 하순에 15.3%로 그 이후부터는 급격히 증가하여 8월 상순에는 50.6%가 고사(枯死)하였으며 5, 6월의 조기고사(早期枯死)는 주로 흰가루병 때문이었다.

  • PDF

작약 잎과 줄기의 생리활성 물질 분리 및 동정 (Isolated and Identification of Biological Activity Compounds from Leaves and Stem of Paeonia lactiflora Pallas)

  • 김세종;박준홍;최성용;손건호;김길웅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6-11
    • /
    • 2007
  • 작약의 지상부인 잎과 줄기에서 물질을 분리 동정하기 위해 MeOH 추출 및 column chromatograpy하여 단일 물질 5종을 분리하였으며, 분리한 물질에 대하여 IR, UV, Mass, NMR 등을 이용하여 화학구조를 동정하였다. 그 결과 oleanolic acid, kaempferol, methyl gallate, astragalin, paeoniflorin의 구조가 확인되었으며 이들 화합물은 작약의 지상부인 잎과 줄기에서는 처음으로 분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