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diatric Dentistry

검색결과 2,520건 처리시간 0.039초

Incidence of Dental Discoloration After Tetracycline Exposure in Korean Children: A Nationwide Population-Based Study

  • Ji Young Lee;Eun Hwa Kim;Myeongjee Lee;Jehee Shin;Sung Min Lim;Jee Yeon Baek;MinYoung Kim;Jong Gyun Ahn;Chung-Min Kang;Inkyung Jung;Ji-Man Kang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31권1호
    • /
    • pp.25-36
    • /
    • 2024
  • 목적: 테트라사이클린 (tetracycline, TC)은 소아청소년을 대상으로 복용하였을 시 영구적 치아 변색의 위험이 증가된다는 보고에 따라 미국에서는 8세 이하, 국내에서는 12세 미만으로 처방이 가이드라인상 추천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TC에 노출된 소아청소년을 대상으로 치아 변색의 발생률을 분석하고, TC에 노출되지 않은 일반 인구 집단과의 발생률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 코호트 연구는 2008년 1월부터 2020년 12월 사이 최소 1일 이상 TC에 노출된 소아청소년(0-12세)에 대한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기반으로 분석하였다. TC 노출 6개월 이후 치아 변색 관련 진단코드의 입력여부를 기준으로 치아 변색 발생률을 도출하였고, 추가적으로 연령 보정이 된 TC에 노출되지 않은 일반 인구집단을 추출하여 이를 변수로 한 표준화한 치아 변색 발병률(standardized incidence ratio, SIR)을 구하였다. 결과: 총 56,990명이 포함되었으며, 이 중 8세 미만은 1,735명, 그리고 8-12세는 55,255명이었다. 이 중 61%가 14일 미만 동안 TC를 처방받았으며, 독시사이클린(61%)과 미노사이클린(35%)을 포함한 2세대 TC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0-7세 연령군에서의 5년 및 10년 누적발생률은 4.1% (95% confidence interval [CI], 3.0% to 5.7%) 및 5.7% (95% CI, 4.1% to 7.8%)으로 확인되었고, 이에 비해 8-12세 연령군에서는 0.8% (95% CI, 0.7 to 0.9%) 및1.3 (95% CI, 1.1% to 1.4%)으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TC노출 후 치아 변색의 발생률은 연령 보정된 일반 인구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SIR, 1.08; 95% CI, 0.69 to 1.60). 결론: TC 노출은 일반 인구에 비해 치아 변색 위험을 유의하게 증가시키지 않았으며, 특히 8-12세 사이의 TC 노출군은 그 이하 연령군에 비해 유의미하게 낮은 발생률을 보였다. 따라서, 국내에서 TC 처방에 대한 연령 제한 완화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The Survey of Dentists: Updated Knowledge about Basic Life support and Experiences of Dental Emergency in Korea

  • Cho, Kyoung-Ah;Kim, Hyuk;Lee, Brian Seonghwa;Kwon, Woon-Yong;Kim, Mi-Seon;Seo, Kwang-Suk;Kim, Hyun-Jeong
    • 대한치과마취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7-27
    • /
    • 2014
  • Background: Various medical emergency situations can occur during dental practices. Cardiac arrest is known to comprise approximately 1% of emergency situation. Thus, it is necessary for dentists to be able to perform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to increase the chance of saving patient's life in emergency situation. In this paper, we conducted a survey study to evaluate to what extent dentists actually understood CPR practice and if they had experience in handling emergency situations in practice. Method: The survey was done for members of the Korean Dental Society of Anesthesiology (KDSA), who had great interest in CPR and for whom survey-by-mail was convenient. We had selected 472 members of the KDSA with a dental license and whose office address and contact information were appropriate, and sent them a survey questionnaire by mail asking about the degree of their CPR understanding and if they had experience of handling emergency questions before. Statistical analyses -frequency analysis, chi-square test, ANOVA, and so on- were performed by use of IBM SPSS Statistics 19 for each question. Result: Among 472 people, 181 responded (38.4% response rate). Among the respondents were 134 male and 47 female dentists. Their average age was $40.4{\pm}8.4$. In terms of practice type, there were 123 private practitioners (68.0%), 20 professors (11.0%), 16 dentists-in-service (8.8%), 13 residents (specialist training) (7.2%) and 9 military doctors (5%). There were 125 dentists (69.1%) who were specialists or receiving training to be specialist, most of whom were oral surgeon (57, 31.5%) and pediatric dentists (56, 30.9%). There were 153 people (85.0%) who received CPR training before, and 65 of them (35.9%) were receiving regular training. When asked about the ratio of chest pressure vs mouth-to-mouth respiration when conducting CPR, 107 people (59.1%) answered 30:2. However, only 27.1% of them answered correctly for a question regarding CPR stages, C(Circulation)- A(Airway)- B(Breathing)- D(Defibrillation), which was defined in revised 2010 CPR practice guideline. Dentists who had experience of handling emergency situations in their practice were 119 (65.6%). The kinds of emergency situations they experienced were syncope (68, 37.6%), allergic reactions to local anesthetic (44, 24.3%), hyperventilation (43, 23.8%), seizure (25, 13.8%), hypoglycemia (15, 8.3%), breathing difficulty (14, 7.8%), cardiac arrest (11, 6.1%), airway obstruction (6, 3.3%), intake of foreign material and angina pectoris (4, 2.2%), in order of frequency. Most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handled the situation appropriately under the given emergency situation. In terms of emergency equipment they had blood pressure device (70.2%), pulse oximetry (69.6%), Bag-Valve-Mask (56.9%), emergency medicine (41.4%), intubation kit (29.8%),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23.2%), suction kit (19.3%) and 12 people (6.6%) did not have any equipment. In terms of confidence in handling emergency situation, with 1-10 point scale, their response was $4.86{\pm}2.41$ points. The average point of those who received regular training was $5.92{\pm}2.20$, while those who did not was $4.29{\pm}2.29$ points (P<0.001) Conclusion: The result showed they had good knowledge of CPR but the information they had was not up-to-date. Also, they were frequently exposed to the risk of emergency situation during their dental practice but the level of confidence in handling the emergency situation was intermediate. Therefore, regular training of CPR to prepare them for handling emergency situation is deemed necessary.

플루마제닐의 경비 투여 (Clinical Trial of Nasal Flumazenil Administration)

  • 홍수진;김현정;염광원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441-446
    • /
    • 2001
  • 플루마제닐은 벤조다이아제핀계 약물의 길항제로서, 정주로를 통하여 체내에 투여된다. 그러나 정주로가 확보되지 않은 상태에서 플루마제닐의 길항작용이 필요할 때에는 정주로 이외의 체내 투여로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미다졸람으로 심진정을 유도한 후 플루마제닐의 경비투여로 인한 의식 상태의 가역을 임상시험하였다. 성인남녀 25명을 대상으로 미다졸람을 소량씩 0.08mg/kg까지 투여하여 의식소실을 유도하였다. 미다졸람 투여 10분 후 플루마제닐 0.5mg을 1분 동안 주사기를 이용하여 천천히 경비투여하였다. 환자감시에는 심전도, 자동혈압계, 호기말 이산화 탄소분압 백박산소포화도 등을 사용하였다. 진정의 정도는 진정점수와 뇌파감시를 이용한 bispectral index로 평가하였다. 플루마제닐 투여 직전에 미다졸람과 플루마제닐의 혈중 농도를, 플루마제닐 투여 후 5, 10, 및 20분 후에 혈청 플루마제닐 농도를 측정하였다. 플루마제닐의 경비투여 후 완전한 길항효과를 나타낸 경우는 전체 25명 중 2명이었다. 혈청 플루마제닐의 농도는 투여 10분 후에 최고치에 도달하였고, 20분간 지속되었다. 진정점수는 미다졸람 투여 후 증가한 뒤 플루마제닐 투여 후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그러나 bispectral index는 미다졸람 투여 후 시간경과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플루마제닐 투여후에는 유의 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0.1m/ml 농도의 플루마제닐 0.5mg 경비투여는 미다졸람으로 유도된 심진정시 길항효과가 완전하지 않았으나, 경비투여 후 혈액에서 플루마제닐의 농도측정이 가능하였다는 결과는 임상사용 가능성을 제시하며 정주용으로 사용되는 플루마제닐의 농도가 낮은 점을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제재의 고안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lis 단독 배양시 ml당 $2.1\times10^8$ 이었으나, S. oralis와 4주의 분리균주 혼합 배양시 S. oralis는 $1.4\times10^7$ 내지 $7.0\times10^7$으로 감소되었다. 6. 3주의 분리균주로 부터 약 60 kb의 plasmid를 분리 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구강에서 분리된 E. durans는 S. mutans의 증식을 억제하여 인공치태 형성을 저지하였고, S. oralis의 증식은 약간 억제하였다.5), II군과 I군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0.05). 본 실험에서 시도한 두 가지 진정요법이 비교적 높은 임상적 치료 성공률(II군 : 97.14%, III군 : 88.57%)을 보여 만족할 만한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평가되었다.tosan film보다 큰 수증기 투과도를 보였다.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y tissue layer thinning은 3 군모두에서 관찰되었고 항암 3 일군이 가장 심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실험결과를 보면 술전 항암제투여가 초기에 시행한 경우에는 조직의 치유에 초기 5 일정도까지는 영향을 미치나 7 일이 지나면 정상범주로 회복함을 알수 있었고 실험결과 항암제 투여후 3 일째 피판 형성한 군에서 피판치유가 늦어진 것으로 관찰되어 인체에서 항암 투여후 수술시기는 인체면역계가 회복하는 시기를 3주이상 경과후 적어도 4주째 수술시기를 정하는 것이 유리하리라 생각되었다.한 복합레진은 개발의 초기단계이며, 물성의 증가를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또 다른 약물인 glycyrrhetinic acid($100{\mu}M$)도 CCh 자극으로 인한 타액분비를 억제하였다. 이상의

  • PDF

저신장 소아에서 성장호르몬 치료가 두개안면골 성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growth hormone treatment on craniofacial growth in short stature children)

  • 정성호;김진욱;박용훈;황충주;이희경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27-238
    • /
    • 2010
  • 저신장이란 같은 연령 및 성별 소아들의 표준 신장 평균치에서 -2.0 SD 이하인 경우를 말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저신장 소아의 두개안면골격의 특성을 분석하고, 성장호르몬 치료가 신장을 성장시킴과 동시에 두개안면골격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함이다.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소아청소년과에서 저신장으로 진단받은 소아를 대상으로 성장 호르몬 치료 전 그리고 치료 후 1년, 2년 후 총 3회 측모 두부 방사선 규격 사진의 촬영을 시행하였다. 대조군은 경북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교정과에 소장된 한국인 평균 신장의 2 표준오차 내의 아동들을 대상으로 측모 두부 방사선 규격사진을 2년마다 10년간 촬영한 자료를 이용하여 저신장 소아의 연령과 성별을 기준으로 짝진 표집(paired sampling)을 하였다. 성장 호르몬 치료 전 저신장 소아는 작고 후퇴된 하악골과 편평한 두개저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장 호르몬 치료 후 anterior, posterior cranial base length, upper posterior facial height, lower anterior facial height, posterior total facial height, mandibular ramus length, mandibular corpus length와 overall mandibular length 성장량이 정상군에서의 2년 성장량과 비교했을 때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도 계측에서는 saddle angle, mandibular plane angle과 ANB변화량이 정상군에서의 2년 성장량과 비교했을 때 큰 변화를 보이며 정상군의 평균치를 따라잡는 경향을 보였다. 성장 호르몬 치료는 불균형적인 성장의 징후 없이 정상화를 향한 성장(따라잡기 성장)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특히 하악과두의 성장과 후안면고경의 성장을 촉진시켜 저신장 소아의 convex한 profile을 완화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기존 구강청결제를 대체할 수 있는 치아우식 예방을 위한 전기분해수 (Neutral Electrolyzed Water for Prevention of Dental Caries)

  • 이기암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306-312
    • /
    • 2016
  • 치아우식은 Streptococcus mutans와 S. sobrinus가 주요 원인균이며,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 구강 청결제를 사용한다. 그러나 구강청결제의 부작용 및 해로움으로 인하여 소아에게 권장하기에 주위를 요한다. 전기 분해수는 물을 전극을 통해서 전류를 흘려주어 생성되는 용액으로 항균력을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전기 분해수를 구강 청결제 대용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치아 우식원성 세균 및 바이오 필름에 대한 항균력을 조사하였다. 염화나트륨이 포함된 증류수를 백금전극을 이용하여 전기 분해수를 생성하였다. 전기분해 수소수의 물리화학적 성분을 분석하고 S. mutans 및 S. sobrinus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세균을 얻고 전기 분해수, 알코올 및 불소가 포함된 구강 청결제를 처리하고 살아있는 세균 수를 배양을 통해서 조사하였다. 또한 치아우식균의 바이오 필름을 형성시킨 후, 전기 분해수 및 구강 청결제를 처리하여 바이오 필름 제거능을 크리스탈 바이올렛 염색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바이오 필름 내 살아있는 세균수의 양은 배양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전기분해수는 높은 농도의 자유염소 (free chlorine)을 포함하고 중성 페하를 보였다. 전기 분해수는 유의하게 S. mutans 및 S. sobrinus에 대해서 항균력을 보였으며, 이 세균들의 바이오 필름 제거능 및 바이오 필름 내 세균에 대해서도 항균력을 보였다. 전기 분해수는 부유세균에 대해서 알코올이 포함된 구강청결제보다 약한 항균력을 보였지만, 바이오 필름 세균에 대해서는 더 강한 항균력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중성 전기 분해수는 치아우식 예방을 위한 기존 구강 청결제의 대체 용액으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백두옹 추출물이 Streptococcus mutans의 비수용성 글루칸형성 및 부착억제에 미치는 영향 (Inhibitory Effects of Radix Pulsatillae Extract on Insoluble Glucan Synthesis and Adhesion of Streptococcus mutans)

  • 김강주;박복임;민재홍;채민석;임재유;손혁진;이기훈;안소연;전병훈;최나영;유용욱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27-32
    • /
    • 2016
  • Streptococcus mutans plays a virtal role in trigering dental caries establishment due to its ability to synthesize two significant factors. The two factors are organic acids and glucans. The former demineralized dental enamel and the latter mediates the attachment of bacteria to tooth surface. It is believed that demineralization of dental enamel and attachment of bacteria are the crucial events that indicate and develop dental caries. For this reason, we studied the effect of the ethanol extracts of Radix Pulsatillae on the growth and acid production of S. mutans. Ethanol extracts of the Radix Pulsatillae showed concentration dependent inhibitory activity against the growth and acid production of S. mutans, and produced significant inhibitio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s (p<0.05). The extracts inhibited S. mutans adherence to hydroxyapatite treated with saliva, and cell adherence was repressed by Radix Pulsatillae. the ethanol extract of Radix Pulsatillae showed remarkable inhibition of glucosyltransferase, which synthesizes water insoluble glucan form sucrose. Phytochemical analysis showed Radix Pulsatillae contained major components such as phenolic compounds, glycosides, steroids, terpenoid, and saponin. These results suggest that Radix Pulsatillae may have anti-cariogenic properties, which may be related with major components such as phenolic compounds, glycosides, steroids, terpenoid, and saponin.

한국인(韓國人) 영구치(永久齒) 맹출시기(萌出時期)에 관(關)한 통계학적(統計學的) 연구(硏究) (STATISTIC STUDY ON ERUPTION TIME OF PERMANENT TEETH IN KOREA)

  • 문제원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5-39
    • /
    • 1984
  • The author has sought to determine the time and the sequence of permanent teeth eruption in Korean children. The study group consisted of 15,671 healthy children (male 8,015 ; female 7,656) aged 5-13 years old who lived in Seoul or Cheongju.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eruption times of permanent teeth were 0.45 years earlier in females than in males. 2. The ages corresponding to $ER_{50}$ of permanent teeth were as follows : In Maxilla 1) central incisor was 7.37 yrs 2) lateral incisor was 8.50 yrs 3) canine was 10.83 yrs 4) 1st premolar was 10.30 yrs 5) 2nd premolar was 11.09 yrs 6) 1st molar was 6.49 yrs 7) 2nd molar was 12.79 yrs In Mandible 1) central incisor was 6.40 yrs 2) lateral incisor was 7.41 yrs 3) canine was 10.18 yrs 4) 1st premolar was 10.26 yrs 5) 2nd premolar was 11.15 yrs 6) 1st molar was 6.32 yrs 7) 2nd molar was 12.05 yrs 3. The eruption sequence of permanent teeth by Z-test was as follow: In Male 1st : Mandibular 1st molar, and Mandibular central incisor 2nd : Maxillary 1st molar 3rd : Maxillary central incisor 4th : Mandibular lateral incisor 5th : Maxillary lateral incisor 6th : Mandibular canine, Maxillary and Mandibular 1st premolar 7th : Maxillary canine 8th : Maxillary and Mandibular 2nd premolar 9th : Mandibular 2nd molar 10th : Maxillary 2nd molar In Female 1st : Mandibular 1st molar, and Mandibular central incisor 2nd : Maxillary 1st molar 3rd : Mandibular lateral incisor, Maxillary central incisor 4th : Maxillary lateral incisor 5th : Mandibular canine, Maxillary and Mandibular 1st premolar 6th : Maxillary canine 7th : Maxillary and Mandibular 2nd premolar 8th : Mandibular 2nd molar 9th : Maxillary 2nd molar 4. The corresponding permanent teeth in the mandible generally erupted earlier than the corresponding permanent teeth in the maxilla by an average of 0.73 years, but the mean eruption time of mandibular 1st premolars was almost the same as those of maxillary 1st premolars, and the mean eruption time of mandibular 2nd premolars was 0.06 years later than those of maxillary 2nd premolars. 5.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left and right arch in the eruption time and sequence. 6. Generally, the ages of permanent teeth eruption tended to be earlier than those of Dr. Cha's data from 1963.

  • PDF

한국 어린이의 골격적 부정교합에 따른 골 성숙도와 치아의 성숙도 비교 (Comparison of Dental Age and Skeletal Maturity in Korean Children with Skeletal Malocclusion)

  • 김지연;오소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25-232
    • /
    • 2014
  • 이 논문의 목적은 골 성숙도와 치아의 성숙도를 골격적 부정교합에 따라 관련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6세에서 14세에 이르는 총 192명의 환자(89명의 남자, 103명의 여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측모 두부 방사선 사진,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 수완부 방사선 사진을 사용하였고 심한 질환을 가진 경우는 제외하였다. 통계는 이분법, chi-squar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ndependent t-test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견치, 제1대구치, 제2대구치의 석회화는 골 성숙도와 연관성(p < 0.05)을 보였고 또한 골 성숙도가 높은 경우, 여자어린이 일 경우가 11.43배 높았다(p < 0.001). class II 부정교합일 경우, 견치, 제1소구치, 제1대구치, 제2대구치의 치아 석회화 정도가 class III 부정교합자에 비해 높았다(p < 0.05). 치아의 석회화와 골 성숙도의 연관성은 높았으며 class II와 class III 부정교합환자의 치아의 성숙도는 치아에 따라 다른 성숙도를 보였다.

일부 치과위생사 임상업무분야에 관한 경력별 기대수행업무 연구 (Some dental hygienist by career expectations regarding clinical work done in the field of business studies)

  • 안세연;오보경;황선희;유영숙;김선경;강부월;이선미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543-552
    • /
    • 2013
  • Objectives : The aim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job performance expectations according to duration of work and to specify the clinical practice of dental hygienists by career expectations. Methods : The subjects were 310 dental hygienists in Seoul and Incheon. They completed the self-reported questionnaires and 304 data were analyzed except incomplete 6 answers. Results : The tasks performed by dental hygienists were as follows ; SS crown restoration in pediatric dentistry accounted for 25.1%, orthodontics (42.1 %), plaque removal (71.4 %), temporary fillings (60.5%), and impression taking of abutments and bite registration (58.9%). In order to be a skillful dental hygienists, it took two to three years of clinical filed work. Conclusions : On the job training (OJT) is the most important in dental hygiene curricula. So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OJT performance skill.

WASP 유전자의 Exon 2에서 새로운 돌연변이를 가진 Wiskott-Aldrich 증후군의 1례 (A Case of Wiskott-Aldrich Syndrome with Novel Mutation in Exon 2 of the WASP Gene)

  • 이혁;박정인;김선영;문경희;이호근;황평한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5호
    • /
    • pp.551-556
    • /
    • 2005
  • 저자들은 혈소판 평균용적 및 혈소판 수의 감소, 심한 아토피 피부염 및 반복 감염을 임상적 증상으로 추정 진단된 WAS 환아로부터 WAS의 확진에 필수적인 분자학적 분석을 실시하여 WASP 단백질의 발현이 감소되어 있으며, WASP 유전자의 Exon 2, 번역 개시점으로부터 208번째의 염기서열 구아닌(g)이 아데닌(a)으로 변이되어 70번째 아미노산인 글라이신(Gly)이 알지닌(Arg)으로 변화된 missense 변이(G70A)를 발견하여 확진된 WAS 환자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