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diatric sedation

검색결과 219건 처리시간 0.029초

소아환자의 세보플루란 흡입진정시 미다졸람 병용 투여의 효과에 관한 예비연구 (Effects of Midazolam with Sevoflurane Insufflation Sedation on Concomitant Administration in Pediatric Patients : A Preliminary Study)

  • 지성인;김종수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283-291
    • /
    • 2014
  • 심한 치과적 공포와 불안으로 치과적 행동조절에 문제를 일으키는 환자의 경우, 진정법과 같은 약물적 행동 조절 방법이 요구될 수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소아 환자에서 세보플루란 흡입진정시에 추가적으로 0.1 mg/kg의 미다졸람을 근육주사하였을 때 진정 깊이와 심폐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2013년 1월부터 2014년 3월 사이 본원에서 세보플루란 흡입진정 하에 치과치료를 받은 환자의 마취기록지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3~6세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세보플루란 단독 사용군이 18명, 미다졸람 병용 투여군이 18명이었다. 미다졸람 병용 투여군의 평균 엔트로피 값은 세보플루란 단독 사용군에 비해 10정도 낮게 측정되었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며(p > 0.05), 분당 심박수와 평균동맥압은 미다졸람 병용 투여군이 세보플루란 단독 사용군에 비해 높은 값을 보였다(p < 0.05). 즉, 0.1 mg/kg의 미다졸람 근육주사는 세보플루란 흡입진정시 진정의 질을 높이는데 큰 도움이 되지는 않았으며, 추후 세보플루란 흡입진정과 병용 사용하기에 적절한 미다졸람의 용량을 결정하기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pplication of sevoflurane inhalation sedation in dental treatment: a mini review

  • Kim, Keoungah;Kim, Seungoh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21권4호
    • /
    • pp.321-327
    • /
    • 2021
  • Sevoflurane is familiar to anesthesiologists as an inhaled anesthetic to induce and maintain anesthesia; however, it has not been widely used for sedation. Recently, the use of sevoflurane for inhalational sedation has been increasing. Moreover, in Korea, the use of sevoflurane for conscious or deep sedation in dental care for children and the disabled is increasing, primarily by dental anesthesiologists. In this article, we reviewed a sedation method using sevoflurane.

구호흡 소아환자에서 흡인도관을 이용한 $N_2O-O_2$ 진정 ([ $N_2O-O_2$ ] INHALATION SEDATION WITH SUCTION CATHETER IN FULL MOUTH BREATHING PATIENTS)

  • 윤형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589-594
    • /
    • 1999
  • 소아치과 환자에서 협조가 안 되는 환자의 진료시 여러 가지 방법의 진정요법이나 다른 방법이 이용된다. 이 중에서도 최근의 경향은 약물을 이용하여 진정을 시행하는 방법이 주로 이용된다. 약물 투여방법 중에서도 흡입가스를 이용하여 진정을 유발하는 경우가 장점이 많아 최근 사용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흡입가스를 이용한 경우 폐를 통해 약물이 흡수되므로 적절한 진정수준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환자의 호흡양상이 주 영향을 끼친다. 가스를 이용한 흡입진정 시에는 환자가 반드시 비호흡을 하여야 폐를 통해 흡수가 되므로 구호흡을 하는 경우는 정맥로를 이용한 진정이나 기관내삽관을 필요로 한다. 저자는 $N_2O-O_2$를 이용한 진정요법을 시행하는 중에 완전한 구호흡을 하는 환자를 기관내삽관을 하지 않고 끝 부분이 둥글고 유연한 흡인도관을 사용하여 아산화질소를 투여함으로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에 보고 한다.

  • PDF

행동조절이 어려운 소아치과 환자 치료시 Halothane과 Midazolam을 사용한 Modified Deep Sedation (Modified deep sedation with halothane and midazolam for the definitely negative behavior pediatric patient.)

  • 윤형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38-46
    • /
    • 1998
  • Management of children who show negative response to treatment was difficult. Usually the dentist used the restraintor sedatives for these children. Especially it is very difficult to management of definitely negative behavior patients who resist to ordinary sedative technics including psychosedation and various sedatives. These patients were managed with general anesthesia. Midazolam was used for sedation of non-cooperative pediatric patients and halothane for induce initial sleepness, If the patient shows negative response to management after 15 minutes of midazolam administration, used the halothane in 30 to 120 seconds for calm down the patient. After induce sleepness, cut off the halothane administration and maintain the sedation with $N_2O$ in 50-70 vol.% concentration. This technic reduce the toxity and untoward effects of major anesthetics. To compare the difference of sedation effect by dosage, dose of 0.2mg/kg and 0.3mg/kg were injected respectively. Though there'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duration and results between two dosage but show the increment of score with age, If the patients show positive response to management after midazolam administered. try to conscious sedation with nitrous oxide in 30 to 70 vo.% concentration. Nitrous oxide concentration was administered slowly according to their consciousness and response to treatment by increment or decrement. The success rate of conscious sedation were 21.2% in 0.2mg/kg and 30.3% in 0.3mg/kg. There's many factors in proceed of conscious sedation. The most important factors are age of patient and experience of children for dental care.

  • PDF

한국 소아 청소년의 치과 치료 시 진정법 경향 (Trends in Dental Sedation of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 탁민경;김재곤;양연미;이대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313-323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소아청소년의 치과 치료 시 진정법 경향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2002년부터 2015년까지 국민 건강 보험 공단의 표본 코호트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진정법 하 시행된 치과 치료에 대해 조사하였다. 진정법 하 치과 치료는 2002년에는 436건이었으나, 2015년에는 4002건으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3 - 5세 집단이 가장 큰 비중(54.2%)을 차지하였으며, 최근에는 6 - 8세 집단이 증가하였다. 아산화질소-산소 흡입 진정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고, 2002년에는 45.9%를 차지하였으나, 2015년에는 89.5%로 증가하였다. 진정 약물을 혼합 사용하는 경우, 아산화질소-산소 흡입 진정, 클로랄 하이드레이트, 하이드록시진 조합이 가장 많았고, 2002년에는 5.7%를 차지하였으나, 2015년에는 2.9%로 감소하였다. 이를 토대로 진정법 하 치과 치료는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 안전한 방향으로 변화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어린이의 진정법 하 치과치료 후 정기검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Analysis of Factors that Affect the Follow-up Pattern after Dental Treatment under Conscious Sedation in Children)

  • 황인경;마연주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324-333
    • /
    • 2018
  • 유년기는 치열변화, 치아우식 등 전반적으로 변화가 많은 시기로, 구강질환 예방 및 조기치료를 위해 정기적 내원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진정법 하 치과치료 후 정기검진 패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했다.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이대목동병원 소아치과에서 진정법 하 치과치료를 받은 환자 562명을 3년간 내원 횟수에 따라 4개의 군으로 분류한 뒤, Chi-square test를 이용하여 정기검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했다. 내원 기간 동안 주치의 변경, 진정법 하 치료한 치아 개수, 총 치료시간, 수복치료, 소수술, 예방적 치료는 재내원 그룹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 0.05). 소수술을 받은 환자 및 우식 이환 치아 개수가 적거나 중등도인 환자의 경우 재내원 가능성이 낮으므로, 보호자에게 치료의 예후관찰 및 구강질환 예방을 위해 정기검진이 필요함을 강조해야 할 것이다.

구강 점막 하 주입 Midazolam과 경구 투여한 Chloral Hydrate의 용량에 따른 산소 포화도 및 생징후 변화에 대한 비교 연구 (Effect of Submucosal Midazolam on Percutaneous Saturation Percentage of Oxygen ($SpO_2$), End-tidal Carbon Dioxide ($EtCO_2$) and Physiologic Response When Combined with Chloral Hydrate, Hydroxyzine and Nitrous Oxide Sedation)

  • 유지혜;김윤희;정상혁;백광우
    • 대한치과마취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89-97
    • /
    • 2006
  • Backgroun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SpO_2$, PR, $EtCO_2$, RR with submucosal injection of midazolam to oral chloral hydrate and hydroxyzine for pediatric patients Methods: Thirty two sedation cases were performed in this study. Patients were randomly classified into one group taking oral CH (60 mg/kg). hydroxyzine (1 mg/kg) and submucosal injection of midazolam (0.1 mg/kg) and the other group recieving oral CH (50 mg/kg), hydroxyzine (1 mg/kg) and submucosal injection of midazolam (0.2 mg/kg). For evaluating the depth of sedation. data including saturation percentage of oxygen ($SpO_2$), pulse rate (PR), end-tidal carbon dioxide ($EtCO_2$), respiratory rate (RR) and the behavior scale were checked every 2 minutes and were collected for only 40 minutes from the beginning of treatment and were analyzed using Two independent sample T-test. Results: Analysi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n $SpO_2$, PR, $EtCO_2$, RR during sedation between two groups (P > 0.05). The values of $SpO_2$, PR, $EtCO_2$ and RR for both groups remained within the normal values.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present study indicate that combination of oral CH, hydroxyzine, nitrous oxide gas inhalation and submucosal injection of midazolam improved the sedation quality without compromising safety.

  • PDF

미다졸람의 비강내 분무를 이용한 의식진정에 대한 증례보고 (CLINICAL STUDY ON THE CONSCIOUS SEDATION WITH MIDAZOLAM INTRANASAL SPRAY)

  • 김현식;최정림;이창섭;이상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782-787
    • /
    • 1998
  • Midazolam의 비강내 분무를 이용한 소아치과 환자의 의식진정하 치과치료 결과, 아래와 같은 특징들이 발견되었으며, 기존의 비강내 점적의 대표적인 단점인 posterior dripping이 대부분 제거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도감염 등의 경우 보이는 비강내 충혈, 잦은 비루등의 경우에서는 이의 사용이 제한됨을 알 수 있었다. 1. 투여시 불편감의 감소 2. 점적의 경우보다 빠른 약효의 발현 및 회복 3. 점적시 보였던 rhinorrhea등 부작용의 감소 4. 점적시보다 개선된 행동양상의 표현

  • PDF

어린이의 치과치료시 약물에 의한 진정요법 사용에 대한 실태조사 (A SURVEY OF SEDATION PRACTICES IN THE KOREAN PEDIATRIC DENTAL OFFICE)

  • 안소연;최병재;곽지윤;강정완;이제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444-453
    • /
    • 2005
  • 진정요법은 소아치과에서 사용하는 보상, 속박, 체계적 탈감작법(말-시범-시행), 친밀감 같은 통상의 방법으로는 환자의 반응이 개선되지 않아 일반적인 치과치료가 불가능할 때 사용하는 행동조절법이다. 최근 국내에서도 진정요법을 이용하는 사례가 증가하는 추세이나 그 기준이나 방법들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상태이다. 미국소아치과학회의 진정요법에 관한 기준이 있기는 하지만 국내의 상황이 미국과 다르므로 한국에서의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저자는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소아치과의사들을 대상으로 국내 소아치과에서의 진정요법 현황에 대한 실태를 조사, 그 결과를 정리하여 향후 소아치과 임상에서의 진정요법에 대한 임상 기준을 정하는데 기여하고자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대한소아치과학회 회원 573명을 대상으로 진정요법 사용 실태에 관한 설문지를 발송하여 이 중 회신을 한 220명의 설문을 분석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응답자의 약 66%가 진정요법을 사용하고 있다고 답했다. 진정요법에 관한 이전 연구 결과와 비교해 볼 때, 국내 소아치과에서 진정요법의 사용빈도가 증가하였다. 2. 진정요법으로 치료를 결정하게 된 요인은 행동조절, 치료내용과 양, 보호자의 요구, 내원횟수, 전신질환의 순서이었다. 3. 진정요법으로 치료받는 환자의 연령은 만 3세가 가장 많았고, 만 4-5세, 만 2세 미만, 만 6-10세, 만 10세 이상의 순서로 조사되었다. 4. 진정요법 시 chloral hydrate는 60-70mg/kg, hydroxyzine은 10-40mg/kg(25mg/kg)을 사용하고 있었고, 경구 투여가 가장 선호하는 약물투여 경로였다. 5. 진정요법 시 사용하는 환자감시 방법은 피부나 손톱색 등의 관찰을 포함한 환자 평가와 맥박 산소측정기(pulse oximeter)를 통한 환자감시를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6. 진정요법을 사용하고 있다고 응답한 사람의 약 56%에서 심폐소생술 교육을 받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Safety of hydroxyzine in the sedation of pediatric dental patients

  • Taegyeom, Kim;Keoungah, Kim;Seungoh, Kim;Jongbin, Kim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22권6호
    • /
    • pp.395-404
    • /
    • 2022
  • Hydroxyzine is one of the most popular oral sedatives used in pediatric dentistry.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safety and possible side effects of sedation using hydroxyzine in pediatric dentistry. "Hydroxyzine," "Dental sedation," "Child," and "Safety" and their associated synonyms were searched using the Cochrane Library, Embase, PubMed, KISS, KMBASE, and KoreaMed databases. Academic information and portals of DBpia and RISS were also perused. Altogether, 340 papers were found, among which a total of 24 papers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detailed criteria. Nine studies used hydroxyzine as monotherapy, and 10 studies compared its safety when hydroxyzine used as multitherapy. In addition, seven studies employed a drug regimen wherein hydroxyzine was one of the components. All these studies revealed that the adverse events specific to hydroxyzine usage were drowsiness and dryness of the mouth, and that there were respiratory complications due to a synergistic reaction of hydroxyzine. Although classified as a histamine blocker, hydroxyzine with its sedative, antiemetic, anticonvulsant, and anticholinergic properties is an oral sedative available without serious adverse events, If the proper dosage of the drug is used and its synergistic effects with other drugs are ascertained in the route of admin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