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er group

검색결과 582건 처리시간 0.035초

청소년의 약물남용과 문제행동 유형간의 관계 분석 -제주지역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Relationship between Drug Abuse and the Problem Behavior Patterns among Adolescents)

  • 김현숙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88-99
    • /
    • 199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ttempt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drug abuse and the other problem behavior Patterns among high school students in Cheju. In order to achieve these set-goals, questionaires were finally supplied to the total 379 case of 9 high school from October to December, 1990.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using the SPSS-X computer program and statistically analyzed by the Chi-square method and. percentag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Among the 370 adolescents, 32.4% of students experienced cigarette smoking in their life, adolescents who experienced alcohol drinking were 46.8%, 0.5% of the students ever used marihuana; cocaine 0.3%, stimulant 3.2%, hallucinogen and inhalants 0.5%, tranquilizer 1.4%, analgesics 31:6%, antitussives 6.5%, antihistamines 1.9%. And all students never experienced the amphetamines and narcotics. The rates of drug use except stimulant and antitussive were higher in the male than in the female students. For the analysis of personal identifying datum, the rates of experienced smokers increased among groups of buddhist and the rates of experienced alconoi drinking increased among groups of no religion. Drug abuser increased among the group lower socio-economic status student, the adolescents whose parents have traditional education point of view. And it was also higher in those who were living only one than in those who were living together. Most students tended to use drugs after 17 or 18 years old. Drug users were more inclined to commit other problem behaviors when compared non-drug users. In the conclusion of the above results, it will be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drug problem of adolescent. Drug abuse of students must be seen in an environmental context including family, school, peer group and society and not solely as the characteristics of an individual adolescent. And their parents and teachers must be on the alert for the behavior changes of their children such as changes of school performance, neglecting homework, tardiness or truancy from school, runaway from home, and mingled with bad companions, etc. We must recognize that drug abuse is frequently symptomatic of problems in the adolescent's environment.

  • PDF

사무직 직급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요인 (Comparison of Job Stressors between Managers and Employees in White-Collar Workers of an Electric Company)

  • 탁진국;홍현숙;이강숙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5권2호
    • /
    • pp.160-168
    • /
    • 2002
  • Objectives :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job stressors between managers and low level employees among white-collar workers. Another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he effects of job stressors on mental health differ between the two groups. Methods : Data was obtained from 204 managers and 258 low level employees who were employed in white-collar jobs. Fourteen job stressors and seven job stress variables were measured. Results : Among the 14 job stressors, role overload, job insecurity, and work-family conflict were higher job stressors for the manager group whereas role conflict, work-aptitude incongruity, participation in decision making, and promotion problems were higher job stressors for the low level of employee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job stress scores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job stressors on job stress were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For the manager group, job insecurity, work-aptitude incongruity, and work-family conflict significantly affected in explanation of job stress whereas for the low level employees, role underload, peer satisfaction, and environmental problems significantly explaining the job stress variables. Conclusions :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job stressors between managers and low level employees among white-collar workers. Additionally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job stressors on job stress between the two groups.

고등학교 남학생의 흡연 및 금연 경험 (The Experiences of Smoking and Non-smoking in Male Adolescents)

  • 김혜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489-500
    • /
    • 2019
  • 본 연구는 16명의 고등학교 남학생을 대상으로 흡연 및 금연에 대한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시행되었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한 후, 질적 주제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한 결과 6가지 주제를 도출하였다. '호기심에서 시작한 어른 놀이'는 참여자들의 첫 흡연 과정을 나타낸다. '흡연 초기 담배에 대한 거부감'은 기대와는 다른 첫 흡연 경험 후 참여자들의 심리적 변화를 말하며, '다시 시작된 흡연'은 또래 그룹과 어울리고, 담배의 맛을 시험하기 위해 재흡연을 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금연을 어렵게 하는 근묵자흑의 환경'은 담배에 쉽게 노출되는 청소년의 모습을 나타낸다. '금연과 흡연 사이의 갈등'은 참여자들의 반복되는 금연 시도 이유와 재흡연의 과정을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비흡연 청소년의 흡연하지 않는 이유'는 흡연 청소년과 비슷한 환경 속에서도 흡연을 하지 않는 특별한 이유를 설명하고 있다. 고등학교 남학생의 흡연 및 금연 경험은 여학생이나 어른들과는 다른 독특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고등학교 남학생의 흡연 예방 및 금연 교육을 기획하고 실행하여야 하며, 이는 궁극적으로 우리나라 남학생 청소년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직장여성의 발레피트니스 수업 경험에 대한 미적 가치 인식 연구 (A Study on the Aesthetic Value Recognition of Work Women's Ballet Fitness Class Experience)

  • 유은혜;조건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2호
    • /
    • pp.501-508
    • /
    • 2021
  • 이 연구는 발레피트니스 수업을 수강하고 있는 직장여성들의 수업에 대한 미적 가치 인식에 대해 질적 분석하고 연구 참여자들의 의견에 따라 발레피트니스 수업이 올바르게 정착되기 위한 방법 모색을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는 지역 교육기관에서 발레피트니스 수업을 수강하고 있는 직장여성 9명으로 FGI(Focus Group Interview)를 진행하였으며 인터뷰는 반구조화 형식의 질문지를 바탕으로 진행되었다. 이후 범주화 내용은 전문가 검토 및 동료 간의 검토로 도출되었다. 그 결과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발레피트니스 수업을 통해 일상의 즐거움과 통증개선에 도움이 되었으며 발레공연 또한 관심 있게 보게 되었지만 수업에 관련한 정보제공이 미흡한 점은 개선되기를 바라며 불만을 표하였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발레피트니스 수업의 이점을 가족 및 주변 지인들에게 적극 알리고 있었으며 이 운동이 발레에 대한 어려운 이미지의 개선에도 도움이 되기를 바라였다. 이 연구를 토대로 발레피트니스 수업은 직장여성들에게 취미 운동으로 충분히 자리 잡을 수 있도록 기대하였다.

Effectiveness of low-level laser therapy on recovery from neurosensory disturbance after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Firoozi, Parsa;Keyhan, Seied Omid;Kim, Seong-Gon;Fallahi, Hamid Reza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42권
    • /
    • pp.41.1-41.11
    • /
    • 2020
  • Background: Orthognathic surgery such as bilateral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BSSRO) for the treatment of mandibular deformities is one of the most common procedures in maxillofacial operations that may lead to neurosensory disturbance. In this study, we aim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low-level laser therapy (LLLT) on augmenting recovery of neurosensory disturbance of inferior alveolar nerve (IAN) in patients who underwent BSSRO surgery. Methods: A comprehensive literature search was conducted by two independent authors in PubMed, Cochrane Central Register of Controlled Trials (CENTRAL), Scopus, Embase, and Google Scholar electronic databases. Besides, a manual search of all textbooks and relevant articles were conducted. Searches took place in August 2020 and were limited to published and peer-reviewed articles from 2000 to 2020. Al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comprehensive meta-analysis (CMA) and the STATA MP (version:16) software. The weighted mean difference (WMD) using the inverse variance method and the standard mean difference (SMD) was considered for continuous variables. Results: Seventy-four papers were retrieved after removing duplicate studies and finally, eight studies were assessed for qualitative synthesis and five for meta-analysis. Totally, 94 patients were included in the meta-analysis. Based on the meta-analysis, it was shown that LLLT was not effective in a short interval (0 to 48 h) after surgery, but in a period of more than 1 month after surgery, the positive results of treatment can be observed strikingly. Also, LLLT side/group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ome aspects of neurosensory recovery such as thermal sensation compared to the placebo side/group. Conclusions: The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evealed that LLLT generally improves IAN sensory disturbance caused by BSSRO. Further high-quality clinical trials with longer follow-up periods and larger sample sizes are recommended.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학생주도평가가 성취정서와 과학개념이해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tudent-led Assessment on Students' Achievement Emotions and Science Concept Understanding in Middle School Science Class)

  • 윤다정;박지훈;남정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67권4호
    • /
    • pp.253-270
    • /
    • 2023
  • 이 연구는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학생주도평가가 성취정서와 과학개념이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중소도시 소재 중학교 3학년 7학급 중 실험집단으로 선정된 4개 학급은 학생주도평가를 실시하고, 비교 집단(3개 학급)은 교사주도평가를 실시하였다. 학생주도평가는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학습 목표 설정과 평가 기준을 개발하여 자기평가와 동료평가를 실시하는 4단계로 구성하였고, 개발한 7개 평가 활동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주도평가는 긍정적 성취정서를 향상시키고, 부정적 성취정서를 완화시키는데 효과를 보였으며 중학생의 과학개념이해를 향상시켰다. 학생들은 학습목표 설정에 주도적으로 참여하고, 평가 기준을 개발하여 자기평가와 동료평가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며 자신의 도달 정도를 파악하고, 학습 과정에서 부족한 점을 보완하는 반복적인 반성적 사고를 거친다. 따라서 학생주도평가는 학습에 대한 책임감을 향상시키고 지속적으로 과학개념이해 정도를 점검할 수 있도록 하여 과학개념이해를 높이는 도구로써 활용될 수 있다.

숲 체험 활동이 유아의 사회성 발달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A Meta-Analysis on Effects of Infant's Sociality Development in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 김찬우;박덕병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9권4호
    • /
    • pp.225-250
    • /
    • 2022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infant's social development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through meta-analysis. The final nine studies(total of 165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59 in the control group) were selected as a method of systematic review. Meta-analysis on overall effect size estimation, chi-square test, significance analysis, publication bias analysis, and subgroup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R program. The overall effect size of 9 studies was 1.59, indicating a large effect size. As a result of subgroup analysis of the sub-factors of sociality, autonomy showed the largest effect size at 1.47, the adjusted effect size of cooperation was 1.34, the effect size adjusted for peer interaction was 1.29, and the adjusted effect size for perspective-taking ability was 0.97. All were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 a meta-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participation period(4, 5~6, 7~8weeks), the number of sessions(6~10, 11~15, 16~20), the frequency per week(1, 2, 5), and the participation time(40, 60, 90, 120, 150min),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Although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effect size was larger when the participation period was 4 weeks, the number of sessions was 16 to 20, the frequency was 2 times per week, and the participation time was 40 minutes. This results can be usefully utilized by policy makers and forest commentators related to the vitalization of forest education through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Clinical Utility of the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Adolescent Restructured Form in the Assessment of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Disorders in Adolescents: A Preliminary Approach

  • Hye Ji Yun;Eun Hee Park;Hyun Ju Hong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34권4호
    • /
    • pp.268-274
    • /
    • 2023
  •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Adolescent Restructured Form (MMPI-ARF) can differentiate between two groups of adolescents, one diagnosed with internalizing disorders and another with externalizing disorders, and examined the clinical utility of the MMPI-A-RF by examining which subscales can significantly discriminate between these two groups. Methods: A total of 105 adolescents aged 13-18 years completed the MMPI-A-RF (53 internalizing disorder and 52 externalizing disorder groups). Independent t-test, chi-square test (χ2), and discriminant analysis were used to examine whether MMPI-A-RF can distinguish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Sixteen MMPI-A-RF scales best predicted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with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disorders. Fourteen scales (Higher-Order Scale [Emotional/Internalizing Dysfunction], Restructured Clinical [RC] Scale [RC demoralization, Somatic Complaints (RC1), and Low Positive Emotions (RC2)], Personality Psychopathology Five Scale [Introversion/Low Positive Emotionality-Revised, Negative Emotionality/Neuroticism-Revised], Somatic/Cognitive Scale [Malaise, Head Pain Complaints, and Gastrointestinal Complaints], Internalizing Scale [Stress/Worry, Self-Doubt], Externalizing Scale [Negative School Attitudes], Interpersonal Scale [Social Avoidance, Shyness]) were associated with the internalizing disorder group, whereas two scales (Externalizing Scale [Conduct Problems, Negative Peer Influence]) were associated with the externalizing disorder group. Conclusion: The MMPI-A-RF can be an efficient assessment tool for a quick diagnosis as it can classify individuals with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disorders in clinical settings that lack a variety of assessment tool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학습전이 촉진을 위한 교류기억체계(TMS)기반 협력학습모형의 개발과 적용 (Developing and Applying TMS-Based Collaborative Learning Model for Facilitating Learning Transfer)

  • 이지원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993-1003
    • /
    • 2017
  • 교수자들은 팀기반 프로젝트 학습을 통해 학생들이 협업능력과 실생활 문제해결력을 기르기를 기대한다. 하지만 프로젝트 학습에서 학생들은 단순분업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려 할 뿐 아니라 학습전이가 잘 일어나지 않는 경향이 있다. 학생들이 협업의 시너지를 내고 서로의 지식을 이용하여 학습전이를 일어나게 하기 위해서, 이 연구에서는 교류기억체계(TMS) 기반 협력학습 모형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교류기억체계 기반 협력학습 모형은 과학개념을 학습하면서 동료의 전문성을 파악하는 교류기억체계 개발 단계, 간단한 협력적 문제해결을 통해 신뢰를 기르는 교류기억체계 정교화 단계, 마지막으로 조직화된 지식처리를 하는 교류기억체계 적용의 3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첫 번째 단계에서 동료교수법을 통해 과학개념을 학습함과 동시에 그룹 구성원이 서로 어떤 지식을 잘 알고 있는지 전문성을 파악한다. 두 번째 단계에서 잘 정의된 실험 문제를 협력적으로 해결하며 근전이를 경험한다. 세 번째 단계에서 근전이 경험을 바탕으로 프로젝트 수행을 위한 원전이를 통해 빈약하게 정의된 문제를 해결한다. 이 모형을 기반으로 기하광학과 음파에 관한 15주 교육 프로그램을 만들어 대학생들에게 적용하였다. 이 중 프로젝트 1개를 적용한 5주간의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적용결과, 일반 프로젝트 학습을 적용한 그룹의 TMS변화는 유의하지 않았음에 비해, 교류기억체계 기반 협력학습모형을 적용한 그룹의 TMS는 단계적으로 향상되었고, 첫째 주와 마지막 주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또한 실험집단은 비교집단에 비해 프로젝트 수행에서 학습전이가 더 잘 일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생들이 협력을 통해 시너지를 얻는 방법을 익히고, 학습한 내용을 문제해결에 잘 적용하도록 하는데 교류기억체계기반 협력학습 모형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뇌졸중 기능손상 노인의 가족수발자에 대한 사회복지실천 개입의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Social Work Intervention for the Family Caregivers of Older Persons with Stroke)

  • 이인정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3권
    • /
    • pp.231-255
    • /
    • 2003
  • 본 연구는 뇌졸중 노인의 가족 수발자들을 대상으로 집단 프로그램과 개별상담을 제공하고 이러한 사회복지실천에 입각한 개입이 간병 부담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는 지 검증하였다. 12명의 가족 수발자들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설정하고 사전 검사 후 실험집단에 대해서만 8회에 걸쳐 개입을 실시하고 다시 두 집단에 대하여 사후검사를 실시하여 개입 효과를 확인하였다. 실험집단에 대해서는 3개월 후에 추후검사를 실시하여 개입 효과의 지속 여부를 검증하였다. 통계분석은 비모수통계방법인 Mann Whitney test, Wilcoxon test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실시한 개입은 수발자의 간병 부담, 소외감을 완화시켜 주는 효과가 있었다. 간병자의 자존감과 간병에 대안 자진감, 노인과의 관계, 정서적 지지도 향상되었다. 그러나 간병자의 우울, 전반적인 삶의 만족, 공적 서비스의 사용은 변화가 없었다. 둘째, 추후검사를 통해 개입 효과의 추이를 확인한 결과 간병부담, 자존감, 간병에 대한 자신감, 정서적 지지에 대한 개입효과는 유지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노인과의 관계는 악화되었으며 소외감도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본 연구에서 실시한 사회복지실천 개입에 대한 참여자들의 만족도, 유용하다고 느끼는 정도는 매우 높았다. 참여자들은 특히 지지적 세션에 의해 많은 도움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실천 개입의 확대, 자조집단의 조성, 지지적 세션을 잘 이끌어갈 것, 간병 받는 노인의 프로그램 참여에 대한 배려, 수발자들의 내재된 분노나 죄의식을 다루어 줄 것 등의 실천적 함의가 제시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