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g3

검색결과 707건 처리시간 0.034초

습도조건에 따른 PEG 처리 수침고목재의 PEG 용출량 및 압축강도 변화 (Changes in the Amount of PEG Free-Flowing Back from PEG-Treated Waterlogged Archaeological Wood and the Compressive Strength According to Relative Humidity Conditions)

  • 조아현;이광희;최태호;고인희;서정욱
    • 보존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25-235
    • /
    • 2020
  • 본 연구는 PEG 함침처리한 수침고목재를 대상으로 고습도(RH 90%)에서 저습도(RH 30%)로 습도변화를 주면서 목재 내부에 있는 PEG 및 약제 용출량과 압축강도 특성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고습도에서 저습도로의 변화는 3회 실시하였다. 시험에 사용된 수침목재는 졸참나무류(Prinus group)이며, 함침 및 건조 방법은 1) PEG 완료농도 80% 및 자연건조(이하 PEG80), 2) PEG 완료농도 40% 및 진공동결건조(이하 PEG40), 그리고 3) t-butanol을 이용한 PEG 완료농도 40% 및 진공동결건조(이하 TB40) 이다. 목재 내부에 있는 PEG는 3차 습도변화 이후에 대부분 용출되어 제거되었으며, 내강 벽면에 남은 PEG의 결정이 편평하게 고착되었다. 약제의 용출량은 대부분의 경우 습도변화 횟수가 증가할수록 그 양이 증가하였다. 습도조건에 따른 압축강도의 변화는 PEG80과 TB40의 경우 습도변화 횟수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나, PEG40은 감소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PEG 처리된 수침고목재 보존을 위한 습도조건에 대한 계획 마련에 필요한 기초자료가 마련되었다.

Surface Modification of Polyurethane Using Sulfonated PEG Grafted Polyrotaxane for Improved Biocompatibility

  • Park Hyung Dal;Bae Jin Woo;Park Ki Dong;Ooya Tooru;Yui Nobuhiko;Jang Jun-Hyeog;Han Dong Keun;Shin Jung-Woog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4권1호
    • /
    • pp.73-80
    • /
    • 2006
  • Sulfonated poly(ethylene glycol) (PEG-$SO_{3}$) grafted polyrotaxanes (PRx-PEG-$SO_{3}$) were prepared in order to utilize the unique properties of PEG-$SO_{3}$ and the supramolecular structure of PRx, in which PEG-$SO_{3}$ grafted $\alpha$-cyclodextrins ($\alpha$-CDs) were threaded onto PEG segments in a PEG-b-poly(propylene glycol) (PPG)-b-PEG triblock copolymer (Pluronic) chain capped with bulky end groups. Some of the PRx-PEG-$SO_{3}$ demonstrated a higher anticoagulant activity in case of PRx-PEG-$SO_{3}$ (P 105), and compared with the control they showed a lower fibrinogen adsorption in PRx-PEG-$SO_{3}$ (F68) and a higher binding affinity with fibroblast growth factor. The obtained results suggested that polyrotaxane incorporated with PEG-$SO_{3}$ may be applicable to the surface modification of clinically used polymers, especially for blood/cell compatible medical devices.

Regulation and Function of the Peg3 Imprinted Domain

  • He, Hongzhi;Kim, Joomyeong
    • Genomics & Informatics
    • /
    • 제12권3호
    • /
    • pp.105-113
    • /
    • 2014
  • A subset of mammalian genes differ functionally between two alleles due to genomic imprinting, and seven such genes (Peg3, Usp29, APeg3, Zfp264, Zim1, Zim2, Zim3) are localized within the 500-kb genomic interval of the human and mouse genomes, constituting the Peg3 imprinted domain. This Peg3 domain shares several features with the other imprinted domains, including an evolutionarily conserved domain structure, along with transcriptional co-regulation through shared cis regulatory elements, as well as functional roles in controlling fetal growth rates and maternal-caring behaviors. The Peg3 domain also displays some unique features, including YY1-mediated regulation of transcription and imprinting; conversion and adaptation of several protein-coding members as ncRNA genes during evolution; and its close connection to human cancers through the potential tumor suppressor functions of Peg3 and Usp29. In this review, we summarize and discuss these features of the Peg3 domain.

금속가공유용 수용성 폴리에스테르의 합성 및 용액특성(II) (Synthesis and Solution Properties of Water Soluble Polyester for Metal-Working Fluids (II))

  • 윤유정;김영운;정근우;황도혁
    • 공업화학
    • /
    • 제16권6호
    • /
    • pp.834-841
    • /
    • 2005
  • 아디픽산 및 세바식산의 이염기산을 폴리에틸렌글리콜(PEG)과 축합 반응하여 여러종류의 PEG-ester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PEG-ester의 화학적 구조 및 분자량을 FT-IR, $^1H-NMR$, HPLC 및 GPC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임계미셀농도(CMC), 표면장력, 알루미늄판에 대한 접촉각 등을 통하여 수용액상에서 계면활성제의 역할을 함을 알 수 있었다. PEG-ester의 농도에 따라 표면장력은 72.5에서 45~50 dyne/cm로 감소함을 알 수 있었고, 세바식산을 사용하여 합성한 PEG-ester가 아디픽산을 사용하여 합성한 PEG-ester보다 같은 농도에서 낮은 표면장력을 나타내었다. CMC는 구조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었는데 세바식산을 함유한 PEG-ester의 CMC는 $0.9{\times}10^{-5}{\sim}5.3{\times}10^{-3}mol/L$로 폴리옥시알킬렌 단위체가 길어질수록 증가하였으며 아디픽산을 함유한 PEG-ester의 경우, 변곡점을 뚜렷하게 관찰할 수가 없었다. 알루미늄에 대한 젖음성을 알루미늄 시편에 대한 접촉각을 측정하여 검토하였는 바, PEG-ester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작아짐을 알 수 있었고 임계점을 관찰할 수가 있었다. 2.5 wt% PEG-ester를 함유한 수용액의 알루미늄에 대한 접촉각은 $45{\sim}53^{\circ}$이었으며 알루미늄 가공 절삭시간은 CMC를 나타내는 농도에서 가장 짧게 관찰되었으며 CMC 농도보다 큰 농도에서 길게 나타났다. 즉, 알루미늄을 가공할 때 PEG-ester의 CMC가 절삭성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재활용 PEG를 이용한 수침 고버드나무의 치수안정화 연구 (A Study on the Dimensional Stability of Archaeological Waterlogged Salix koreensis Andersson Treated with Recycled PEG)

  • 양석진;이수;김종화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635-641
    • /
    • 2014
  • 수침고목재는 보존을 위해 치수안정화의 공정이 필요하다. PEG는 목재의 치수안정화에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된다. PEG 40% 함침 후 동결건조 하는 방법은 간단하고 일반적인 방법중 하나이다. 그러나 PEG처리 후 폐액은 목재로부터 침출된 유기물에 의해서 검게 변하고 악취가 발생하기 때문에 재활용되지 못하고 폐기되었다. 폐액은 과산화수소의 산화작용에 의해 폐액의 검은색은 제거 가능하다. PEG는 보존처리 전, 후와 과산화수소의 산화작용 후에도 그 물성이 변하지 않아 재활용이 가능하다. 과산화수소에 의해 재활용된 PEG를 이용하여 수침고목재의 치수안정화에 대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치수안정화에 사용된 용액의 PEG와 재활용 PEG의 비율을 10:0, 7:3, 5:5, 3:7, 0:10 (pure PEG : 재활용 PEG)으로 하였다. 그리고 수침고목재를 용액의 농도 10, 20, 30, 40%로 각각 5일간 함침하였다. 모든 시험편은 25%의 중량 증가율을 보였으며, SEM을 이용하여 목재 내부 세포를 관찰한 결과 PEG의 함침은 매우 잘된 것으로 판단된다. 치수변화율은 4%이하로 모든 시료 동일하게 안정된 수치를 나타내어 재활용 PEG를 사용하여 보존처리하는 것은 새 PEG를 사용하는 것과 다르지 않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PEG 분해균주의 분리, 동정 및 PEG Film 상용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PEG-Degradable Strains and Physical Chracteristics of PEG-Films)

  • 이제혁;이준열;전억한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16-321
    • /
    • 1994
  • Several strains capable of degrading PEGs(Polyethylene Glycols) were isolated and investigated for their biodegradation ability of PEGs. Microorganisms screened for the biodegrada- tion studies were those grown on the PEG used as a sole carbon and energy source. It was known that the number of microorganisms decreased when grown on the high molecular weight of PEG. A biodegradation of PEG was investigated with such microorganisms in the reactor and resulted in the decrease in PEG concentration meaning that PEG was degraded in the reactor. This microorganism was identified as Flavobacterium sp. The biodegradability was found to be about 18.8% for PEG-8000 and 25.4% for PEG-10,000, respectively. For the manufacture of biodeg- radable PEG film, EMAA/PEG and EAA/PEG blending ability was investigated with IR spectrum and showed that it was possible to produce blending film.

  • PDF

Carboxymethyl cellulose/polyethylene glycol superabsorbent hydrogel cross-linked with citric acid

  • Lee, Deuk Yong;Chun, Cheolbyong;Son, Siwon;Kim, Yena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07-114
    • /
    • 2022
  • Carboxymethyl cellulose/poly(ethylene glycol) (CMC/PEG) hydrogels crosslinked with citric acid (CA) are synthesized to evaluate the effect of CMC molecular weight (Mw), PEG and CA concentration on the optical property, swelling rate (SR), degradation rate (DR), and cytotoxicity and cell proliferation of hydrogels. For crosslinked CMC/PEG hydrogels, the FT-IR peak intensity associated with hydroxyl groups decreases due to PEG intercalation (esterification crosslinking) between CMC chains in a similar manner as the concentration of CA crosslinker increases. Crosslinked CMC (Mw = 90,000)/PEG hydrogels with 10 % CA dissolve regardless of PEG content. However, the SR of the CMC (Mw = 250,000)/PEG hydrogels decrease from 4923 % to 168 % with increasing PEG and CA concentrations from 0 to 20 % and from 0 to 25 %, respectively. As the Mw of CMC increases, the DR of the hydrogel is greatly improved. CMC (Mw = 250,000)/PEG10 hydrogels with 10 % CA exhibit the optimum properties of high absorbing capacity (3,200 %) with moderate DR (54 %), stiffness (1.39 ± 0.19 GPa), and cell viability (94.8 ± 1.3 %). CA-crosslinked CMC/PEG hydrogels are highly suitable for wound dressing or personal care applications due to their non-toxicity, good cell proliferation, SR, and mechanical properties.

PEG 주입 침엽수 시편의 열처리 후 PEG 잔류량과 평형함수율 측정 (Measuring PEG Retentions and EMCs of PEG Impregnated Softwood Specimens after Heat-treatment)

  • 홍승현;김정호;임호묵;강호양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1권3호
    • /
    • pp.173-180
    • /
    • 2013
  • PEG 주입을 통해 열처리 중 목재의 균열을 방지하기 위한 연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본 연구가 수행되었다. 국내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침엽수 세 수종의 소시편을 이용하여 PEG 분자량에 따른 침투 속도와 잔류량, 열처리 후 잔류량, 평형함수율 등을 조사하였다. PEG400의 평균 잔류량은 수종별 기본밀도에 반비례하였으며 다른 분자량 PEG에서도 비슷한 경향을 나타냈다. 한 수종 내에서는 PEG 분자량이 클수록 잔류 PEG 양이 감소하는 경향이 뚜렷하다. PEG 주입에 의해 함수율이 2% 내에서 증가하거나 감소하였으며, 시편의 평균 기본밀도는 최고 16.8%까지 증가하였다. 열처리에 의한 중량감소율은 PEG400 시편이 PEG600, PEG1000 보다 컸다. 낮은 분자량의 PEG가 더 많이 용출되었다고 볼 수 있다. 평형함수율은 상대습도가 낮을 때(32%RH) 세 수종 모두 PEG 주입 시편과 무처리 시편의 차이가 없었으나, 상대습도가 증가할수록 PEG 주입 시편이 무처리 시편보다 높게 나타났다.

수침고목재의 처리조건에 따른 PEG 침투상태 (Penetration of PEG by Treatment Condition of Waterlogged Wood)

  • 이경철;이종신
    • 보존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43-247
    • /
    • 2013
  • 최대함수율 660%, 전건비중 0.15의 소나무를 대상으로 처리조건에 따른 PEG 침투상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PEG 용매, 함침농도, 함침기간, 함침온도에 따른 중량변화율을 구하고 SEM을 이용하여 목재 세포 내부의 PEG 침투상태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PEG의 침투에 용매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함침농도는 고농도에서 중량증가율이 높았고, 함침기간은 20일에서 가장 큰 중량증가율을 보였으며, 함침온도에 따른 차이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이를 토대로 PEG를 이용한 최대함수율 660%의 소형 수침고목재의 처리 시 20일 정도의 함침기간으로 충분한 PEG 침투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PEG 처리가 면질물의 방춘성 및 염색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olyethylene Glycol Treatment on the Wrinkle Resistance and the Dyeability of Cotton Fabrics)

  • 권영아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992-1001
    • /
    • 1996
  • The binding of polyethylene glycol (PEG, average molecular weight 600) to cotton fabrics was achieved by using pad-dry-cure process in the presence of citric acid, MgCl3·6H3O, DMDHEU, and TEAHCL. Treated fabrics were dyed with direct, acid, and basic dye. Wrinkle recovery angles, durable press rate, wettability, dyeability and color fastness to washing of all treated cottons were evalu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wrinkle resistance of the PEG treated cottons was increased by increasing PEG and DMDHEU concentration. 2. The wettability of the PEG treated cottons was decreased by increasing PEG and DMDHEU concentration, increased by increasing TEAHCL concentration. 3. PEG/DMDHEU/TEAHCL treated cottons had greater affinity on direct, acid, and basic dye than untreated cottons, and dyeability of the modified cottons was improved compare to untreated fabrics. 4. Color fastness to washing of the PEG/DMDHEU/TEAHCL treated cottons was good except for the wash fastness of the direct dy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