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Pectin

검색결과 520건 처리시간 0.026초

식이섬유 첨가가 흰쥐의 간 Xanthine Oxidase 활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ietary Fiber on The Liver Xanthine Oxidase Activity in Rats)

  • 윤종국;이영순;이혜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843-847
    • /
    • 1995
  • 식이섬유가 단백질 흡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흰쥐에 pectin 및 ${\alpha}-cellulose$를 첨가(0%, 15%, 30%)한 식이로 5주간 사육한 후 간조직 중 단백질 함량 및 Xanthine oxidase 활성을 측정함과 동시에 장기 무게와 사육기간 중 사료효율의 변동은 관찰하여 이들을 상호 비교 검토하였다. 실험동물의 사육기간 중 체중의 변동은 대조군에서는 처음 체중의 약 3.6배, 10%, 30%, ${\alpha}-cellulose$ 첨가군은 두군 모두 약 3.5배, 15% pectin 첨가군은 약 2.9배, 30% pectin 첨가군은 약 1.9배로 증가되었다. 세 군간에 체중 증가량에 있어서는 대조군과 ${\alpha}-cellulose$ 첨가군 간에는 체중 증가율이 거의 유사하게 관찰되었으나 15% pectin 첨가군은 대조군 보다 약 24%(p<0.01) 저하되었으며 30% pectin 첨가군은 15% pectin 첨가군에 비하여 약 38%의 현저한 감소를 보였다. 한편 사료효율은 ${\alpha}-cellulose$ 및 pectin 첨가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식이섬유는 첨가 함량에 비례하여 사료효율이 역시 떨어지는 경향을 관찰할 수 있었다. 최종 장기의 체중당 백분율에 있어서는 대체적으로 pectin 첨가군이 대조군 및 ${\alpha}-cellulose$ 첨가군에 비하여 높은 치를 나타내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간장에 있어서 그 차이가 심했다. 이때 간조직 중 단백질 함량은 15%, 30% pectin 첨가군의 두군 모두 대조군에 비하여 약16% 감소되었으며 간 xanthine oxidase 활성치는 15% pectin 첨가군과 30% pectin 첨가군 공히 대조군 보다 약 40%의 유의한(p<0.01) 감소를 보였다. 또한 ${\alpha}-cellulose$ 첨가군은 대조군과 별다른 차이를 볼 수 없었다.

  • PDF

Effects of Dietary Pectin, Tangerine Pulp Meal, Propionate, Lactate or Fumarate on Serum and Liver Cholesterol Levels, and Dietary Pectin on Cholesterol Absorption in Bats

  • Yang, Yong-Ho;Park, Hak-Moon;Kim, Kyu-Il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1권5호
    • /
    • pp.914-920
    • /
    • 1998
  • The effect of dietary pectin, tangerine pulp meal, propionate, lactate or fumarate on cholesterol (C) and triacylglycerol(TG) levels in the serum and liver, and the effect of pectin on dietary C absorption were studied in a series of three experiments. Mature female Sprague Dawley rats were fed a control diet or diets containing 5% pectin, 5% tangerine pulp meal, 3% propionate, 3% lactate 3% fumarate, or 10% pectin. Serum total C levels were lower(p<0.05) in rats fed the diet containing 5% pectin than in control rats after a 4-week feeding period(93.8 vs 119.2mg/100mL). Serum HDL, LDL+VLDL C levels were not different among diet groups. Liver total C level was also lower(p<0.05) in rats fed the diet containing 5% pectin than in control rats, but liver TG level was not influenced by diet. Dietary propionate, lactate or fumarate did not reduce serum C, indicating that propionate is not a regulator of serum C. However, dietary pectin(10%) increased fecal excretion of dietary C(or its metabolites) more than 70% over a control value. Our data indicate that dietary pectin reduces serum and liver C levels by increased fecal secretion of dietary C, but not by its fermentation product propionate or other gluconeogenic substrates. (Korean J Nutrition 31(5) : 914∼920, 1998)

  • PDF

Recent advances of pectin-based biomedical application: potential of marine pectin

  • Kim, Min-Sung;Chandika, Pathum;Jung, Won-Kyo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8-47
    • /
    • 2021
  • Pectin is a natural polysaccharide and biopolymer that serves as a structural component of plant tissues' primary cell walls. Pectin is primarily composed of D-galacturonic acid linked by α-1, 4-glycosidic linkage and is further classified by the ratio of esterified galacturonic acid groups known as degree of esterification (DE). Pectin that contains more than half of its carboxylate units as methyl esters is known as a high methyl (HM) ester. Conversely, pectin that has less than half of its carboxylate units as methyl esters is known as a low methyl (LM) ester. Pectin has various bioactive properties, including anticancer, anti-inflammatory, antioxidant, antidiabetic, anticholesterol, antitumoral, and chemopreventive properties. Moreover, pectin is a useful biopolymer in biomedical applications. Biomedical engineering, which is founded on research aime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using new materials and technologies, is typically classified according to the use of hydrogels, nanofiber mats, and nanoparticles. This paper reviews the progress of recent research into pectin-based biomedical applications and the potential future biomedical applications of marine-derived pectin.

Low-ester Pectin Gel의 단단함과 강도(强度)의 예측 (Prediction of Firmness and Strength of Low-ester Pectin Gel from Chemical Composition)

  • 김우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364-371
    • /
    • 1986
  • High-ester pectin을 HCI 단독 또는 HCI 과 $NH_4OH$를 병용하여 demethylation 시킨뒤 얻어진 low-ester pectin(LM pectin)으로 gel을 제조하였다. LM pectin gel의 단단함과 강도(强度)를 측정한 결과 HCI로 처리된 LM pectin gel은 일반적으로 강도(强度)가 약하고 거칠며 탄력이 없었다. 반면 $HCl-NH_4OH$로 처리한 LM pectin gel은 텍스쳐가 부드럽고 탄력이 좋았다. 물리적 성질에 대한 LM pectin의 화학적 조성의 상관 관계에서 단단함(Sag값)에 대한 ester함량 및 분자량, 그리고 강도(强度)(puncture stress)에 대한 amide 및 ester함량 EH는 분자량 간에는 유의성 있는 관계가 밝혀졌다. 상관성이 높은 화학적 인자에서 LM pectin gel의 물리적 성질을 예측할 수 있는 관계식을 산출하였다.

  • PDF

사과의 성숙에 따른 Pectin질의 변화 (Changes in the Pectic Substance during Maturity of Apple)

  • 김영지;김창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63-68
    • /
    • 1988
  • Fuji 과실의 성숙에 따른 pectin 질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LMP (low methoxy pectin), HMP (high methoxy pectin) IAP (ionically associated pectin), CBP (covalently bounded pectin), methoxyl 및 구성당의 함량변화와 DE(degree of esterification)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LMP+HMP와 IAP+CBP는 AIS(alcohol insoluble solid)의 각각 70%, 22%를 차지하였고 이들 성분은 성숙에 따라 다소 증가하였다. Pectose 질을 구성하는 중성당중 hexose는 LMP, HMP, IAP, CBP 다같이 $20{\sim}50%$가 감소하였는데 특히 Gal의 감소율은 63%이었다. Pentose는 $1{\sim}9%$가 증가하였고 uronic acid는 $2{\sim}4%$감소하였다. 그러나 HMP, CBP에서는 uronic acid의 상대적 함유비율은$3{\sim}5%$ 증가되었다.

  • PDF

감과실의 성숙과 추숙중의 세포벽 구성성분의 변화 (Changes in the Cell Wall Components of Persimmon Fruits during Maturation and Postharvest)

  • 신승렬;김주남;김순동;김광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738-742
    • /
    • 1990
  • 감과실의 성숙과 추숙중 세포벽의 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성숙중에는 pectin질과 알칼리 가용성 hemicellulose의 함량은 증가하는 반면 산 가용성 hemicellulose와 lignin은 감소하였다. 그러나 연시에서는 pectin질과 알칼리 가용성 hemicelloluse의 감소와 산가용성 hemicellulose의 증가가 뚜렷하였다. 그리고 성숙과 추숙중에 cellulose의 함량은 증가하였으며, 생체당 세포벽 다당류의 함량은 감소하였다. 총 pectin질과 불용성 pectin질의 함량은 성숙중에는 증가하였으나 연시에서는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반면에 수용성 pectin질의 함량은 성숙과 추숙중에 증가하였다.

  • PDF

과일 내의 pectin 함량 및 성숙도에 따른 pectin 특성 변화에 관한 연구 (Chemical and Gelation characteristics of Pectins Obtained from Ripened and Unripened Crabapples)

  • 문수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3-39
    • /
    • 1981
  • This study was attempted to determine the pectin contents of various fruits(Cherry, strawberry, plum, peach, apricot, apple, crabapple) an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properties of pectin and pectin gel during crabapple ripening. Methoxyl content, molecular weight and intrinsic viscosity were measured in ripened and unripened crabapples. In order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pectin gel, percent sag was measured by exchange Ridgelimeter, hardness and textural characteristics of jellies were measured by a penetrometer and a texturometer. The experimental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pectin contents of various fruits were 1.16% for cherry, 3.17% fir strawberry, 4.29% for plum, 5.51% for apricot, and pectin contents of peaches and apples varies depends on varieties from 4.54% to 5.61% to 6.52, respectively. The pectin contents of unripened and ripened crabapple wee 9.21% and 9.84% respectively, indicating that pectin content increased with fruit maturity. 2. The methoxyl contents, which was 6.61%~6.95%, was very low and it increased significantly during fruit ripening. Further, a decrease in acetyl content, intrinsic viscosity, molecular weight occurred during the ripening of crabapples. 3. The percent sag of crabapple jellies increased with fruit maturity from 5.26% to 5.79%, and the corresponding jelly grade decreased in ripened crabapple. 4. The hardness of jellies determined by a penetrometer was 79.15 pp.U. for ripened crabapple jelly, 90.62 pp.U. for unripe ned crabapple jelly. 5. In the textural characteristics of gels measured by a texturometer, the gels made from unripened crabapple were shown to have the highest values in hardness, cohesiveness, adhesiveness and gumminess.

  • PDF

Pectin Microspheres for Oral Colon Delivery: Preparation Using Spray Drying Method and In Vitro Release of Release of Indomethacin

  • Lee, Chang-Moon;Kim, Dong-Woon;Lee, Hyun-Chul;Lee, Ki-Young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9권3호
    • /
    • pp.191-195
    • /
    • 2004
  • Drug delivery systems that are based on pectin have been studied for colon specific delivery using the specific activity of colon microflora.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sign a novel method of manufacturing pectin microspheres without oils and surfactants and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use of the pectin microspheres as an oral colon-specific drug carrier. The pectin microspheres were successfully formed using the spray drying method and crosslinking with calcium chloride. From the crosslinked pectin microspheres, indomethacin (IND) release was more suppressed than its release from non-crosslinked microspheres. In a low pH (pH 1.4) environment, the pectin microspheres released IND at an amount of about 18${\pm}$2% of the total loaded weight for 24 h while the release rate of IND was stimulated at neutral pH (pH 7.4). IND release from the pectin microspheres was increased by the addition of pectinase. The results clearly demonstrate that the pectin microspheres that were prepared by the spray drying and crosslinking methods are potential carriers for colon-specific drug deliveries.

배 추출 펙틴이 2K1C 고혈압 흰쥐의 혈압, 혈장 Renin, ANP 및 Cardiac Hypertrophy 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ear Pectin on Blood Pressure, Plasma Renin ANP and Cardiac Hypertrophy in Hypertensive Rat Induced by 2K1C)

  • 나창수;윤대환;최동희;김정상;조춘화;은종방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700-705
    • /
    • 2003
  • 배에서 추출된 pectin과 사과에서 추출된 pectin의 3주간 투여가 2K1C 고혈압 흰쥐의 일간 혈압 변화, 혈장 renin, ANP 변화 및 cardiac hypertrophy 변화를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일간 혈압변화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AP-A군의 15일째에 유의한 감소를 보였고, 19일째에 한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으며, AP-B군의 8일째와 15일째에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으며, AP-C군의 15일째에 한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또한 대조군에 비하여 PP-A군은 모든 기간 동안 유의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PP-B군의 8일째와 15일째에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으며, PP-C군의 15일째에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혈장 renin변화에 있어서 대조군에 비하여 apple pectin이 투여된 군에서는 모두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며, pear pectin이 투여 된 PP-B군에서 한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혈장 ANP 변화에 있어서 대조군에 비하여 apple pectin이 투여된 군에서는 모두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며, pear pectin이 투여된 PP-B군에서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Cardiac hypertrophy 변화에 있어서 대조군에 비하여 apple pectin이 투여된 군에서는 모두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며, pear pectin이 투여된 PP-C군에서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Colonic Delivery를 위한 펙틴 비드로부터 BSA의 방출 특성 (Release Properties of BSA from Pectin Heads for Colonic Drug Delivery)

  • 최춘순;박상무;송원현;이창문;이기영;김동운;김진철
    • KSBB Journal
    • /
    • 제18권2호
    • /
    • pp.161-164
    • /
    • 2003
  • 경구 투여가 비교적 어려운 단백질 약물을 생체적합성이 우수하고 생분해성을 가진 펙틴을 이용하여 목적하는 colon에 전달하고자 하였다. 이온결합을 통해 펙틴, 펙틴-알긴산비드를 제조할 수 있었고, 단백질 약물인 BSA를 포함하여 방출을 행한 결과, 비드의 건조온도가 높을수록 방출률이 높은 경향을 보인 반면, 동결건조된 비드가 가장 높은 방출을 나타냈다. 또한, 가교제의 농도를 높게 처리한 비드일수록 방출률이 낮았다. 경구 투여 후 colon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되는 5시간 후에 펙틴 분해효소를 처리한 결과, 효소 처리하지 않은 비드에 비해 급격한 방출이 일어났다. 이러한 결과로 colon내에 존재하는 미생물이 분비하는 효소에 의해 펙턴 비드에 포함된 약물이 방출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경구로 투여된 펙틴 비드 안의 약물이 소화기관에서 안정하게 통과하고 colon에서 방출되어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