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diatric breast

검색결과 160건 처리시간 0.033초

익산시 취학 전 어린이의 중증 유아기 우식증 유병률과 섭식습관 (PREVALENCE OF SEVERE EARLY CHILDHOOD CARIES AND FEEDING PRACTICES IN PRESCHOOL CHILDREN IN IKSAN CITY)

  • 유래관;이광희;라지영;이동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383-389
    • /
    • 2007
  • 중증 유아기 우식증의 유병률과 섭식행위요인을 연구하기 위하여, 익산시 취학 전 어린이 672명을 대상으로 상악 유전치 우식 유병률을 조사하고, 어린이의 보육자들을 대상으로 섭식행위요인 등에 관한 질문지 조사를 시행하였다. 연구대상 어린이의 상악 유전치 우식 유병률은 34.5%이었다. 수유 중 잠드는 습관이 있을 때, 젖병에 시거나 단 음료를 넣어 먹이는 습관이 있을 때, 노리개젖꼭지를 무는 습관이 있을 때, 상악 유전치 우식 유병률이 유의하게 더 높았다(p<0.05). 출생체중, 모유수유기간, 젖병사용기간, 빨대컵으로 먹는 습관은 상악 유전치 우식 유병률과 유의한 연관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모유수유기간이 길수록 수유 중 잠드는 습관이 많았으며, 노리개젖꼭지를 무는 습관이 적었다. 젖병사용기간이 길수록 노리개젖꼭지를 무는 습관이 많았다. 수유 중 잠드는 습관이 있을 때 젖병에 시거나 단 음료를 넣어 먹이는 습관이 많았고, 빨대컵으로 먹는 습관이 많았으며, 노리개젖꼭지를 무는 습관이 많았다. 젖병에 시거나 단 음료를 넣어 먹이는 습관이 있을 때 빨대컵으로 먹는 습관이 많았고, 노리개젖꼭지를 무는 습관이 많았다. 빨대컵으로 먹는 습관이 있을 때 노리개젖꼭지를 무는 습관이 많았다.

  • PDF

모유영양아와 인공영양아의 이환율 비교 (Comparison of Morbidity between Breast-fed and Formula-fed Infants)

  • 김미원;신희선;김정선;안채순;오상은;유경원;이애란;장영숙
    • 모자간호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66-171
    • /
    • 1993
  • To compare the morbidity between the breast-fed and artificial formula-fed Infants, the frequency of diseases during infancy was studied. The subjects were 37 breast-fed infants and 41 formula-fed infants aged 12-15 months. The data were obtained while they visited the pediatric out-patient clinic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Most prevalent diseases in the infancy were respiratory and gastrointestinal illnesses. 2. During the first 6 months the morbidity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breast-fed than in the formula-fed 3. The frequency of respiratory and gastrointestinal disease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formula-fed than in the breast-fed infant during the first 6 months.

  • PDF

대전지역 영유아의 수유 및 이유실태 조사 (A Study on Infant Feeding and Weaning Practice in Taejon)

  • 왕수경;김지현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489-495
    • /
    • 199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weaning practice of 198 infants in Taejon city in October, 1998. Information on infant feeding and weaning practices were obtained by interviewing mothers in gynecologist and pediatric clinics located in Taejon.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 In the survey 37.4% of the infants were breast-feeding, while 31.3% of them were bottle-feeding and 29.3% of them were mixed-feeding. The reason for bottled-feeding was due either to the lack of breast-milk secretion or motner’s job. The educational level of the mother and maternal job affected the feeding methods before weaning. Lower rates of breast-feeding were found among mothers witn a lover level of education. The breast-feeding rate was lower in full-time and part-time job worker groups than in housewif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eeding methods according to family income. Among the subjects, 71.5% of infants began to be weaned within 7 months. The onset of weaning was delayed in the full-time worker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nset time of weaning according to feeding method, the educational level of the mother, and family income. 60.6% of infants received fruit juice and 29.6% of them received cereals for first-given-supplementary food. ‘For baby’s nutritional status’ was the most common motivation for the onset of weaning. Commercially prepared foods were used more than home-made food for supplementary food.

  • PDF

Iron deficiency increases blood concentrations of neurotoxic metals in children

  • Kim, Yangho;Park, Sangkyu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7권8호
    • /
    • pp.345-350
    • /
    • 2014
  • Iron deficiency affects approximately one-third of the world's population, occurring most frequently in children aged 6 months to 3 years. Mechanisms of iron absorption are similar to those of other divalent metals, particularly manganese, lead, and cadmium, and a diet deficient in iron can lead to excess absorption of manganese, lead, and cadmium. Iron deficiency may lead to cognitive impairments resulting from the deficiency itself or from increased metal concentrations caused by the deficiency. Iron deficiency combined with increased manganese or lead concentrations may further affect neurodevelopment. We recently showed that blood manganese and lead concentrations are elevated among iron-deficient infants. Increased blood manganese and lead levels are likely associated with prolonged breast-feeding, which is also a risk factor for iron deficiency. Thus, babies who are breast-fed for prolonged periods should be given plain, iron-fortified cereals or other good sources of dietary iron.

Elevation of Depressed Skull Fracture with a Cup of Breast Pump and a Suction Generator : A Case Report in Technical Aspects

  • Kim, Young-Jin;Lee, Sang-Koo;Cho, Maeng-Ki;Kim, Young-Joo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42권4호
    • /
    • pp.346-348
    • /
    • 2007
  • Surgical elevation of the depressed bone is known to be the conventional treatment usually recommended for a simple depressed skull fracture in the adult or pediatric age. The authors introduce, however, a case of depressed skull fracture in an infant which was elevated by means of a cup of breast pump and a suction generator without surgical elevation. In our case, without surgery, a 'cup-shaped' depressed skull fracture in an infant was safely elevated with no neurological signs. This method is considered a simple, effective, safe, and alternative procedure in an infant with simple depressed skull fracture.

모유 수유 환아에서 발생한 심한 고나트륨혈성 탈수 (Severe hypernatremic dehydration in a breast-fed neonate)

  • 오윤정;이지은;안소현;김양경;강성길;김자경;손병관;전용훈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0권1호
    • /
    • pp.85-88
    • /
    • 2007
  • 모유 수유로 인한 고나트륨혈성 탈수는 흔하지는 않으나, 최근 모유 수유가 증가하면서 그 빈도가 증가할 수 있다. 고나트륨혈증은 여러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해야 하며, 무엇보다 예방이 중요하다. 모유 수유로 인한 고나트륨혈성 탈수의 예방을 위해서는 모유 수유에 대한 올바른 교육과 퇴원 후 조기 추적 관찰이 중요하다. 저자들은 정상 신생아에서 아무런 합병증 없이 치료된 모유 수유로 인한 고나트륨혈성 탈수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소아 환자를 진료하는 의사들의 영아기 영양에 대한 상담 실태 조사 (Survey on Counseling about Infant Nutrition Among Doctors on Practicing Pediatric Patients in Primary Medical Facilities)

  • 도은정;이은실;신손문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5권11호
    • /
    • pp.1332-1339
    • /
    • 2002
  • 목 적 : 이 연구는 소아과 진료를 표방하는 1차 의료 기관의 의사를 대상으로 영아기의 영양에 대한 설문 조사를 통해 이들이 영아기 영양에 대하여 얼마나 바르게 상담을 해 주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하였다. 방 법: 2000년 7월부터 8월까지 대구광역시에서 개원을 하고 있거나 봉직하고 있는 소아과 전문의(1군)와 소아과를 진료과목으로 표방하고 있는 비 소아과 전문의 또는 일반의(2군)를 대상으로 영아기 영양에 관한 육아 상담 내용을 미리 작성한 객관식 10문제를 이용하여 방문조사 하였다. 조사에 참여한 의사는 267명으로 소아과 전문의가 101명, 비 소아과 전문의 또는 일반의가 166명이었다. 비 소아과 전문의는 내과 63명, 일반외과 21명, 산부인과 20명, 가정의학과 16명, 이비인후과 7명, 정신과, 흉부외과, 신경과 전문의가 각각 1명이었다. 전문의 자격이 없는 일반의는 36명이었다. 결 과 : 100점 만점으로 평가한 결과 1군의 점수는 $73.0{\pm}15.8$점, 2군은 $45.1{\pm}18.4$점으로 두 군간에 의미 있는 차이가 있었다(P<0.05). 비소아과 전문의 중 전문 과목에 따른 점수는 내과 전문의가 $46.5{\pm}20.2$, 산부인과 전문의 $44.5{\pm}20.6$, 일반외과 전문의 $40.5{\pm}15.6$, 가정의학과 전문의 $56.3{\pm}16.9$, 이비인후과 전문의 $47.1{\pm}15.0$, 이었고 일반의 $45.3{\pm}16.3$ 점이었으며 타과 전문의와 일반의사 간의 점수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각 질문 항목에는 모유 수유 권장 기간, 모유 수유 중에 무른 변을 보이는 경우, 모유 수유시에 나타나는 황달의 대처 요령, 이유식의 시작 시기, 시판 이유식을 먹이는 형태, 식물성 분유에 대한 지도 방침, 선식에 대한 지도 방침에 대한 질문에 대한 대답이 1군과 2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 론 : 본 조사 결과 소아과 전문의들에 비해 타과 전문의들이나 일반의들은 영아기의 영양에 대해 부적절하게 상담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소아과 전문의들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과 함께, 타과 전문의에 의한 부적절한 상담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대처하는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Middle East Consensus Statement on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in <12 Months Old Infants

  • Vandenplas, Yvan;Alturaiki, Muath Abdurrahman;Al-Qabandi, Wafaa;AlRefae, Fawaz;Bassil, Ziad;Eid, Bassam;El Beleidy, Ahmed;Almehaidib, Ali Ibrahim;Mouawad, Pierre;Sokhn, Maroun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9권3호
    • /
    • pp.153-161
    • /
    • 2016
  • This paper covers algorithms for the management of regurgitation, constipation and infantile colic in infants. Anti-regurgitation formula may be considered in infants with troublesome regurgitation, while diagnostic investigations or drug therapy are not indicated in the absence of warning signs. Although probiotics have shown some positive evidence for the management of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FGIDs), the evidence is not strong enough to make a recommendation. A partially hydrolyzed infant formula with prebiotics and ${\beta}$-palmitate may be considered as a dietary intervention for functional constipation in formula fed infants. Lactulose has been shown to be effective and safe in infants younger than 6 months that are constipated. Macrogol (polyethylene glycol, PEG) is not approved for use in infants less than 6 months of age. However, PEG is preferred over lactulose in infants >6 months of age. Limited data suggests that infant formula with a partial hydrolysate, galacto-oligosaccharides/fructo-oligosaccharides, added ${\beta}$-palmitate may be of benefit in reducing infantile colic in formula fed infants in cases where cow's milk protein allergy (CMPA) is not suspected. Evidence suggests that the use of extensively hydrolyzed infant formula for a formula-fed baby and a cow's milk free diet for a breastfeeding mother may be beneficial to decrease infantile colic if CMPA is suspected. None of the FGIDs is a reason to stop breastfeeding.

모유수유에 대한 산모의 의식과 실천 현황 (Current Understanding and Practices of Breast feeding by Mothers)

  • 박은영;조수진;이근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11호
    • /
    • pp.1162-1165
    • /
    • 2005
  • 목 적 : 실질적인 모유수유 교육 계획을 세우기 위하여 산모의 모유수유의 실태와 의식을 조사하고 6년 전 시행했던 유사 연구와의 비교를 통해서 우리나라 모유수유의 추세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 법 :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동대문병원에서 건강한 신생아를 출산한 127명의 산모를 대상으로 하였다. 산모는 출산 후 1일에 면담하였고 1, 2, 3개월에 다시 전화 추적 면담으로 모유수유 상태와 계획을 조사하였다. 결 과 : 분만 직후 96.1%의 산모들이 모유수유를 계획하고 있었다. 이중 73.2%는 완전 모유수유를, 22.8%는 혼합수유를 계획하고 있었다. 모유수유 기간은 대부분에서 7-12개월을 계획하고 있었다. 모유수유를 주위에서 권장한 사람은 가족이 가장 많았다. 3개월이 경과되면서 완전 모유수유를 하는 산모의 비율은 50%정도로 감소하였고, 혼합 수유하던 산모들은 대부분 인공수유로 이행되었다. 이러한 추세는 1999년에 Jung 등이 시행했던 연구에서와 비슷하나 3개월까지 완전모유수유를 유지하는 비율은 증가하는 경향이다. 모유수유 실패 요인은 젖 부족이(35.0%), 직장 복귀가(27.5%)로 의료인의 지지와 교육으로 도와줄 수 있는 원인들이었다. 결 론 : 1999년 Jung 등의 연구와 비교하여 볼 때 생후 3개월까지 완전 모유수유를 유지하는 비율은 27%에서 50%로 증가하였으나, 모유수유를 실패하는 대부분은 생후 1개월에 인공수유로 전환됨을 알 수 있었다. 혼합 수유를 시행하는 산모에게 실질적이고 지지적인 교육을 통해서 모유수유 성공률은 증가될 수 있다.

Maternal 3-methylcrotonyl-coenzyme A carboxylase deficiency with elevated 3-hydroxyisovalerylcarnitine in breast milk

  • Cho, Kyung Lae;Kim, Yeo Jin;Yang, Song Hyun;Kim, Gu-Hwan;Lee, Jun Hwa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9권sup1호
    • /
    • pp.41-44
    • /
    • 2016
  • We report here a case of maternal 3-methylcrotonyl-coenzyme A carboxylase (3-MCC) deficiency in a Korean woman. Her 2 infants had elevated 3-hydroxyisovalerylcarnitine (C5-OH) on a neonatal screening test by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LC-MS/MS), but normal results were found on urine organic acid analysis. The patient was subjected to serial testing and we confirmed a maternal 3-MCC deficiency by blood spot and breast milk spot test by LC-MS/MS, serum amino acid analysis, urine organic acid and molecular genetic analysis that found c.838G>T (p.Asp280Tyr) homozygous mutation within exon 9 of the MCCB gene. Especially, we confirmed marked higher levels of C5-OH on breast milk spot by LC-MS/MS, in the case of maternal 3-MCC deficiency vs. contro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