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destrian space

검색결과 291건 처리시간 0.028초

보행자 보호를 위한 안전 후드 개발 (Development of Safe Hood for Pedestrian Protection)

  • 김태정;홍승현;이두환;한도석
    • 한국소성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성가공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45-346
    • /
    • 2008
  • Most pedestrian-vehicle crashes involve frontal impacts, and the vehicle front structures are responsible for most pedestrian injuries. The vehicle bumper contacts the lower legs at first. The leading edge of the hood (bonnet) strikes the proximal upper leg and finally, the head and upper torso hit the top surface of the hood or windscreen. In essence, the pedestrian wraps around the front of the vehicle until pedestrian and vehicle are traveling at the same speed. Since the hood surface is made from sheet metal, it is a relatively compliant structure and does not pose a major risk for severe head trauma. However, serious head injury can occur when the head hits a region of the hood with stiff underlying structures such as engine components. The solution is to provide sufficient clearance between the hood and underlying structures for controlled deceleration of a pedestrian's head. However, considerations of aerodynamic design and styling can make it extremely difficult to alter a vehicle's front end geometry to provide more under-hood space. In this study, the safe hood will be developed by designing new conceptual inner panel in order to decrease the pedestrian's head injuries without changing hood outer geometry.

  • PDF

횡단보도와 횡단보도 정지선간 이격공간에서의 과실상계 연구 (Contributory Negligence Study on Traffic Accident in Area Between Crosswalk and Stop Line at Intersections)

  • 신성훈;장명순;김남현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41-48
    • /
    • 2003
  • 한국손해사정인 협회의 자동차 사고 손해사정 가이드(1999년 개정판)에 나와있는 횡단보도 부근의 정의를 살펴보면 "간선도로가 아닌 경우에는 횡단보도로부터 15m 이내의 장소를 말하며, 간선도로인 경우에는 횡단보도로부터 25m 이내의 장소"로 정의하고 있다. 횡단보도와 정지선 사이에서 발생한 사고는 횡단보도 부근의 사고로 분류가 된다. 현행 법령과, 법원 판례를 검토한 결과 3가지 교통사고 장소 즉, 횡단보도. 횡단보도 부근, 횡단보도와 정지선 사이의 이격공간에서 발생되는 교통사고는 과실상계에 있어서 차별성을 두어야 한다고 판단되어 차별성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횡단보도와 정지선 사이의 이격공간에서 발생되는 교통사고에 대한 과실상계에 대하여 대한교통학회 회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아래와 같은 사항이 도출되었다. (1) 현행 횡단보도 사고와 횡단보도 부근 사고로 분류되어 있는 2단계 분류를 횡단보도 사고, 횡단보도와 횡단 보도 정지선 사이의 이격공간 사고, 횡단보도 부근 사고의 3단계 분류로 바꿔야 한다. (2) 3단계로 분류된 과실상계의 순위는 횡단보도 사고의 보행자 기본 과실상계가 가장 낮으며, 다음으로 이격공간의 사고, 횡단보도 부근의 사고 순으로 되어야 한다. (3) 이격공간 사고의 보행자 기본 과실상계는 〈표 8〉, 〈표 9〉, 〈표 10〉과 같다. (4) 보행자 신호등이 적색 등화시 횡단보도 사고의 보행자 기본 과실상계는 횡단보도 부근 사고의 보행자 기본 과실상계보다 낮은 과실상계로 수정되어야 한다.

보행자 보호용 프론트 엔드 모듈(FEM)의 냉각성능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ooling Performance of Front End Module for Pedestrian Protection)

  • 신윤혁;김성철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20권6호
    • /
    • pp.67-72
    • /
    • 2012
  • Novel Front End Module(FEM) with improved pedestrian protection is very important to reduce the severity of pedestrian injury. The FEM needs to have enough space from hood to absorb the energy from any pedestrian collision. In this study, the cooling performance of the FEM to cool the engine was investigated under 25% height reduc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cooling performance analysis was about 86% level compared to that of the conventional FEM. Also, good qualitative agreement between CFD predictions and experimental measurements was found. This FEM needs the cooling performance enhancement for changed air flow path at the frontal part of vehicle. Therefore, we showed an improved performance using air guide setup and shape modification under the high load condition.

대규모 공원에서의 미아발생과 보행밀도와의 상관분석을 통한 미아발생 환경요인 도출 - 부산시민공원과 북서울 꿈의 숲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Child Loss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Child Loss and Pedestrian Density in Large-scale Parks - Focused on Busan Citizens Park and Dream Forest -)

  • 최소영;최재필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6권5호
    • /
    • pp.59-70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child loss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child loss and pedestrian density. The status of lost children was identified through the lost child records and interviews in large parks. In addition, the behavior survey was conducted by photographing the entire outdoor of each park, and visitors was marked on the behavioral maps. Also, the pedestrian density was analyzed by GIS as 100㎡ and 1㎡ grid. As a result, child loss was related to the pedestrian density rather than the number of visitors or the area. Especially, 'Dynamic pedestrian density' and 'Ratio of pedestrian in high density to area' was related to child loss. In other words, the more dynamic behaviors such as play and movement appear, and the more the local area of high density,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child loss. In addition, environmental factors that induce such high density include bottlenecks, overlap of circulation due to multi-functionality of space, concentration of rides, and concentration of guardians due to visual obstacles.

미시적 교통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보행자도로 서비스 수준 평가 (Level of Service Evaluation of Pedestrian Road Using Micro-Simulation)

  • 박순용;조혜림;조가영;윤일수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26-36
    • /
    • 2020
  • 보행자도로의 서비스 수준을 판단하는 평가지표인 보행 교통류율, 점유공간, 밀도, 속도 등의 정량적 자료를 산출하는 것은 많은 시간 소요와 경제적 부담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적절한 보행자 정책 수립을 위한 대체 대안으로 보행자의 미시적 경로 파악과 이를 활용한 서비스 수준 판단기술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철역인 역삼역을 중심으로 미시적 교통류 분석 프로그램인 VISSIM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정산 및 검증을 통해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이를 통해 도로용량편람 상의 속도를 활용하여 보행자 도로의 서비스 수준을 판단해 보았다.

도심 엔터테인먼트형 복합상업시설 지하공간에 자연요소를 이용한 실내 환경디자인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pplication of the Interior Environmental Design Using Natural Elements in Underground Space of Urban Entertainment Center)

  • 하미경;김아현;이효창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2권2호
    • /
    • pp.157-166
    • /
    • 2013
  • The underground space of urban entertainment center can do various roles for urban development. Especially, the design of underground space using natural elements is necessary to sustainable development of fac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elements, characteristics and application around interior environmental design using natural elements in underground space of urban entertainment center. The research methods of this study are research references, survey and field-study. This study can be concluded as follows; First, the factors of interior environmental design using natural elements in underground space of urban entertainment center are 'landmarks expression of natural elements', 'introduction and planning of daylighting', 'planning of materials using natural images', 'planning of ecological footpath' and 'planning of energy recycling'. Second, pedestrian space and openspace considering regional context are necessary. Third, introduction of daylight and design of artificial lighting in underground space are needed to making eco-friendly environment. Fourth, landmark design using various natural elements in underground space is needed to provide eco-friendly amenity. Fifth, the interior environmental design using natural elements is needed to community space in underground space. Sixth, eco-friendly pedestrian space in underground space is necessary. Seventh, interior environmental design using natural elements is needed to the entrance of underground space of urban entertainment center.

주민참여형 주거지 재생사업의 정비요소에 대한 고령 거주자의 중요도-만족도 분석 - 연남동 사업지구를 대상으로 -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of Elderly Residents on the Planned Elements of the Participatory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ing Projects - Focused on the Project of Yonnam-dong -)

  • 김아름;구자훈;이주림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4권6호
    • /
    • pp.103-110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perception of elderly residents o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ing projects and suggest the political implications. The survey include questionnaires about the importance and the satisfaction level on the project maintenance factors. The result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As the result of the study, firstly, it shows that 'the possible overkill area' on the IPA action grid includes none of factors except 'landscape' which is very similar to mean of performance score. the result of analysis means that the project is very efficient. Secondly, the policy is necessary to improve 'pedestrian passage', 'public open space' and 'transportation environment'. Considering elderly residents especially 'pedestrian passage' and 'public open space' are in need of improvement immediately. In detail 'traffic facility', building 'urban park' and 'pedestrian passage', 'paving of pedestrian passage', 'children's playground' are in need of improvement as well. The results of analysis on elderly and non-elderly residents of Yonnam project may be important foundation for future strategies for improvement.

군산 은파유원지 보행자 전용 미관교량 설계 (Bridge Design for a pedestrian of Eunpa amusement park in Kunsan)

  • 김병옥;이상락
    • 디자인학연구
    • /
    • 제18권3호
    • /
    • pp.161-170
    • /
    • 2005
  • 본 연구는 군산시의 은파유원지내에 설치되는 교량에 관한 기본계획 및 실시설계에 관한 연구이다. 본 교량은 기존에 설치되었던 차량위주의 교량이 아닌 보행자를 위한 보행자 전용교량으로 주변경관과의 조화 및 통과자의 커뮤니케이션 행태와 지역의 역사문화를 고려하여 접근되었다. 이것은 기존의 교량들이 기능적인 요소에 중점을 두어 계획되었던 것과는 다르게 진행하는 통과자의 관점과 지역문화진흥 관점에서 계획되었으므로 공간내에서 인간과 커뮤니케이션 행위와 지역과의 상호작용을 이해하는 사례가 될 것이다. 본 연구의 노선계획 및 교량의 형식과 규모, 주탑의 형식 그리고 그 안에 설치되는 다양한 공간들의 구성방법 및 부대시설들을 통해 경관과 인간행태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대상 지역문화의 활성화를 모색하고 교량설계에 있어 새로운 접근방법을 시도했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하겠다.

  • PDF

공간구문론을 활용한 전통마을 여가공간의 보행동선 분석 - 외암민속마을을 사례로 - (Visitor Circulation in Leisure Spaces using Space Syntax - Focusing on Ouam Traditional Folk Village -)

  • 송나균;여정태;고동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8
    • /
    • 2009
  • 여가공간에서의 경험은 이용객들이 움직이는 동안 직접적이고 연속적인 시각적 접촉을 통해 형성된다. 이용객의 움직임은 획득하는 지식과 정보의 양을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이다. 따라서 이용객의 움직임을 고려한 보행동선은 시설이용을 용이하게 하여 쾌적하고 활력적인 공간을 조성하는 필수적인 요소이다. 합리적인 동선계획은 공간의 이용 및 활성화, 만족도에 영향을 주고, 궁극적으로 공간의 이용가치를 증대시키는 수단이고, 무질서한 동선체계는 길찾기(wayfinding)의 어려움으로 인해 부정적 경험을 유발한다. 본 연구는 공간구문론(Space Syntax)을 활용하여 여가공간의 공간구조 지표와 보행량의 상관관계, 방문객의 움직임 등 보행동선 체계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지인 외암마을은 민속마을로 지정되어 많은 관람객이 방문하는 전통마을로 정주공간이 여가공간으로 이용되고 있는 대표적 사례이다. 연구 결과, 외암마을의 보행동선 구조는 전형적인 트리(tree)구조를 지니고 있어 자연스러운 동선을 형성하고 있지만, 여가공간의 측면에서는 공간의 인지도가 낮아 방문객들이 공간체험 시 길을 잃을 위험이 많고, 경제적인 관람을 유도하기가 어려운 구조를 가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정주공간인 전통마을이 여가공간으로 이용되는 과정에서는 추가적으로 보행체계의 조정과 보충이 필요하다. 또한, 공간구문론은 다른 유형의 여가공간에서 공간구조 및 보행체계 분석에 적용할 필요가 있다.

보행 특성을 고려한 보행자 서비스수준 평가지표 개발: 홍익대학교 주변지역을 대상으로 (Development of Criteria for Determining Level of Service for Pedestrian Walkway Considering a Pedestrian Platoon: Focusing on the Hongik University Area)

  • 최성택;추상호;전나영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91-206
    • /
    • 2016
  • 보행자 행태는 개인의 사회 경제적 환경과 신체적 특성으로 인해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보행 지표는 다양한 표본을 통해 얻게 된 결과의 평균적인 값을 활용하게 된다. 그러나 개별 보행자의 보행 특성이 매우 다르다면 평균 값 또한 대표성을 갖기 힘들다. 본 연구에서 영상촬영을 통해 보행자를 관찰한 결과, 보행로 상에 뒤섞인 군집(platoon)이 보행 흐름에 큰 영향을 끼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보행로 상에 군집이 많이 섞여 있을수록 보행 흐름은 더욱 느려지고 보행공간은 혼잡해진다. 보행류율과 보행점유공간 등의 지표는 특정 시간동안 해당 보행로를 이용한 보행자수에 의해 정의된다. 따라서 군집의 비율이 높은 지점과 낮은 지점에서 동일한 수의 보행자가 관측되었다 하더라도 실질적인 보행 속도, 혼잡도 등은 큰 차이를 보일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현상을 관찰하여 보행 군집의 구성 비중이 높은 경우에 적용할 수 있는 별도의 보행자 서비스 수준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동일한 값의 보행류율을 보이는 두 개의 지점이라 해도 보행 군집의 영향에 의해 서비스 수준이 다르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