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diatric Dentistry

검색결과 2,536건 처리시간 0.032초

유치레진치의 전치부 색조연구 (A STUDY ON THE COLORS OF THE ANTERIOR PRIMARY RESIN TEETH)

  • 현홍근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639-645
    • /
    • 2007
  • 유전치의 조기상실시 가철성 또는 고정성 공간유지장치의 제작이 필요하며, 보다 심미적인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자연치아의 색조에 부합하는 레진치의 사용이 요구된다.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유치레진치는 Resin Natural $Teeth^{TM}$ (Nissin dental, Japan)로, A형 1번 색조와 A형 2번 색조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는 유치레진치의 전치부 색조특성을 이해하고 자연치아와의 색조비교를 위한 기본 자료를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A1 색조군과 A2 색조군의 유치레진치의 상악 4전치부의 순면을 각각 17 set에 대해 치아분광측색장치(spectrophotometer)인 ShadeEye $NCC^{TM}$(Shofu, Japan)로 각 3회씩 측정하여 CIE 표색계의 $L^*,\;a^*,\;b^*$ 값을 구하고 Kruskall-Wallis Test, Mann-Whitney U Test를 이용해 95%의 신뢰도(P<0.05)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Delta}E$값 및 $L^*$값, $b^*$값의 분포로 볼 때, A1 색조군이 A2 색조군보다 치아위치별 색조차이가 작았다. 각 색조군내에서 $a^*$값의 치아위치별 색조차이는 거의 없었다(P>0.05). 2. A1 및 A2 색조군내에서의 ${\Delta}E$값이 매우 작아(최대 ${\Delta}E{\le}1.23$) 육안으로 그 차이를 구분하기 어려운 것으로 보이며, A1과 A2 색조군의 대표값 간의 ${\Delta}E$값은 3.97로 육안으로 군 간의 차이를 구분할 수 있었다. 3. A1 색조군의 측정평균값은 $L^*=73.8$, $a^*=-1.8$, $b^*=-4.7$이었으며, A2 색조군의 측정평균값은 $L^*=75.8$, $a^*=-2.7$, $b^*=-1.4$이었다. 향후 자연 유전치에 대한 색조특성을 연구하여 본 결과와의 차이점을 비교해 색조적합성이 좋은 레진치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유동성 자이오머와 복합 레진의 압축 강도 및 표면 미세 경도 비교 (COMPARISON OF COMPRESSIVE STRENGTH AND SURFACE MICROHARDNESS BETWEEN FLOWABLE COMPOSITE RESIN AND GIOMER)

  • 김종수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83-388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유동성 자이오머인 Beautifil flow와 유동성 복합레진인 $Filtek^{TM}$ Z350, Z350XT의 압축강도와 표면 미세경도를 비교 평가하는 것이었다. 각각의 재료를 사용하여 15개의 시편을 제작하였다. 만능시험기를 사용하여 초 당 1 mm 횡단 속도 하에서 압축강도를 측정하였으며, 표면 미세경도는 보압 시간 10초 조건하에서 4.9 N의 힘을 가해 비커스 경도를 측정하였다. 압축 강도 측정 결과 2군인 $Filtek^{TM}$ Z350XT는 $218.7{\pm}18.4$ MPa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고, 1군인 $Filtek^{TM}$ Z350은 $205.5{\pm}27.1$ MPa로 나타났다. 3군인 Beautifil flow F00는 $176.5{\pm}30.3$ MPa이었으며, 4군인 Beautifil flow F10의 압축 강도는 $173.4{\pm}26.2$ MPa이었다. 2군이 3군과 4군에 대해 통계학적 유의차를 보였다(p < 0.05). 표면 미세 경도 측정값은 2군 $Filtek^{TM}$ Z350XT가 $39.1{\pm}2.1$로 가장 높은 값을, 4군 Beautifil flow F10가 $27.9{\pm}1.8$으로 다음으로 높았고, 3군 Beautifil flow F00가 $23.1{\pm}1.1$, 1군 $Filtek^{TM}$ Z350이 $20.4{\pm}0.9$로 측정되었다. 모든 군 간에 통계학적 유의차를 보였다(p < 0.05). 결론적으로, 유동성 자이오머의 압축강도는 복합레진에 비해 낮지만, 표면 미세경도는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자이오머의 압축 강도가 보완된다면 임상에서 복합 레진의 좋은 대체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시효처리가 복합레진 수복물의 미세누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Aging Treatment for Microleakage within Composite Resin Restoration)

  • 유승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83-295
    • /
    • 2013
  • 본 연구는 시효처리가 세 가지 상아질 접착제의 미세누출에 미치는 영향을 MicroCT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5세대 상아질 접착제인 Adper$^{TM}$ Single bond Plus(3M-ESPE, USA)와 6세대 상아질 접착제인 AdheSE$^{(R)}$(Ivoclar Vivadent, Lichtenstein)와 Adper$^{TM}$ Prompt$^{TM}$ L-Pop$^{TM}$(3M-ESPE, USA)을 이용하였다. 세 가지 상아질 접착제를 이용하여 3MESPE 사의 Filtek$^{TM}$ Z250을 V급 와동에 수복하고 24시간 생리식염수에 보관한 군(I군), 열 순환을 시행한 군(II군), 인공 칫솔질 법을 적용한 군(III군), 인공 타액에 6개월간 보관한 군(IV군)으로 분류하였다. Adper$^{TM}$ Single bond Plus를 이용한 시편은 II군과 III군에서 미세누출의 양이 늘어났으며 IV군에서 감소하였다. I군에 비해 II군이 많은 미세누출을 보였으며(p < 0.05), II군과 III군에 비하여 IV에서 적은 미세누출을 보였다(p < 0.05). AdheSE$^{(R)}$를 이용한 시편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 > 0.05). Adper$^{TM}$ Prompt$^{TM}$ L-Pop$^{TM}$을 이용한 시편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 > 0.05). I군에서는 AdheSE$^{(R)}$가 Adper$^{TM}$ Single bond Plus와 Adper$^{TM}$ Prompt$^{TM}$ L-Pop$^{TM}$에 비해 미세누출이 많다(p < 0.05). II군에서는 상아질 접착제간 차이가 없었다(p > 0.05). III군에서는 AdheSE$^{(R)}$가 Adper$^{TM}$ Single bond Plus와 Adper$^{TM}$ Prompt$^{TM}$ L-Pop$^{TM}$에 비해 미세누출이 많았다(p < 0.05). IV군에서는 Adper$^{TM}$ Single bond Plus에 비해 AdheSE$^{(R)}$와 Adper$^{TM}$ Prompt$^{TM}$ L-Pop$^{TM}$의 미세누출이 많았다(p < 0.05).

Improved postoperative recovery profile in pediatric oral rehabilitation with low-dose dexmedetomidine as an opioid substitute for general anesthesia: a randomized double-blind clinical trial

  • Naveen, Naik B;Jaiswal, Manoj Kumar;Ganesh, Venkata;Singh, Ajay;Meena, Shyam Charan;Amburu, Vamsidhar;Soni, Shiv Lal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22권5호
    • /
    • pp.357-367
    • /
    • 2022
  • Background: Low-dose dexmedetomidine may be a suitable alternative to opioids for pediatric ambulatory procedures under general anesthesia (GA). However, the recovery profile remains unclear. Herein, we ai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low-dose dexmedetomidine on the recovery profile of children. Methods: Seventy-two children undergoing ambulatory oral rehabilitation under GA were randomly and equally distributed into two groups (D and F). Group D received an infusion of dexmedetomidine 0.25 ㎍/kg for 4 min for induction, followed by maintenance of 0.4 ㎍/kg/h. Group F received an infusion of fentanyl 1 ㎍/kg over 4 min for induction, followed by maintenance at 1 ㎍/kg/h. The primary outcome was the extubation time. The secondary outcomes were awakening time, end-tidal sevoflurane (ET-Sevo) requirement, change in hemodynamic parameters, Richmond Agitation-Sedation Scale (RASS), Children's Hospital of Eastern Ontario pain scale (CHEOPS) score, length of PACU stay, and incidence of adverse events. Result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recovery profile between the groups: the median time for extubation was 3.65 (3.44-6.2) vs. 6.25 (4.21-7) minutes in groups D vs. F (P=0.001), respectively, while the corresponding awakening times were 19 (18.75-21) and 22.5 (22-24) minutes, respectively (P < 0.001). The mean ET-Sevo was low in group D (1.1 vs. 1.2; P < 0.001). The heart rate was significantly low across all time points in group D, without resulting in bradycardia. The median RASS and CHEOPS scores were also significantly lower in group D.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mean arterial pressure, incidence of adverse events, or length of PACU stay. Conclusion: Low-dose dexmedetomidine was more effective than fentanyl as an opioid substitute at providing a better recovery profile in pediatric ambulatory oral rehabilitation under GA. Dexmedetomidine also significantly reduced sevoflurane consumption without causing adverse events or prolonging hospital stay.

기계적 삭제방법을 이용한 치면열구전색제의 열구 침투도 및 미세누출 (THE FISSURE PENETRATION AND MICROLEAKAGE OF PIT AND FISSURE SEALANT WITH MECHANICAL PREPARATION)

  • 김지연;이제호;박기태;김성오;최병재;손흥규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64-173
    • /
    • 2005
  • 교합면 치아우식 예방을 위한 치면열구전색제 도포시 열구내 유기물, 치태, 법랑질 잔사 등을 제거하여 전색제의 유지율을 증가시키고자 기계적 삭제 방법이 소개되었다. 기계적 삭제방법을 사용할 경우 산부식 방법만을 사용하였을 때와 비교하여 치면열구전색제의 열구 침투도 및 미세누출정도의 차이는 임상적인 측면에서 중요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기계적 삭제방법(소와열구 삭제 후 산부식)과 산부식 방법을 시행한 후, 각각 unfilled sealant와 filled sealant를 처치하고 이들 치면열구전색제의 열구 침투도와 미세누출 정도를 측정하였다. 교정치료를 목적으로 발거된 사람의 소구치 60개를 실험재료로 사용하였으며 그중 30개는 산부식 처리하고 나머지 30개는 소와열구의 기계적 삭제와 산부식 처리를 시행한 후 각각의 방법에서 15개는 unfilled sealant로 나머지 15개는 filled sealant로 수복하였다. Thermocycling($5^{\circ}C$$55^{\circ}C$ 1200회)을 시행하고 5% methylene blue 용액에 24시간 보관하였다가 각각의 치아를 근심소와와 원심소와에서 협설 방향으로 절단하여 120개의 절단면을 얻었다. 각 절단면을 Measurescope으로 관찰한 결과, 기계적 삭제 방법은 산부식만을 시행한 경우에 비하여 unfilled sealant와 filled sealant 모두 열구 침투도를 증가시켰다(P < 0.05). 기계적 삭제 방법을 사용한 경우 산부식 방법만을 사용하고 unfilled sealant로 수복한 경우에 비하여 미세누출이 적었고(P < 0.05), 산부식 방법만을 사용하고 filled sealant로 수복한 경우와는 미세누출에 차이가 없었다. Unfilled sealant와 filled sealant는 기계적 삭제 방법을 사용한 경우와 산부식 방법만을 사용한 경우 모두 열구 침투도나 미세누출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치면열구전색제 도포 시 열구 침투도가 우수하고 미세누출이 적은 기계적 삭제 방법과 물리적 성질이 우수한 filled sealant의 사용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미세누출에 있어 교합력을 고려한 실험이나 장기간의 임상실험이 필요할 것이다.

  • PDF

Glycoproteins Contained within Soamsan, a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 are the Main Class of Active Ingredients Responsible for the Medicine-induced Immune Stimulation

  • Lee, Jeong-Chae;Lee, Kyung-Yeol;Jung, Ha-Na;Kim, Jae-Gon;Jang, Yong-Suk
    • BMB Reports
    • /
    • 제38권2호
    • /
    • pp.253-257
    • /
    • 2005
  • In our previous study, Soamsan, a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 was shown to enhance the induction of antigen-specific immune responses, and it was speculated that the enhancing activity might be closely associated with glycoproteins contained within the medicine. To elucidate this speculation, protein samples from each component, used in the preparation of Soamsan, were obtained and their immune stimulating activities were tested with mouse splenocytes. All the samples markedly enhanced the lymphocyte proliferation and cytokine secretion by the mouse splenocytes. In particular, the enhancement was significantly higher with the protein sample treatments than with those of the original crude sample. Furthermore, the pronase E- and $NaIO_4$-mediated inhibition of splenocyte-stimulation activity of the protein samples clearly supported that glycoproteins are the main class of active ingredients responsible for the lymphocyte stimulating activity of the samples. Consequently, our findings suggest that glycoproteins might have a pivotal role in Soamsan-mediated immune modulation, although the in vivo effect of the glycoproteins should be further elucidated.

Pelizaeus-Merzbacher 병 환자의 외래전신마취 하 치과치료 -증례보고- (Dental Treatment of a Patient with Pelizaeus-Merzbacher Disease under Outpatient General Anesthesia -A Case Report-)

  • 김태경;신차욱;김현정;염광원;서광석
    • 대한치과마취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8-21
    • /
    • 2007
  • Pelizaeus-Merzbacher disease (PMD) can be defined as an X-linked recessive leukodystrophy that is caused by a mutation in the proteolipid protein gene on chromosome Xq22. PMD is one of a group of progressive, 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rebral white matter known as the leukodystrophies. Due to the progressive nature of the disorders and their devastating effects on the central nervous system, these children frequently require anesthesia during imaging procedures such as MRI or during various surgical procedures. Anesthetic concerns in theses cases include high prevalence of seizure disorders, gastroesophageal reflux with the risk of aspiration, airway complications related to poor pharyngeal muscle control and copious oral secretions, and mental retardation. We report a successful anesthetic management in a patient with PMD for dental procedures.

  • PDF

Hallervorden-Spatz 병 환자의 전신마취 하 치과치료 -증례보고- (Dental Treatment of a Patient with Hallervorden-Spatz Disease under General Anesthesia -A Case Report-)

  • 이용기;서광석;김현정;염광원;안병덕
    • 대한치과마취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35-138
    • /
    • 2007
  • Hallervorden-Spatz disease (HSD) is a rare autosomal recessive disorder associated with excessive iron deposition in the basal ganglia. In general, HSD is characterized by onset in first two decade of life and by the presence of extra-pyramidal dysfunction including dystonia, rigidity, choreoathetosis. Other associated features include gait and posture disturbance, intellectual decline, seizure, tremor, dysarthria. These signs and symptoms are progressive. MRI is often demonstrated hypodensity in the basal ganglia which is probably suggestive of accumulation of iron. There is no specific treatment for HSD and 45% of patients die before reaching the age of 20 years. The managements directed at specific symptoms are often helpful. Especially, some surgical procedures like pallidotomy and gastrostomy are performed under general anesthesia. There is special need for careful management because of numerous anesthetic challenges like difficulty in cooperation, life-threatening airway obstruction and possibility of aspiration. We report a successful anesthetic management in a patient with HSD for dental procedures.

  • PDF

하악골 골절 치료를 위한 miniplate와 관련된 매복견치의 치험례 (The treatment of an impacted canine related with a miniplate inserted for mandibular fracture)

  • 황상희;박효상;권대근;남기영;김종배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48-152
    • /
    • 2005
  • 하악 좌측 견치의 미맹출을 주소로 내원한 10세 여환의 과거 병력 조사 중 3년 전 교통사고로 하악 좌측 골체부에 골절이 생겨 miniplate로 관혈적 정복술을 시행받은 것을 발견하였다. 통상적인 외과적 노출과 교정적 견인치료로는 견치 맹출에 실패하였고, miniplate를 제거함으로써 정상적인 매복 견치 맹출에 성공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Maxillary ameloblastoma in an 8-year-old child: A case report with a review of the literature

  • Sheela, Sangeetharaj;Singer, Steven R.;Braidy, Hani F.;Alhatem, Albert;Creanga, Adriana G.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49권3호
    • /
    • pp.241-249
    • /
    • 2019
  • Ameloblastoma is a benign locally invasive tumor with a high tendency to recur. It is considered rare in the pediatric population, with most cases diagnosed in the third to fifth decades of life. Approximately 80% of ameloblastomas occur in the molar and ramus region of the mandible, while 20% of cases occur in the maxillary posterior region. This report presents a case of plexiform ameloblastoma in an uncommon location in an 8-year-old child. The lesion was initially thought to be a dentigerous cyst, based on its location and radiographic appearance. The clinical and radiographic features, histopathology, and treatment of solid, plexiform, maxillary ameloblastoma are reviewed, with an added emphasis on a literature review of ameloblastoma in children. This report emphasize the importance of long-term follow-up, since recurrence may occur many years after initial tumor remov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