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lvic bone

검색결과 148건 처리시간 0.024초

골전이암의 확산강조영상과 역동적 조영증강 자기공명영상: 겉보기 확산계수, $K^{trans}$$v_e$ 값들의 상관관계 (Diffusion-weighted and Dynamic Contrast-enhanced MRI of Metastatic Bone Tumors: Correlation of the Apparent Diffusion Coefficient, $K^{trans}$ and $v_e$ values)

  • 구지현;윤영철;김재훈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18권1호
    • /
    • pp.25-33
    • /
    • 2014
  • 목적: 확산강조영상 (DW-MRI)과 역동적 조영증강 자기공명영상 (DCE-MRI)에서 도출한 정량적 매개변수들이 서로 연관되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치료시작 전 DWI와 DCE-MRI를 시행한 조직학적으로 혹은 임상적으로 진단된 골전이암을 가진 1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주 병변의 겉보기 확산계수 (ADC) 그리고 관류지수 중 $K^{trans}$$V_e$ 값을 측정하여 Pearson 연관분석을 사용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15개의 병변 중 11개는 ADC와 $K^{trans}$ 값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 중 7개의 병변은 음의 연관성을, 그리고 4개는 양의 연관성을 보였다. 9개의 병변은 ADC와 $V_e$ 값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 중 4개는 음의 연관성을, 그리고 5개는 양의 연관성을 보였다. 결론: 골전이암의 ADC 값과 $K^{trans}$ 값, 혹은 ADC 값과 $V_e$ 값은 일정한 연관성이 없었다.

개에서 원형외고정장치를 이용한 관절주위 골절의 안정화 (Stabilization of Short Juxta-articular Fractures Using a Circular External Skeletal Fixator System in Dogs)

  • 정혜련;김주호;차재관;설재원;김민수;이해범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523-526
    • /
    • 2014
  • 세마리의 개가 골절을 주증으로 내원하였다. 증례 1(1.8 kg의 5개월령 암컷 몰티즈)과 증례 2(3.0 kg의 6개월령 암컷 푸들)는 좌측 후지의 체중부중을 하지 않는 파행을, 증례 3(3.3 kg의 나이를 알 수 없는 암컷 잡종견)은 좌측 전지의 체중부중을 하지 않는 파행을 보였다. 정형외과 검사시 손상받은 부위의 통증, 염발음, 촉진상의 불안정성과 광범위한 연부조직 부종을 보였으며 신경학적 이상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방사선 검사상 증례 1와 2에서 좌측 근위 경골 골간단과 비골의 골절이, 증례 3에서는 좌측 근위 요골 골간단과 척골의 골절이 관찰되었다. 모든 증례는 골절편이 짧은 관절주위 폐쇄형 골절이었다. 술 중에는 투시장치를 이용해 2개 또는 3개의 원형고정장치의 적절한 위치에 삽입하였다. 술 후 방사선 사진에서 골절부위의 적절한 배열과 위치를 확인하였다. 방사선학적으로 5주에서 14주 사이에서 골유합이 확인되었고 임플란트의 고정 실패나 핀 주변 감염은 나타나지 않았다. 기능상 결과는 모든 증례에서 매우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원형외고정장치는 뼈판이나 외고정장치를 사용할 수 없는 짧은 골절편을 가진 관절주의의 골절정복에 성공적으로 이용할 수 있을 거라 사료된다.

시각적 피드백을 병행한 복합운동프로그램이 편평발 환자의 발배뼈 높이, 족저압 및 다리 정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omplex Exercise Program with Visual Feedback on Navicular Bone Height, Plantar Pressure and Low Extremity Alignment in Flat-Footed Patients)

  • 양회송;정찬주 ;유영대 ;강효정 ;김민규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69-279
    • /
    • 2023
  • Purpose : The most effective intervention for flat foot is strengthening exercises for the intrinsic and extrinsic of the foot. Additionally, visual feedback is necessary for movement accuracy. However,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vention when combined with visual feedback was not revealed. To confirm this, the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visual feedback and a complex exercise program on navicular bone height, plantar pressure, and lower extremity alignment. Methods : The twenty eight adult men and women with flat foot were randomly assigned to group 1 (n=14) and group2 (n=14), group1 performed complex exercises with visual feedback, and group 2 performed only complex exercises. Both groups performed a 40 minute compound exercise program three times a week. Navicular drop test, plantar pressure test, and lower extremity alignment test were performed equally in both group. Results :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change in navicular height within the group according to the intervention, both group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fore and after the exercise (p>.05).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in the navicular height (p>.05). Comparing the change in plantar pressure within groups,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ange in plantar pressure in both groups (p>.05). Coparing the difference before and after exercise between groups, there was not significant plantar pressure (p>.05). Comparing the change in leg alignment within the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ange in ankle before and after exercise in group 1 (p<.05), but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in group 2.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in pelvic tilt and knee tilt before and after exercise in both groups (p>.05). Comparing the before and after exercise difference between groups, there were not significant in all variables of leg alignment (p>.05).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complex exercise applied to patients with flat foot were effective in increasing the height of the navicular bone and ankle angle, but there was no effect due to visual feedback.

고관절 인공치환술 환자에서 금속 인공물 감소 방법의 비교: 가상 단일에너지영상 대 금속 인공물 감소기법 (Comparison of Metal Artifact Reduction Algorithms in Patients with Hip Prostheses: Virtual Monoenergetic Images vs. Orthopedic Metal Artifact Reduction)

  • 류혜진;홍성환;최자영;채희동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3권6호
    • /
    • pp.1286-1297
    • /
    • 2022
  • 목적 고관절 인공치환물을 가진 환자에서 여러 가지 금속인공물 감소 효과를 비교하였다. 대상과 방법 이 연구는 고관절 인공치환술과 이중에너지 전산화단층촬영을 시행한 47명 환자에서 시행하였다. 금속에서 발생한 인공물 감소효과는 서로 다른 3개의 영상(고식적 영상, 금속인공물 감소영상, 가상 단일에너지 영상)에서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인공관절 주변 7곳에서 금속인공물에 대한 정량적 분석과 정성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금속인공물 감소영상에서 가장 낮은 영상잡음과 인공물 지수를 보였고, 다음으로는 가상 단일에너지 영상이었다. 금속인공물 감소영상은 저음영 인공물이 매우 심한 영역에서만 높은 대조도를 보인 반면, 가상 단일에너지 영상은 인공물 주변 골조직과 그 외 영역에서 높은 대조도를 보였다. 연부조직 분석에서도 금속인공물 감소영상이 더 우수함을 보여 주었다. 정성적 분석에서도 금속인공물 감소영상이 가상 단일에너지 영상보다 인공물 감소 효과가 뛰어남을 밝혔지만, 이차적인 인공물 발생도 가장 흔히 발생하였다. 결론 금속인공물 감소영상이 심한 금속인공물감소에 가장 뛰어난 효과를 보였지만 새로운 이차적 인공물을 발생시켰다. 가상 단일에너지 영상은 인공물 주변 골조직 평가에서 우수함을 보였다.

골반부 방사선 치료를 받은 자궁경부암 환자의 골밀도 변화와 관련 인자 분석 (Analysis of Bone Mineral Density and Related Factors after Pelvic Radiotherapy in Patients with Cervical Cancer)

  • 이순신;정태식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7권1호
    • /
    • pp.15-22
    • /
    • 2009
  • 목적: 골반부 방사선 치료를 받은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골밀도 검사 부위인 요추부위와 대퇴골 경부에서 방사선 치료 범위에 인접한 부위와 원격 부위의 골밀도 양상 및 골밀도 관련 인자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방사선 종양학과에서 골반부 방사선 치료를 받고 외래에서 추적 관찰하면서 2002년 11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골밀도 검사를 받은 자궁경부암 환자중 96명을 대상으로 제 1 요추부위, 제 4 요추부위와 대퇴골 경부 전체 부위에서 T-score와 Z-score를 조사하여 각 평균치가 각 부위별로 유의하게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환자군의 특성과 관련하여 연령, 체중, 체질량 지수(BMI), 방사선 치료 종료 후 골밀도 검사일까지의 경과 기간, 자궁강내 근접치료(ICR) 추가 유무, 여성 호르몬 치료(HRT) 여부에 따른 T-score와의 관계를 각 부위별로 분석하였다. 결과: 전체 연령대의 각 부위별 T-score의 평균치는 제 1 요추부위가 -1.94, 제 4 요추부위가 -0.42, 대퇴골 경부 전체가 -0.53이었고 각 부위별 Z-score의 평균치는 제 1 요추부위가 -1.11, 제 4 요추부위가 -0.40, 대퇴골 경부 전체가 -0.48이었다. 제 4 요추부위 및 대퇴골 경부의 T-score와 Z-score는 제 1 요추부위와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p<0.05), 제4요추부위와 대퇴골 경부사이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60세 미만의 연령군에서도 같은 결과를 보였다. 각 부위별 T-score 모두에서 연령, ICR 여부 변수에 대해서 유의한 음의 상관 관계를 보였고(p<0.05), 체중, HRT 여부 변수에 대해서는 유의한 양의 상관 관계를 보였다(p<0.05). 체질량 지수에 대해서는 제 4 요추부위와 대퇴골 경부의 T-score와 유의한 양의 상관 관계를 보였다(p<0.05). 각 변수들이 각 부위별 T-score에 미치는 고유한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한 다중 회귀 분석에서 연령은 제 1 요추부위와 대퇴골 경부의 T-score와 유의한 음의 연관을 보였으나(p<0.05) 제 4 요추부위와는 유의한 연관이 없었다. 체중은 각 부위 모두에서 T-score와 유의한 양의 연관을 보였다(p<0.05). ICR 여부 변수는 제 1 요추부위의 T-score와만 유의한 음의 연관을 보였다(p<0.05). HRT 여부 변수는 제 4 요추부위와 대퇴골 경부의 T-score와 유의한 양의 연관을 보였다(p<0.05). 결론: 본 연구에서는 제 4 요추부위와 대퇴골 경부의 T-score와 Z-score가 제 1 요추부위의 값보다 유의하게 높은 결과를 보였는데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일부 연구와는 다른 결과였다. 각 부위 간의 의미있는 차이에 대해서 노화나 다른 요인의 영향을 고려해 볼 수 있으며 방사선 치료 범위에 인접하거나 포함된 부위에서 더 높은 T-score와 Z-score를 보인 점에서 그 중 방사선의 영향도 부분적으로 작용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방사선 치료 환자군의 골밀도 특성의 임상적인 의미에 대한 장기간의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이에 따라서 방사선 치료 환자에서 골밀도 검사에 의한 골다공증의 진단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백혈병 환자의 과립구 육종(녹색종양) (Granulocytic Sarcoma(Chloroma) in Leukemic Patients)

  • 이승구;강용구;박원종;정양국;이상욱;정지호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54-61
    • /
    • 2005
  • 목적: 백혈병 환자의 사지와 척추 등에 발생하는 과립구 육종(녹색종)은 매우 드물고 그 치료나 예후도 확립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과립구 육종 20 예를 대상으로 그 발병기전, 임상적 경과와 치료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4월부터 2004년 9월까지 본 대학 혈액 종양 센터 및 정형외과학교실에서 치료한 총 2,197명의 백혈병 환자 중 척추 및 사지에 이환되었던 과립구 육종 20명(0.91%)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고, 1-78개월(평균18개월)간 추적관찰하였다. 결과: 과립구 육종의 발생 빈도는 1998년 4월부터 2004년 9월 까지 6년 5개월 간 본 대학 혈액 종양 센터에서 가료한 급성 골수성 환자 1,331명중 15례, 만성 골수성 환자 744명중 4례, 혼합형 급성 백혈병 환자 122명중 1례가 발생하여 전체 백혈병에서의 발생율은 2,197명 중 20명이 발생하여 0.91%의 빈도를 보였다. 평균 연령은 28.3세(4~52)였고, 남자 13명, 여자 7명이었다. 단발성 병변은 11례, 다발성 병변은 9례였으며, 병변은 척추 12례, 뇌실질 5례, 사지 6례, 흉부 2례, 골반부 2례, 두개골 및 안구에 각각 1례씩 발생되었다. 과립구 육종은 급성 골수성 백혈병(acute myelogenous leukemia, AML)환자 15명, 만성 골수성 백혈병(chronic myelogenous leukemia, CML) 환자 4례에서 그리고 혼합형 급성 백혈병(acute biphenotype leukemia) 환자 1례 등 총 20명 환자에서 발생하였다. 백혈병의 치료 과정중 과립구 육종의 발병 시기별로는 완전 관해 되었을 때 발병한 것이 8례, 특히 이중에서 4례는 만성 골수성 백혈병이 급성 백혈병으로 재발 악화 되면서 육종이 발병하였고, 나머지 12례는 급성 골수성 백혈병 환자의 치료 과정 중 과립구성 육종이 병발하였다. 6례에서의 조직 검사상 미성숙한 골수모세포와 림파구 등이 혼재된 전형적인 과립구 육종을 확진하였고, 과립구 육종의 치료는 전예를 백혈병의 재발 또는 진행과정에 따라 글리벡 및 스테로이드를 이용한 백혈병 자체에 대한 항암치료만을 시행하였고, 6예에서는 항암치료와 함께 과립구 육종에 대한 국소 또는 전신 방사선 치료를 병합하였다. 평균 18개월의 추시 기간 중 만성 골수성 환자의 경우는 4명 모두 사망하였고, 전체 환자는 모두12명(12/20: 60%)이 과립구성 육종의 발병이후 6.5 개월 만에 사망하였으며, 연령과 예후는 고령 발생시 더욱 불량하였다. 결론: 백혈병 환자에서 발생한 척추 및 사지의 과립구 육종의 예후는 불량하였고, 특히 만성 골수성 환자에서 발생시 예후가 더욱 불량하였으나, 급성 골수성 환자의 경우는 반드시 불량한 예후를 보이는 것은 아니여서, 백혈병 자체에 대한 적극적인 항암 치료와, 사지 과립구 육종에 대한 방사선 치료의 병합 요법이 필요하였다.

  • PDF

개방성 경골 골절의 치료에서 유리 복직근 피판술의 유용성 (Free Rectus Abdominis Muscle Flap for Treatment of Open Fractures of the Tibia)

  • 송주현;이한용;이은상;이주엽
    • Archives of Reconstructive Microsurgery
    • /
    • 제15권2호
    • /
    • pp.58-64
    • /
    • 2006
  • Purpose: Management of soft-tissue defect after open tibial fractures includes immediate and repeated debridement, skeletal stabilization, and early soft-tissue coverage with muscle flap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outcome of the free rectus abdominis muscle flap (RA flap) for treatment of open fractures of the tibia and to discuss its advantages compared with the latissimus dorsi muscle flap (LD flap) in poly trauma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review of 5 patients who had a severe (Gustilo IIIb or IIIc) open fracture of the tibia treated with RA flap from May 2003 to March 2006. All were men, and the mean age was 46.6 years (range, $28{\sim}68$). Three patients had combined injuries such as pelvic bone fractures, multiple rib fractures with hemothorax, and contralateral tibial fracture. All patients received RA flap within 7 days after trauma except two with established chronic osteomyelitis. Results: All flaps survived, and there was no marginal flap necrosis. During the follow-up period, there was no evidence of persistent or recurrent osteomyelitis. The size of RA flap ranged from $8{\sim}20\;cm$ in length and $6{\sim}10\;cm$ in width. The average time required for RA flap elevation was 32 minutes, which is shorter than LD flap. Flap elevation could be done in supine position which is essential in poly trauma patients. Conclusion: Although a wide variety of options are available, RA flap is regarded as an optimal method for coverage of soft-tissue defect of the open tibial fracture in poly trauma patients. LD flap is reserved for large sized soft-tissue defect which cannot be covered by RA flap.

  • PDF

둔좌상에 의한 흉부손상의 임상적 관찰 (Chest Injuries due to Blunt Chest Trauma)

  • 진재권;박주철;유세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2권4호
    • /
    • pp.418-423
    • /
    • 1979
  • Chest injuries due to blunt trauma often result in severe derangements that lead to death. And we have to diagnose and treat the patients who have blunt chest trauma immediately and appropriately. A clinical analysis was made on 324 cases of chest injury due to blunt trauma experienced at department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College of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during 8-year period from 1972 to 1979. Of 324 patients of blunt chest injuries, there were 189 cases of rib fracture, 121 of hemothorax or/and pneumothorax, 108 of soft tissue injury of the chest wall only, 41 of lung contusion, 24 of flail chest, 13 of scapular fracture, 7 of diaphragmatic rupture and others. The majority of blunt chest injury patients were traffic accident victims and falls accounted for the next largest group of accidents. Chest injuries were frequently encountered in the age group between 3rd decade and 4th decade [60%] and 238 patients were male comparing to 86 of female [Male: Female = 3:1 ]. In the patients who have the more number of fractured ribs, the more incidence of intrathoracic injury and intraabdominal organ damage were found. The principal associated injuries were head injury on 58 cases, long bone fractures on 37, skull fractures on 12, pelvic fractures on 10, renal injuries on 6 and intraabdominal organ injuries on 5 patients. The principle of early treatment of chest injury due to blunt trauma were rapid reexpansion of the lung by closed thoracotomy which was indicated on 96 cases, but open thoractomy was necessary on 14 cases because massive bleeding, intrapleural hematoma and/or fibrothorax, or diaphragmatic laceration-On 15 cases who were young and have multiple rib fracture with severe dislocation delayed elective open reduction of the fractured ribs with wire was done on the purpose of preserving normal active life. The over all mortality was 2.8% [9 of 324 cases] due to head injury on 3 cases, massive bleeding on 2,wet lung syndrome, acute renal failure on 1 and septicemia on 1 patient.

  • PDF

Internal Iliac Artery Ligation with Pad Packing for Hemodynamic Unstable Open Comminuted Sacral Fracture

  • Kim, Sung Kyu;Park, Yun Chul;Jo, Young Goun;Kang, Wu Seong;Kim, Jung Chul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30권4호
    • /
    • pp.238-241
    • /
    • 2017
  • A 52-year-old man experienced blunt trauma upon falling from a height of 40 m while trying to repair the elevator. The patient's systolic blood pressure and hemoglobin levels were 60 mmHg and 7.0 g/dL, respectively, upon admission. A large volume of bloody discharge was observed in the open wound of the perianal area and sacrum. A computed tomography scan revealed an open comminuted sacral fracture with multiple contrast blushes. He underwent emergency laparotomy. Both internal iliac artery ligations were performed to control bleeding from the pelvis. Protective sigmoid loop colostomy was performed because of massive injury to the anal sphincters and pelvis. Pad packing was performed for a sacral open wound and perineal wound at the prone position. After resuscitation of massive transfusion, he underwent the second operation 2 days after the first operation. The pad was removed and the perineal and sacral open wounds were closed. After the damage-control surgery, he recovered safely. In this case, the hemodynamically unstable, open comminuted sacral fracture was treated safely by internal iliac artery ligation with pad packing.

가시납지리 (Acanthorhodeus gracilis)의 골격학적 연구(硏究) (Study on Osteological Characteristics of Acanthorhodeus gracilis)

  • 김익수;김인자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231-240
    • /
    • 1998
  • 납자루아과(亞科)에 속하는 가시납지리(Acanthorhodeus gracilis)의 두골(頭骨), 척주(脊柱), 지느러미 골격을 조사하였다. 두개부(頭蓋部)에 천문이 없으며, 상사골(上篩骨)의 전단에 돌기가 없고, 안와설골(眼窩楔骨)은 2개로 되어 있다. 기저후두골(基底後頭骨) 돌기(突起)는 전반부에서부터 발달하였고, 상후두골(上後頭骨)은 높은 삼각형 형태의 돌기를 갖고 있으며, 미설골(尾舌骨)은 선단(先端)이 2분기(分技)되고 수평판(水平板)과 수직판(垂直板)의 후방(後方)이 넓어지며 후연(後緣)이 돌출되어 있다. 인두치(咽頭齒)는 1열로 인두치식(咽頭齒式)은 5 - 5이며 4개의 유리치(遊離齒)를 갖고 있다. 편대(扁帶)에는 오훼골(烏喙骨) 구멍이 없으며, 미골추체(尾骨推體)에는 미신경골(尾神經骨)이 나타나지 않고, 길고 가느다란 후요대돌기(後腰帶突起)를 갖는다. 유리신경간련(遊離神經間練)은 넓은 판상(板狀)이고, 신경간극(神經間棘)은 14~15개이며 제1~제4신경간극(神經間棘)은 하나의 기기골을 나머지는 두 개의 기기골을 기부(基部)에 갖고 있고, 혈관간극(血管間棘)은 11~12개이며 제1~제 4혈관간극(血管間棘)은 하나의 기기골을 나머지는 두 개의 기기골을 갖고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