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nicillium

검색결과 704건 처리시간 0.03초

Penicillium corylophilum에 의한 큰느타리버섯(Pleurotus eryngii) 푸른곰팡이병의 발생 (Occurrence of Bluish Green Mold of Pleurotus eryngii by Penicillium corylophilum)

  • 조우식;류영현;김승한;윤재탁;최부술
    • 한국균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412-414
    • /
    • 1999
  • 최근 국내 큰느타리버섯 재배농가가 증가하면서 병해의 발생이 문제점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큰느타리 버섯의 자실체에 발생하는 푸른곰팡이 병반으로부터 Penicillium sp.균을 분리하여 동정하였고 생리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분리된 Penicillium sp.균의 형태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분생포자는 타원형이고 크기는 $2.3{\sim}3.4{\times}2.6{\sim}3.2\;{\mu}m$였다. 분생자병은 균사로부터 one-stage branch 모양을 형성하고, metulae는 $2{\sim}4$개로 크기가 $10{\sim}l8{\times}2.5{\sim}3.0\;{\mu}m$이며, phialides는 플라스크상이고 크기가 $9{\sim}13{\times}2.2{\sim}2.8\;{\mu}m$였다. Czapek 배지에서 배양할 경우 $25^{\circ}C$에서 7일에 균총이 21 mm 성장했으며, 균총의 색은 회녹색이었다. 이상과 같은 형태 및 배양적 특징으로 공시균을 Penicillium corylophilum로 동정하였고 이균을 상처접종하였던바 $6{\sim}7$일만에 재배농가에서와 동일한 증상을 나타내었다.

  • PDF

형태적 특성에 의한 벼과작물 종자전염 Penicillium spp.의 동정 (Identification of Seed-borne Penicillium spp. on Gramineae Crops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 김민경;현익화;김진원
    • 한국균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81-85
    • /
    • 2005
  • 1997년부터 2003년에 걸쳐 우리나라에서 수확된 보리, 율무, 옥수수, 수수, 벼에서 총 81개의 Penicillium 속균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Penicillium 속균의 배양적 형태적 특징을 이용하여 종을 동정한 결과 P. citrinum, P. chrysogenum, P cyclopium, P. oxalicum, P. polonicum, P. purpurogenum 그리고 P. viridicatum으로 동정되었다. 이 중에서 P. cyclopium, P. polonicum, P. purpurogenum은 국내에서 처음 보고되는 미기록종들이다.

밀랍지 내에서의 Aspergillus versicolor와 Penicillium polonicum의 생장 특성 연구 (A Study on Growth of Aspergillus versicolor and Penicillium polonicum within the beeswax treated paper)

  • 박지희;최경화;서진호
    • 펄프종이기술
    • /
    • 제42권2호
    • /
    • pp.20-26
    • /
    • 2010
  • Paper composed mainly of organic materials and they can be used as nutrient by microorganisms. Therefore microorganisms are damaging the important documents and works of art irreversibly. Previous research reported that mycelium or spores of the fungi were observed on the wax of the volumes of King Sejong especially were heavily deteriorated by fungi. Fungal strains isolated from the annals of Joseon dynasty were identified as Biscogniauxia atropunctata, Aspergillus versicolor, Penicillium polonicum, Ceriporia lacerata, Irpex lacteus. Especially Aspergillus and Penicillium are able to grow on the substrates having a 7-8% moisture content, which is much lower than the general storage condition (RH55-60%) of the paper cultural properties. Moreover, they are known as fungi cause paper deterioration and discoloration. In this study, we selected Aspergillus versicolor and Penicillium polonicum among five strains, then biological aging has been executed for 30 days. The growth of Aspergillus versicolor and Penicillium polonicum in wax was lower than wax treated paper and Hanji. The growth of them in beeswax treated paper and Hanji both were excellent.

미생물비료 인산가용화균이 오이의 생산량에 미치는 영향

  • 이태근;박동하;주영직
    • 한국유기농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유기농업학회 2002년도 하반기 학술발표대회
    • /
    • pp.74-82
    • /
    • 2002
  • 난용성 인산염을 가용화 시키는 Penicillium sp. PS-113와 Lactobacillus sp. 를 이용하여온실에서 오이에 대한 생육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Penicillium sp. PS-113 $5.0{\times}106cfu/ml$ + Lactobacillus sp. $6{\times}106cfu/ml $동시 처리구에서 평균 오이 길이는 대조구에 비하여 3cm 더 긴것으로 조사되었고, 오이 낱개의 무게는 310.6g으로 무처리구에 비하여 89.2g 이 증가하였으며, 오이 전체 생산량은 10681.7g로 무처리구와 비교해 볼 때 4517.3g이 많아 생산량이 73% 증가하였다. Penicillium sp. PS-113 $5.0{\times}105cfu/ml$ 단독처리와 Penicillium sp. PS-113 $5.0{\times}105cfu/ml$ + Lactobacillus sp. $6{\times}106cfu/ml$의 동시 처리구도 오이의 평균 무게와 길이에 있어 무처리구보다 약간씩 더 높았다. Penicillium sp. PS-113 $5.0{\times}105cfu/ml$ + Lactobacillus sp. $6{\times}106cfu/ml$의 동시처리구는 무처리에 비하여 오이의 수가 2개 적었으나 오이 전체 생산량은 무처리구에 비하여 Penicillium sp. PS-113 $5.0{\times}105cfu/ml$ 단독 처리구에서 53.7%, Penicillium sp. PS-113 $5.0{\times}104cfu/ml$ + Lactobacillus sp. $6{\times}106cfu/ml$ 동시 처리구에서 48.5% 증가되었다. 따라서 인산가용화균의 처리가 오이의 생산성을 증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자몽종자 추출물(DF-100)이 Penicillium islandicum생육 및 독소 성분 skyrin생합성에 미치는 저해효과 (Inhibitory effects of grapefruit seed extract(DF-100) on growth and toxin production of Penicillium islandicum)

  • 조성환;서일원;최종덕;주인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3권2호
    • /
    • pp.169-173
    • /
    • 1990
  • 곡류 등에 오염되어 황색 독소성분인 skyrin을 생합성하는 Penicillium islandicum 배지에 grapefruit 종자로부터 추출한 천연유기 복합물인 DF-100을 처리하여 곰팡이 생육 및 skyrin 생성을 저해하는 효과를 볼 수 있었다. DF-100 500ppm 농도로 Penicillium islandicum의 생육을 91% 저해하였고 750ppm 농도에서 곰팡이 생육을 완전히 저해하였으며 500ppm농도로 skyrin생성을 완전히 저해하였다. skyrin 생합성경로를 고려할 때 DF-100은 낮은 농도에서 emodinanthrone으로부터 emodin을 거쳐 skyrin으로 전환되는 효소 반응계와 skyrinanthrone으로 진행하는 반응단계를 저해하는 것으로 밝혀 졌다.

  • PDF

Two Unrecoreded Species Belonging to Penicillium Section Exilicaulis in South Korea

  • Park, Myung Soo;Kim, Sung Hyun;Lee, Jun Won;Kim, Ji Seon;Cho, Yoonhee;Lim, Young Woon
    • 한국균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175-185
    • /
    • 2020
  • Penicillium in section Exilicaulis is characterized by non-vesiculate monoverticillate and biverticillate stipes. Species in sect. Exilicaulis are commonly found in soil and plants in terrestrial environments; however, only a few species have been reported in Korea. To investigate the diversity of Penicillium sect. Exilicaulis, Penicillium species were isolated from terrestrial and marine environments. Based on sequence analyses of β-tubulin, calmodulin, and the second largest subunit of RNA polymerase II loci, 19 strains of Penicillium in sect. Exilicaulis were identified as P. citreonigrum, P. citreosulfuratum, P. corylophilum, P. menonorum, P. rubefaciens, P. velutinum, Penicillium sp. 1, and Penicillium sp. 2. Two of them, P. citreonigrum and P. citreosulfuratum, were confirmed to be new to Korea. Molecular phylogenies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two unrecorded species are provided.

Penicillium from Rhizosphere Soil in Terrestrial and Coastal Environments in South Korea

  • Park, Myung Soo;Lee, Jun Won;Kim, Sung Hyun;Park, Ji-Hyun;You, Young-Hyun;Lim, Young Woon
    • Mycobiology
    • /
    • 제48권6호
    • /
    • pp.431-442
    • /
    • 2020
  • Penicillium, the most common genus plays an important ecological role in various terrestrial and marine environments. However, only a few species have been reported from rhizosphere soil. As part of a project to excavate Korean indigenous fungi, we investigated rhizosphere soil of six plants in the forest (terrestrial habitat) and sand dunes (coastal habitat) and focused on discovering Penicillium species. A total of 64 strains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as 26 Penicillium species in nine sections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 sequence analysis of β-tubulin and calmodulin. Although this is a small-scale study in a limited rhizosphere soil, eight unrecorded species and four potential new species have been identified. In addition, most Penicillium species from rhizosphere soil were unique to each plant. Penicillium halotolerans, P. scabrosum, P. samsonianum, P. jejuense, and P. janczewskii were commonly isolated from rhizosphere soil. Eight Penicillium species, P. aurantioviolaceum, P. bissettii, P. cairnsense, P. halotolerans, P. kananaskense, P. ortum, P. radiatolobatum, and P. verhagenii were record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Here, we provide the detailed morphological description of these unrecorded species.

Penicillium citrinum 생육과 citrinin 생성에 미치는 젖산균의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Lactobacillus spp. on the Growth and Citrinin production by Penicillium citrinum)

  • 신동균;이용욱;김종규;정덕화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19-126
    • /
    • 1991
  • Penicillium citrinum의 생육과 citrinin 생성에 젖산균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Penicillium citrinum을 치이즈 열성균인 Lactobacillus casei 및 Lactobacillus Bulgaricus와 혼합배의를 실시하였다. 즉 glucose를 7% 첨가한 APT 배지에 공식균을 각각 독립배의한 경우(Pc, Lb 및 Lc) , Penicillium citrinum 과 Lactobacillus spp.를 동시에 접종, 배양한 경우(ST; Pc+Lb 및 Pc+Lc) , Lactobacillus spp.를 접종하여 3일간 배양한 후 Penicillium citrinum을 접종하여 배양한 경우(LbPc 및 LcPc), 그리고 Penicillium citrinum을 접종하여 3일간 배양한 후 Lactobacillus spp.를 접종하여 배양한 경우 (PcLb 및 PcLc)로 구분하여 각각 30℃에서 15일간 정식 배의하면서 경시적으로 (0, 3, 6, 9, 12, 15일) 배의 액의 pH와 산도를 측정하고 공식균의 생육과 citrinin 생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 균의 생육은 혼합배의 의 경우 Penicillium citrinum의 성장이 크게 둔화되었고 특히 젖산균을 먼저 접종한 군(PcLb 및 PcLc)의 경우 더욱 현저히 나타났다. Citrinin의 생성은 곰팡이 대조군(Pc)과 곰팡이를 먼저 접종한군(PcLb 및 PcLc) 에서는 비슷한 함량을 보였으나 곰팡이와 세균을 동시 접종한 경우 (ST) 감소되었고, 특히 Lactobacillus spp. 배양 후 Penicillium citrinum을 접종한 군(LbPc 및 LcPc)에서는 citrinin 생성이 나타나지 않아 Penicillium citrinum의 생육과 citrinin 생성이 경쟁적으로 작용하는 microflora에 의해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독도의 자생식물 뿌리에서 분리한 내생진균의 다양성과 생장촉진활성 (Diversity and Plant Growth-Promotion of Endophytic Fungi Isolated from the Roots of Plants in Dokdo Islands)

  • 유영현;윤혁준;이길성;우주리;임순옥;신재호;이인중;추연식;김종국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7호
    • /
    • pp.992-996
    • /
    • 2011
  • 독도에 자생하고 있는 식물의 뿌리로부터 내생진균의 분리를 시도하여, 동도로 부터 참억새, 돌피, 쇠무릎과 서도에서 갯별꽃 및 율무쑥등을 연구재료로 사용하였다. 총 21종의 내생진균을 분리하였고, universal primers ITS-1과 ITS-4를 사용하여 ITS 영역을 PCR로 증폭하여 동정하였다. 염기서열 분석결과, 동도에 자생하는 참억새에서는 Penicillium 속 균주가 75%, Aspergillus 균주가 25%, 분리되었고, 돌피에서는 Penicillium 속 균주가 55%, Aspergillus 속 균주가 30%, Zygorhynchus 속 균주가 15%가 분리되었으며, 쇠무릎에서는 Penicillium 속 균주가 50%, Aspergillus 속 균주가 12%, Gibberella 속 균주가 13%, Talaromyces 속 균주가 9%, Umbelopsis 속 균주가 8% 분리되었다. 서도에 자생하는 갯별꽃에서는 Penicillium 속 균주가 76%, Pestalotiopsis 속 균주가 24% 분리되었고, 율무쑥에서는 Penicillium 속 균주가 81%, Mucor 속 균주가 19% 분리되었다. Bioassay결과, 돌피에서 분리된 Ec-3-1균주가 식물생장촉진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독도의 5종류 식물에서 Penicillium 속의 내생진균이 가장 많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Penicillium verruculosum으로부터 D-xylanase II의 정제 및 특성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D-Xylanase II from Penicillium verruculosum)

  • 조남철;강영태;이태훈;정기철;김강화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588-593
    • /
    • 1993
  • Xylanase(1, 4-beta-D-xylan xylanohydrolase` EC 3.2.1.8) II was purified from Penicillium verruculosum by using the techniques of two anion exchange chromatographies, and gel filtration. The molecular weight of this enzyme was about 22, 000 as determined by SDS-electrophoresis. The enzyme showed hydropytic activity toward xylan but did not catalyze hydrolysis of Rho-nitrophenyl-beta-D-xylopyranoside, Rho-nitrophenyl-beta-D-glucopyranoside, Rho-nitrophenyl-beta-D-cellobiopyranoside, and celluloses such as Avicel, cotton, filter paper, carboxymethylcellulos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