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lagic sediments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3초

Slope Sedimentation and Organic Carbon Content in the Late Quaternary West Florida Slope Sediments

  • Lee, Eun-Il;Park, Soo-Chu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제34권3호
    • /
    • pp.144-150
    • /
    • 1999
  • Slope sedimentation on the modern west Florida continental margin is controlled by pelagic carbonate accumulation and off-shelf sedimentation of neritic carbonates and terrigenous fines. Production and deposition of pelagic carbonates by planktonic foraminifera and coccoliths have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total slope sedimentation and are mainly promoted by sea-surface productivity. Organic carbon data reflect the relatively high biological productivity in surface waters, indicating high accumulation of biogenic calcareous sediments. The surface-water productivity in the study area is supported by the relation among microfossil assemblages, carbonate mineralogy and sedimentary organic carbon.

  • PDF

동해 한국대지 및 울릉 분지간통로의 제4기 후기 해저퇴적작용 (Late Quaternary Depositional Processes in the Korea Plateau and Ulleung Interplain Gap, East Sea)

  • 윤석훈;박장준;한상준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8권2호
    • /
    • pp.187-198
    • /
    • 2003
  • 한국대지와 인근 울릉 분지간통로에 분포하는 플라이스토세 후기 퇴적층에 대한 Chirp 방식 고해상 지층탐사 자료의 탄성파상과 피스톤 코아 시료의 퇴적상 분석을 통하여 해저 퇴적작용을 규명하였다. 한국대지는 한반도와 분리된 해저고지대로서 육성 퇴적물 유입이 매우 제한되어 있으며, 한국대지 사면에는 불규칙한 돌출지형과 함께 다양한 규모의 해저협곡이나 해저계곡이 형성되어 있다 완경사의 한국대지 대부분 지역에는 화산기원 퇴적물이 협재 하는 (반)원양성 퇴적물이 우세하게 집적되어 있으며, 한국대지 사면과 해릉 및 해산의 급경사 부분에서는 이들 퇴적물이 슬럼프, 슬라이드, 암설류 등 해저사태에 기인한 질량류로 재동되어 함몰흔적과 함께 나타난다. 재동된 퇴적물은 점토가 우세한 조직 특성과 사면의 급경사 때문에 저탁류보다는 부유입자가 우세한 고농도 수층의 형태로 전이되어 해저협곡을 통해 울릉분지평원으로 이동된 것으로 보인다. 울릉분지간통로 지역은 통상적인 (반)원양성 침전과 주로 오키뱅크와 독도 사면에서 해저수로를 통해 유입되는 간헐적인 저탁류와 암설류가 주된 퇴적작용의 역할을 하였으며, 이와 함께 일본분지로부터 유입되는 심층수의 영향으로 분지간수로와 그 주변 해저에 분포하는 퇴적물이 활발히 침식되어 재동된 것으로 보인다.

한반도 신생대 후기 현무암의 근원 맨틀 암상과 두 종류의 부화 맨틀 (Mantle Source Lithologies of Late Cenozoic Basaltic Rocks and Two Varieties of Enriched Mantle in the Korean Peninsula)

  • 최성희
    • 광물과 암석
    • /
    • 제35권3호
    • /
    • pp.183-197
    • /
    • 2022
  • 한반도의 판 내부 기원 신생대 후기 현무암류(백두산, 전곡, 백령도, 평택, 아산, 간성, 울릉도, 독도, 제주도 등)에 대해 그 동안에 보고된 Sr-Nd-Pb-Mg-Zn 동위원소를 포함한 지구화학 자료를 종합정리하고, 그 근원 맨틀 속에 포함된 암상을 파악한 후 필요한 맨틀 단성분의 종류와 그 성인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Sr-Nd 동위원소 상관도에서 제주도는 EM2형 해양도 현무암의 영역에 도시되는 반면 다른 지역 현무암류는 EM1형 해양도 현무암의 영역에 도시된다. Pb-Pb 동위원소 상관도에서 제주도는 인도양 중앙해령 현무암과 EM2 단성분 간의 혼합 배열을 보이는 반면, 다른 지역 현무암류는 인도양 중앙해령 현무암과 EM1 단성분 간의 혼합 배열을 보인다. 한반도 현무암류는 석류석 러어조라이트와 함께 과거에 섭입하여 맨틀 전이대에 정치하고 있는 해양판 물질(에클로자이트/휘석암, 원양 퇴적물, 탄산염)이 혼합된 맨틀에서 유래되었다. EM1형 단성분의 역할을 하는 물질은 오래전(~2.0 Ga)에 섭입되어 중성 부력으로 맨틀 전이대에 정치되어 있는 (함)K-Hollandite 원양 퇴적물로 추정된다. EM2 단성분은 맨틀 속에 섭입된 후 빠른 시간 안에 재활성된 상대적으로 젊은(아마도 태평양판의) 원양 점토 퇴적물일 가능성이 높다. 에클로자이트와 탄산염은 EM 구성요소는 아니나 한반도 현무암의 근원 맨틀 속에 공통 인자로 포함되어 있다.

Long-term Prediction of Water Quality in Osaka Bay

  • Han, Dong-Jin;Yoon, Jong-Sung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3권11호
    • /
    • pp.993-1000
    • /
    • 2004
  • As an effort to clarify the ecosystem of Osaka Bay, a semi-enclosed coastal area under the influence of stratification, a three-dimensional water quality model with combination of the baroclinic flow model and primitive eco-system model was constructed. The proposed model succeeded in simulating the time-depending flow and density structure and the baroclinic residual currents in Osaka Bay. In present study, we tried to improve the model by taking account of the benthic-pelagic interaction and exchange of nutrients between sea bottom sediments and overlaying water. On vertical structure, the model consists of 13 layers of water and eight layers of sediments. Long-term prediction of water quality was conducted from 1964 to 1985. This period is characterized by rapid water pollution and its decrease by the cutoff reduction of COD and P flowed into Osaka Bay. By combining the sediment model into original model, the numerical model was confirmed to shows more reasonable results in simulating the water quality in Osaka Bay.

북동 적도태평양해역 퇴적물의 탄소 및 질소함량 분포특성 (Distribution Patterns of Carbon and Nitrogen Contents in the Sediments of the Northeast Equatorial Pacific Ocean)

  • 김경홍;현정호;손주원;손승규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3권3호
    • /
    • pp.210-221
    • /
    • 2008
  • 저층 퇴적물내 탄소와 질소성분의 조절인자를 파악하기 위한 광역적 환경조사가 1997년부터 2002년까지 서경 131.5도를 중심으로 북위 5도에서 17도 사이에서 수행되었다. 위도에 따라 지역적인 분포를 보이는 연구지역의 퇴적물은 네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석회질 연니($5{\sim}6^{\circ}N$), 규질 퇴적물($8{\sim}12^{\circ}N$), 원양성 적점토($16{\sim}17^{\circ}N$), 석회질과 규질이 섞여 있는 혼합 퇴적물($7^{\circ}N$). 무기탄소함량은 탄산염보상심도(CCD)와 수심에 의해 변하고 있었다. 수심이 CCD보다 얕은 저위도 지역에서는 석회질 물질이 잘 보존되고 있었다. 반면 규질 퇴적물과 적점토가 우세한 고위도 지역은 수심이 CCD보다 깊을 뿐만이 아니라 낮은 수층 생산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석회질 물질들은 용해되고 그 결과 퇴적층내 무기탄소함량은 0.05%이하의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유기탄소와 총질소함량은 수층의 생산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규질 퇴적물지역이 적점토지역보다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석회질 연니내 유기탄소와 총질소 함량은 규질 퇴적물보다 낮게 나타났다. 이는 상대적으로 낮은 수심에 기인된 저층으로 유입되는 석회질 물질의 높은 유입율이 퇴적층내 유기물 함량을 희석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전체적인 결과들은 CCD와 연관된 수심, 수층의 생산력, 그리고 퇴적율이 연구지역내 탄소와 질소함량의 광역적 분포를 조절하고 있음을 지시한다.

Application of Sediment Physical Properties to Paleoclimatic Interpretation: Preliminary Results in the Ulleung Basin, the East Sea

  • Kim, Gil-Young;Kim, Dae-Choul;Keene, Jock;Kim, Jeong-Cha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제34권4호
    • /
    • pp.207-213
    • /
    • 1999
  • Sediment physical properties (compressional wave velocity, grain density, dry bulk density, and wet bulk density) are correlated to the paleoenvironmental parameters (coarse fraction, oxygen isotope, and planktonic foraminifera fragmentation) to reveal the possible interrelationship in the latest Quaternary sediments of the Ulleung Basin, the East Sea of Korea. Laboratory determinations of physical properties and paleoenvironmental parameters have been conducted on four piston core sediments. There are slight differences in the physical properties between glacial and interglacial period sediment sections. This is due to the large fraction of coarse grains of volcanic and terrigenous sediments relative to carbonate sediments. However, dry bulk density as an indicator of carbonate abundance in pelagic environment shows higher values at the lower part of cores, reflecting deeper CCD in the glacial period. Changes in velocity also relatively parallel to those in sediment coarse fraction, number of planktonic foraminifera, and wet bulk density. Therefore, we suggest that high-resolution physical properties may be used as a valuable tool for paleoenvironmental interpretation in the Ulleung Basin.

  • PDF

울릉분지의 고환경과 화산활동 특성에 관한 연구 : 퇴적환경 (Paleoenvironments and Volcanism of the Ulleung Basin : Sedimentary Environment)

  • 박맹언;이광훈;송용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81-496
    • /
    • 1996
  • The last Sea is a typical bark-arc basin consisting of basins, plateaus, ridges, and seamounts. The Ulleng Basin, located in the southwestern corner of the last Sea, contains thick Neogene sedimentary sequence. Analysis of over 2,500 km of single-channel seismic reflection data suggests that hemipelagic sedimentation prevailed over much of the basin during the late Miocene and pelagic sedimentation became more dominant during the Pliocene. During the Pleistocene terrigeneous sediments transported by turbidity currents and other gravity flows, together with continuous hemipelagic settling, resulted in well-stratified sedimentary layers. Influx of terrigenous sediments during the Pleistocene formed depocenters in the western and southern parts of the basins. In the Ulleung Interplain Gap, where the Ulleung Basin joins the deeper Japan Basin, sediment waves suggesting bottom current activities are seen.

  • PDF

울릉분지 남서부 해역의 천부퇴적물에 대한 층서$\cdot$퇴적학적 연구 (Stratigraphical and Sedimentological Studies on Core Sediments from the Southwestern Ulleung Basin, East Sea)

  • 박명호;류병재;김일수;정태진;이영주;유강민
    • 자원환경지질
    • /
    • 제35권2호
    • /
    • pp.171-177
    • /
    • 2002
  • 제4기 후기의 층서와 퇴적환경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울릉분지 남서부 해역에서 채취한 푸 개의 피스톤 코어 시료를 분석하였다. 코어는 이질 퇴적물이 주종을 이루었고 일부 사질 퇴적물 및 테프라층(tephra layer)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미 확인된 울릉분지의 테프라층을 이용하여 층서 대비를 한 결과, 코어는 약 46,100년의 층서 기록을 보이며, 마지막빙기 동안의 퇴적률(12.1~14.9 cm/kyr)은 대양보다 높은 편이었다. 동위원소층서 2 동안 퇴적된 시료구간에서는 저탁류의 영향을 받은 몇 종류의 퇴적상이 교호하여 나타난다. 코어 00GHP-07의 하부구간에서는 가스 방출에 의하여 형성된 것으로 보이는 수평균열 구조가 관찰된다. 시료의 총유기탄소(TOC) 함량은 전체적으로 매우 높다(평균1.8%). 특히 총유기탄소의 값은 Termination I 동안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는데, 이것은 이 기긴 동안 남서부 울릉분지가 산소가 다소 결핍한 환경으로 전이하였음을 의미한다.

북동태평양 원양성 적점토의 지질공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Geotechnical Properties of Pelagic Red Clay in Northeast Equatorial Pacific)

  • 지상범;이현복;형기성;주세종;이근창;함동진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3권3호
    • /
    • pp.286-294
    • /
    • 2008
  • 북동태평양 클라리온-클리퍼톤 균열대(Clarion-Clipperton Fracture Zone, C-C지역) 사이의 북쪽지역에 위치한 연구지역 원양성 적점토 표층퇴적물의 특성파악을 위해 기계적 교란이 적은 다중주상시료채취기로 24개 정점에서 시료를 채취하였다. 채집된 퇴적물 시료의 입도, 함수율, 밀도, 공극률 등 지표 특성과 전단강도, 컨시스턴시 한계 등의 지질공학적 특성 그리고 생물기원 오팔함량 및 광물조성을 분석하였다. 원양성 적점토가 분포하는 광범위한 연구지역($15^{\circ}45'{\sim}16^{\circ}55'N,\;125^{\circ}20'{\sim}134^{\circ}10'W$) 퇴적물의 지표 특성 및 광물학적 특성은 동일 경도 상에서 동측지역과 서측지역 사이의 큰 거리차이에도 불구하고 매우 균일한 특성을 보인다. 단지 표층퇴적물의 전단강도는 KR1 지역에 비해 KR2지역이 고화된 특성을 보이는데, 이것은 KR2 지역에서 나타나는 하부 Unit 3의 영향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서태평양 심해 원양성 퇴적물의 탄산염 함량 변화 (Variation Calcium Carbonate Content in Deep-Sea Pelagic Sediments of the Western Pacific Ocean)

  • 김부근;김여훈;김형직;형기성;유찬민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2권1호
    • /
    • pp.15-22
    • /
    • 2010
  • Calcium carbonate ($CaCO_3$) content was measured from 3 box core (BC060301, BC060303, BC070301) sediments, in addition to pilot core (PC313) sediments, from deep waters within the Western Pacific Ocean. At the two collection sites (BC060301, PC313) located close to the equator, downcore variation exhibited low $CaCO_3$ content during the interglacial period and high $CaCO_3$ content during the glacial period. Variation of coarse fraction (>$63\;{\mu}m$) content also followed changes in $CaCO_3$ content, indicating that dissolution effect of bottom water decreased during the glacial period. Such variation pattern is typical of the Pacific Ocean. However, downcore variation at the two collection sites (BC060303, BC070301) in the Philippine Sea contrasted the trend of the previous two cores (i.e., high $CaCO_3$ content during the interglacial period and low during the glacial period). This pattern is typical of the Atlantic Ocean. Such results may be attributed to the increasing dilution effect, initiated possibly by the increased transportation of terrigenous materials from nearby continent and archipelago during the glacial period when sea level was low. Alternatively, it is possible that the non-carbonate biogenic particles may have been responsible for dilution. Because of these uncertainties, the record of $CaCO_3$ variation in the deep Western Pacific Ocean is not regionally consis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