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er Attachments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3초

부모의 학대가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또래애착·자아존중감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Influence that the Child Abuse by Their Parents Affects the Adolescents' Life-Satisfaction: Focusing on the Mediatorial Effect on Peer Attachments and Self-Esteem)

  • 구용근;박명옥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186-195
    • /
    • 2017
  • 본 연구는 부모의 학대와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또래애착,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층화다단계집락표집에 의해 표본으로 선정된 한국아동 청소년 패널 조사의 초4패널 6차년도 자료 중 중학교 3학년 1,823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빈도분석, 기술통계량분석, 상관분석, 경로분석, sobel test를 하였다. 분석한 결과는 첫째, 부모의 학대가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부적영향을 주었다. 둘째, 부모의 학대와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또래애착은 부분매개 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부모의 학대와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은 완전매개 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하여 또래애착, 자아존중감 향상방안을 제시하였다. 후속 연구자는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환경적 요인을 추가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Data Mining을 이용한 초등학생의 삶의 만족도에 대한 보호요인 및 위험요인 탐색 (The Investigation of Protective Factors and Risk Factors in Elementary Students' Life Satisfaction Using Data Mining)

  • 이주리
    • 아동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1-25
    • /
    • 2009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protective factors and risk factors in elementary students' life satisfaction. Participants were 2844 (1524 boys, 1320 girls) children who grades were 4th, 5th, 6th in KYPS (Korea Youth Panel Survey). Data mining decision tree model was performed with sex, appearance, delinquency, family income, attachment to parents, parental monitoring, attachment to teachers, academic achievement, peer delinquency, and attachments to peer. The results revealed that : (1) For 4th graders, academic achievement, attachment to parents, and appearance were significant predictors for life satisfaction. (2) For 5th graders, attachment to parents, academic achievement, parental monitoring and appearance were significant predictors for life satisfaction. (3) For 6th graders, attachment to parents, appearance, parental monitoring and delinquency were significant predictors for life satisfaction. Protective factors and risk factors were changed according to interactions between significant independent variabl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children's diverse conditions should be considered individually in programs for children's life satisfaction.

  • PDF

청소년의 부모 및 또래 애착과 자동적 사고의 관계 (Parents and Peer Attachment in Relation to Automatic Thought of Adolescents)

  • 이영화;임정하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5-48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자동적 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애착 요인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다. 애착요인으로 부애착, 모애착, 또래애착을 선택해, 이들이 긍정적 자동적 사고와 부정적 자동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443명의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부모애착, 또래애착, 긍정적 자동적 사고, 부정적 자동적 사고는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이용해 평가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백분율, 기술통계, t검증,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 중다회귀분석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또래애착은 학교급과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고등학생들은 중학생들에 비해, 여학생들은 남학생들에 비해 또래애착이 안정적이었다. 부정적 자동적 사고는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여학생들이 남학생들보다 부정적 자동적 사고를 많이 하는 경향이 있었다. 둘째, 부모 및 또래 애착은 긍정적 자동적 사고와는 정적 관련성을 보였고, 부정적 자동적 사고와는 부적인 관련성을 보였다. 셋째, 청소년의 긍정적 자동적 사고에는 부모 및 또래 애착이, 부정적 자동적 사고에는 부모애착만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청소년기의 부모 및 또래 애착이 자동적 사고의 종류에 따라서 다르게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나타내며, 부모와의 안정적인 애착관계가 사회적 관계망이 확장된 청소년기에도 여전히 청소년의 사고에 중요한 영향을 미침을 보여준다.

  • PDF

청소년심리(靑少年心理) (Adolescent Psychology)

  • 조두영
    • 정신신체의학
    • /
    • 제6권2호
    • /
    • pp.97-103
    • /
    • 1998
  • A dolescence can be defined as the period between pubescence and physical maturity, and the passage through adolescence(age of 12-19) forms a critical period. Major developmental tasks of adolescence are construction of an emancipated identity, realistic ambitions, and reasonable ideals, and the further development of sexual and social identities. In early adolescence one struggles to adjust psychologically to the spurt in growth and tensions filled with sexual and aggressive impulses. There are reshuffling of peer groups due to differing rates of maturation, early adolescence crushes, sublimation of sexuality, and the resurgence of oedipal feelings. One reaches so-called period of formal operations in cognitive development. In mid-adolescence one struggles to overcome family attachments and controls, and it is a time marked by revolt and conformity. One has to overcome sexual repression while caught in reactivation of oedipal attachment. Peer groups gains in importance, and the peer group changes into a youth group that carries the youth culture. Late adolescence is a period of achieving an ego identity and capacities for intimacy. One has to prevent premature closure : Identity foreclosure limits both opportunity and the ability to guide one's own life. Gradually adolescent begins to have a loss self-centered and narcissistic orientation to one's sexual and affectional needs, and becomes involved in love relationship.

  • PDF

아동의 애착, 사회적 유능감, 정서조절간의 관계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Social Competence, and Emotion Regulation)

  • 최진아;박은민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9권10호
    • /
    • pp.103-113
    • /
    • 2011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attachment, social competence, and emotion regulation.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233 children of elementary school age(5th-6th grades) in G-city, Korea, using the IPPA-R, the Social Competence Inventory and an Emotion Regulation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then analyzed using a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d social competence was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attachment and social competence have a positively correlated relationship. Peer attachments strongly affect the attributes of social competence when using a canonical variate analysis. Secondly,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d emotional regulation was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attachment and emotion regulation are also positively correlated. Maternal attachment particularly strongly affected the attributes of emotion regulation. Thirdly,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ompetence and emotional regulation was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social competence and emotional regulation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가정외보호 아동의 친부모애착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대리양육자애착과 또래애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Children's Attachment to Biological Parents on Self-esteem among Children in Out-of-home Care -The Mediating Effects of Caregiver and Peer Attachment-)

  • 김소연;전종설;강현아;노충래;우석진;정익중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53호
    • /
    • pp.51-76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외보호 아동의 친부모애착과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를 대리양육자애착과 또래애착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아동복지 실천 및 정책적 함의를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가정외보호아동패널조사 1차년도 자료에서 426명의 초등학교 5,6학년 아동을 연구대상으로 포함하였다. 구조방정식 분석 결과, 가정외보호 아동의 친부모애착은 자아존중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대리양육자애착과 또래애착은 자아존중감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리양육자애착과 또래애착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대리양육자애착과 또래애착은 친부모애착과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친부모와의 정기적 만남을 통해 친부모와의 관계 개선 및 이를 통한 대리양육자애착과 또래애착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논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