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destrian space

검색결과 291건 처리시간 0.03초

보행자 점유공간 현행화 및 대기공간 서비스수준 산정을 위한 개선 연구 (Study on the Enhancement of the Level of Service for the Pedestrian Queuing Area)

  • 윤정은;이경진;진형석;유희천;윤일수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3권1호
    • /
    • pp.1-12
    • /
    • 2024
  • 보행자시설은 자동차의 통행이 배제된 상태에서 보행자만의 통행을 위한 시설로서 보행자 도로, 계단, 대기공간 등이 있다. 보행자시설별 보행자 특성과 용량은 보행 통행체계의 설계 및 운영에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도로용량편람에서 보행자시설에 대한 용량과 서비스수준 분석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자동차 위주의 교통정책으로 인해 보행자시설에 대한 분석 방법은 상대적으로 발전이 더디며, 그 결과 현실적인 평가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변화된 도로교통 여건을 반영하고 보행자시설 중 대기공간에 대한 서비스수준 평가의 기준이 되는 인체타원에 한국인 인체 치수 변화를 반영함으로써 현행화된 점유공간을 제시하였다. 또한 새롭게 정의된 점유공간을 바탕으로 대기공간의 서비스수준에 대한 기준값을 새롭게 제시하였다. 현장조사 결과, 본 연구에서 제시한 서비스수준 기준값은 실제 보행 현황을 현실적으로 반영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안전성 제고를 위한 주거지역 도로공간 정비방향 (A study on improvement of road spaces in the residential area for the increase of safety)

  • 권용일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9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43-148
    • /
    • 2009
  • The pedestrian space of the stree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ublic places in the city. Sidewalks are the paths that everyone travels, and the spaces in which everyone comes together. By Whatever means they travel, everyone is ultimately a pedestrian during their journey through the residential area. Every year, more than six thousand Koreans are victimized by traffic accidents, and a half of them are pedestrians. This study aims at improving the pedestrian environment in residential area, and thus making road a walkable, pedestrian-friendly space. The study reviews the problems in the pedestrian environment of residential area and proposes improvement strategies.

  • PDF

Exploration of a New Method of Spatial Analysis to Predict the Pedestrian Pattern in the Circulation Spaces of Shopping Centers: The Case of Shenzhen

  • Bai, Xue;Yao, Shen
    • 국제초고층학회논문집
    • /
    • 제7권2호
    • /
    • pp.171-183
    • /
    • 2018
  • Turner and Penn (1) from UCL have proved that Visibility Graph Analysis (VGA) can be used as a more accurate method to predict the pedestrian distribution in building spaces. However, this methodology neglects certain elements that are of special influence on pedestrian distribution in buildings, especially the entrances and exits. Based on Space Syntax, this dissertation improves on the traditional method of Visibility Graph Analysis, using three shopping centers in Shenzhen as examples, attempts to explore a new parameter - "attenuation index of pedestrians at the entrances and exits" - using relevant data of the entrances and exits of the three cases, and combines it with traditional VGA analysis through weighted calculation, in order to provide more accurate predictions of pedestrian patterns in shopping centers.

공간구문론(Space Syntax)을 고려한 통합보행네트워크 통행배정모형 (A Pedestrian Network Assignment Model Considering Space Syntax)

  • 이미영;김종형;김은정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37-49
    • /
    • 2015
  • Space Syntax에서 개별링크의 통합도가 크면 네트워크에서 접근이 편리함을 나타낸다. 보행자가 통합도가 높은 링크들의 연결성을 경험하도록 보행로를 설계하거나 집적도가 높은 토지이용을 유도하는 것이 타당하다. 보행자 통행배정모형은 보행수요(보행자)의 불편도(통행거리 및 시간) 등을 최소화하는 경로선택을 반영한다. 이는 보행자의 불편을 최소화하는 실제 통행패턴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Space Syntax와 보행자 통행배정모형을 통합하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인천시 부평역을 대상으로 통합모형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부평역 주변은 통합도가 매우 높게 나타나나 보행전용구역인 역 북부지역은 상대적으로 통합도가 낮게 나타났다. 모형의 구조는 통합도가 높은 지역에 실제 이동수요를 반영하여 통합도가 적합하게 유지되는지 설명이 가능하다. 통합모형은 Space Syntax의 네트워크에 대한 가시거리를 나타내는 축선도와 건물과 도로로 구획된 링크를 결합하는 방식과 보행자 통행배정모형의 기종점의 유사경로를 파악하여 균일 배정하는 방안을 도입한다. 제안된 모형은 보행개선지역 및 사업의 사전/사후평가 등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Personal Mobility Vehicle for the Improvement of Pedestrian Environment for the Disabled

  • Lee, Joohyung;Lee, Kyooil
    • Physical Therapy Rehabilitation Science
    • /
    • 제10권2호
    • /
    • pp.124-133
    • /
    • 2021
  • Objective: In order to secure the right to walk for the weak, such as the disabled, this study aims to suggest ways to improve the pedestrian environment by identifying factors that cause obstacles to walking. Design: Data Analysis and Perception Survey. Methods: Th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separately between users of personal mobility vehicle and non-users. A total of 207 effective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the analysis analyzed the perception of personal mobility vehicle by conducting frequency analysis using SAS 9.4. The survey focused on basic information on respondents, walking conditions, understanding of personal mobility vehicle, awareness of pedestrian space passage and parking, and awareness of the possibility of securing pedestrian rights due to new regulations. Results: First, when moving a pedestrian path by personal mobility vehicle, it shall be limited to less than the walking speed of pedestrians. Second, the parking location of the personal mobility vehicle is located at the boundary of the pedestrian road and the lane. Third, pay a fair price to park in a pedestrian space. Conclusion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ystem to strengthen the contents of education to take into account the safety of pedestrians in education on how to use personal mobility vehicle.

안전사고예방을 위한 보행공간체계분석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the Pedestrian Space System for the Negligent Accident Prevention)

  • 황의진;류지협;임익현
    • 한국재난관리표준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41-48
    • /
    • 2011
  • 보행공간은 작게는 보행량을 포함하는 공간사용의 정도에 영향을 미치거나 크게는 지역경제의 활성화에 영향을 미치며, 더 크게는 친환경, 친인간적인 도시로서의 삶의 질을 평가하는 지표중의 하나이다. 또한 최근 도심부 보행관련 정책은 선적인 가로환경 개선사업에서 발전된 보행자우선지구로의 전환이 대두되고 있어 특정 보행공간보다는 전체적인 보행공간체계에 대한 고려가 중요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민을 위한 공간계획의 일환으로 시작된 국내 보행 전용 공간의 물리적 특성과 실제 이용자의 이용 형태에 대한 연구를 통해 국내에 조성된 보행 전용 공간의 특성을 규명하고자 함에 목적을 두고 사례분석을 통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사례연구는 지역적으로는 서울시에 조성된 차없는 거리 중 명동과 관철동에 조성된 시간제 통제방식의 보행자 전용공간을 선택하였으며 이에 대한 현장조사와 설문조사를 병행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활용 방안으로는 보행공간 관련 사업 시 특정가로에 치중된 사업이 아닌 지역 전체 보행공간체계의 공간적 가로특성을 고려할 수 있으며, 현행 법제도에서 모호하게 제시된 보행자전용도로 위치 및 횡단보도 위치의 당위성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계획단계에서 보행량 예측에 따른 적절한 계획수립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

  • PDF

보행공간디자인의 차별화에 관한 연구 -가로의 보행공간구조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Differentiation of Pedestrian space -Focused on a Comparison of the structure of Pedestrian space in the Street-)

  • 김진우;이재원
    • 디자인학연구
    • /
    • 제17권4호
    • /
    • pp.223-232
    • /
    • 2004
  • 가로 안이 보행공간은 가로가 존재하는 지역특성에 따라서 보행자가 보행 시 시각적으로 느끼는 이미지가 다르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지역특성은 가로형태를 조성하는 가로의 물리적인 공간구조에 기인한다. 즉, 가로의 구조적인 차이에 의해서 보행자는 지역의 차이를 다른 이미지로 인지하게 된다. 어떠한 가로구조가 지역의 특징적인 이미지를 창출하는 가로구조인가, 이러한 구조에 부가적인 요소로 작용하는 것은 과연 어떤 요소들인가를 지역가로의 보행공간을 중심으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연구범위는 보행공간구조와 이미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보행자들이 많이 모이는 번화한 지역의 가로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지역의 가로 중에서 차선 수를 기준으로 4차선이상의 가로 중ㅇ서 보행공간의 구조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선정된 10개의 보행공간의 이미지는 Df/H(보도 폭과 연도건물의 높이)와 D/H(가로 폭과 연도건물의 높이)의 비율의 차이로 2개의 그룹으로 나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렇게 2개의 그룹으로 나뉘는 보행공간의 이미지는 어떤 이미지라고 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경관이미지를 평가할 때 사용하는 형용사들을 사용하여 2그룹의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었다. 그 중 하나의 이미지는 “번화함의 이미지”이며 다른 하나는 “쾌적함의 이미지”라고 할 수 있다. 또 선정지역의 보행공간의 연도건물의 성격을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2개의 그룹이 상업지역과 업무지역으로 나뉘어 지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번화함의 이미지”는 상업지역에, “쾌적함의 이미지”는 업무지역의 보행공간의 이미지라고 인식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로 4차선이상의 가로구조를 가진 보행공간에서 보행자가 느끼는 가로이미지의 차이는 보도 폭과 연도건물의 높이의 차이, 가로 폭과 연도건물의 높이의 비율의 차이에서 따라 다른 이미지를 인지하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지역의 특성을 부여하는 가로를 디자인할 경우, 가로구조 특히 보행공간의 구조를 형성의 지침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고층주거단지 내 보행공간의 유형 및 계획특성에 관한 연구 -'90년대 공영아파트 설계경기 당선안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Pedestrian Space in High-Rise Multi-Family Housing - A Case Study on Prizewinners in the Design Competitions in 1990s -)

  • 전수현;김형진;박찬규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1년도 학술발표대회논문집
    • /
    • pp.57-63
    • /
    • 2001
  • Because of giving the first consideration primarily to planning interior spaces and parking areas in multi-family housing, the pedestrian space, although an important factor, has come to be neglectful. Nevertheless, the design competitions introduced for the first time in 1980s have played significant roles in developing the flesh ideas and concepts in housing design. Because pedestrian spaces have been respectable modification as a result of generalizing, it is important to review the types applied in competitions until now. In this context,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types of pedestrian space and analyze their design characteristics in the proposals of housing design competitions in 1990s.

  • PDF

3차원 수직·수평 건축공간분석을 위한 ERAM모델의 보행에너지 가중치 산정 연구 (The Method to Calculate the Walking Energy-Weight in ERAM Model to Analyze the 3D Vertical and Horizontal Spaces in a Building)

  • 최성필;최재필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4권6호
    • /
    • pp.3-14
    • /
    • 2018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method for calculating the weight of walking energy in ERAM model by calculating it for the analysis of vertical and horizontal spaces in a building. Conventional theories on the space analysis in the field of architectural planning predict the pedestrian volume of network spaces in urban street or in two-dimensional plane within a building, however, for vertical and horizontal spaces in a building, estimates of the pedestrian volume by those theories are limited. Because in the spatial syntax and ERAM model have been applied weights such as the spatial depth, adjacent angles, and physical distances available only to the two-dimensional same layer or plane. Therefore, the following basic assumptions and analysis conditions in this study were established for deriving a predictor of pedestrian volume in vertical and horizontal spaces of a building. The basic premise of space analysis is not to addres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destrian volume and the spatial structure itself but to the properties of spatial structure connection that human beings experience. The analysis conditions in three-dimensional spaces are as follows : 1) Measurement units should be standardized on the same scale, and 2) The connection characteristics between spaces should influence the accessibility of human beings. In this regard, a factor of walking energy has the attributes to analyze the connection of vertical and horizontal spaces and satisfies the analysis conditions presented in this study. This study has two implications. First, this study has shown how to quantitatively calculate the walking energy after a factor of walking energy was derived to predict the pedestrian volume in vertical and horizontal spaces. Second, the method of calculating the walking energy can be applied to the weights of the ERAM model, which provided the theoretical basis for future studies to predict the pedestrian volume of vertical and horizontal spaces in a building.

도심 복합상업시설 공용공간의 보행자 지원적 환경계획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nvironmental Plan To Support Pedestrians in Public Space of Urban Mixed-use Commercial Facilities)

  • 하미경;김아현;김숙하;이효창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3권3호
    • /
    • pp.181-192
    • /
    • 2014
  • Recently, urban mixed-use commercial facilities have been required to raise a safe environment in public areas. So, this study focuses on analyze planning factors selected through the precedent research for Pedestrian safety and environment of urban mixed-use commercial facilities. The first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applicative estimation of environmental plan to support pedestrians in public space of urban mixed-use commercial facilities in Seoul. And the second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directions of environmental planning for creating a pedestrian-friendly environment in public space of urban mixed-use commercial facilitie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environmental planning factors for supporting pedestrians and guidelines for disabled shown in the precedent studies are drawn. A survey of research subjects are 4 urban mixed-use commercial facilities located in downtown Seoul. And then a questionnaire survey is performed on architecture and interior design students to evaluate the importance.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 are drawn. The pedestrian-friendly environment in urban mixed-use commercial facilities requires planning to strengthen accessibility, supporting and safety of public sp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