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atmoss

검색결과 173건 처리시간 0.036초

상토 중 유기자재에 따른 하이부쉬블루베리 'Duke' 품종의 수체 생육 및 과실 특성 (Growth and Fruit Characteristics of 'Duke' Highbush Blueberry by Mixture of Different Organic Matters in Soil)

  • 김수진;이동훈;허윤영;임동준;박서준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63-269
    • /
    • 2021
  • 블루베리 재배 토양 개선에 적합한 유기자재를 선정하고자 대표적인 하이부쉬블루베리 품종인 'Duke'를 대상으로 피트모스, 이탄토, 소나무 발효톱밥 등 유기자재를 활용한 토양에서 블루베리의 생육 및 과실 특성을 조사하였다. 토양 산도는 4.2 ~ 4.8로 톱밥 > 이탄토 = 피트모스 수준이었다. 토양 중 유기물 함량은 톱밥의 경우 2.5%, 피트모스와 이탄토를 섞은 토양의 경우는 4.1%로 나타났다. 토양 경도는 토양 깊이 40 cm 위치까지 측정한 결과 1 ~ 5 kgf cm-2으로 작물이 자라기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흡지 수와 주축지 수는 이탄토 > 피트모스 > 톱밥 유기자재 처리구 순으로 많았다. 또한 피트모스와 이탄토 처리구의 흡지 굵기와 길이도 톱밥 처리구보다 긴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총 신초 수도 마찬가지의 양상으로 나타났다. 과실의 특성 중 과실의 중량, 과경, 횡경, 경도는 유기자재 처리 간에 통계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가용성고형물 함량은 이탄토 > 피트모스 > 톱밥 유기자재 처리구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과실의 수확량은 톱밥 처리구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피트모스와 이탄토 처리구는 비슷한 양상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토양 환경에 따른 수체 및 과실 특성을 종합하여 검토한 결과 국내 블루베리 재배 시 안정적인 생산을 위해서 피트모스를 이탄토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되었다.

바이오차와 피트모스의 혼합비율이 해국 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ixture Ratio of Biochar and Peatmoss on the Growth of Aster spathulifolius)

  • 김수진;김석진;한상균;권윤구;권영휴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0권2호
    • /
    • pp.31-38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보다 효율적인 도시녹화 및 정원식물 생산을 위해 도시녹화 및 정원에 이용되는 주요 초본류 가운데 하나인 해국 유묘에 대해 피트모스 대체재로 바이오차의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바이오차 처리 수준에 따른 해국 유묘의 생육차이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바이오차를 혼합한 배양토 처리에 따른 해국 유묘의 생장은 피트모스, 버미큘라이트, 펄라이트(1:1:1, v/v), 바이오차, 피트모스, 버미큘라이트, 펄라이트(1:2:3:3, v/v) 처리구에서 우수한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해국 재배 시 피트모스, 버미큘라이트, 펄라이트(1:1:1, v/v)의 인공용토에서 피트모스를 대체할 만한 생장 효과를 나타낸 처리 비율은 바이오차, 피트모스, 버미큘라이트, 펄라이트(1/3:2/3:1:1, v/v) 처리구로, 사용된 바이오차의 유형, 함께 사용된 상토의 재료, 혼합 비율 등이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사료된다.

저관리 옥상녹화의 식재기반 시스템 차이에 따른 순비기나무의 활용성 평가 (Application Analysis of Vitex rotundifolia by Difference of the Shallow-Extensive Green Roof System)

  • 박준석;주진희;김원태;윤용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10-17
    • /
    • 2010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compare the growth of Vitex rotundifolia as affected by the difference of soil depth and mixture ratio in a shallow-extensive green roof module system, and to identify the level of soil thickness and mixture ratio as suitable growing condition to achieve the desired plant growth in green roof. Different soil thickness levels were achieved under 7cm, 15cm and 25cm of shallow-extensive green roof module systems made by woody frame of $500{\times}500{\times}300mm$. Soil mixture ratio were eight types for perlite : peatmoss : leafmold = 7 : 1 : 2 (v/v/v, $P_7P_1L_2$), perlite : peatmoss : leafmold = 6 : 2 : 2 (v/v/v, $P_6P_2L_2$), perlite : peatmoss : leafmold = 5 : 3 : 2 (v/v/v, $P_5P_3L_2$), perlite : peatmoss : leafmold = 4 : 4 : 2 (v/v/v, $P_4P_4L_2$), only sand ($S_{10}$), sand : leafmold = 7 : 3 (v/v, $S_7L_3$), sand : leafmold = 5 : 5 (v/v, $S_5L_5$) and only leafmold ($L_{10}$). The growth response of Vitex rotundifolia had fine and sustain condition in $P_6P_2L_2$, $P_5P_3L_2$ and $P_4P_4L_2$., Especially, in case of $P_6P_2L_2$, growth response appeared to be good even in soil thickness 7cm, which showed low survival rates of Vitex rotundifolia in other soil mixtures. Tree height, root diameter, photosynthesis and chlorophyll contents tended to increase with increased soil thickness.

지렁이분립의 혼합상토가 고추유묘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arthworm Cast Mixtures on the Growth of Pepper(Capsicum annuum L.) Seedlings)

  • 전하준;조익환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75-84
    • /
    • 199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the effects of the mixtures of earthworm cast, peatmoss, and vermiculite as a vegetable plant growth medium on the growth pepper seedlings. The mixed ratios of earthworm cast-peatmoss-vermiculite were 40-20-40, 40-30-30, 40-40-40, 50-20-30, 50-30-20, 60-10-30, 60-20-20 and 60-30-10%.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plant length, leaf area, shoot dry weight, root dry weight and biological yield per plant for growth stages and mixed ratios(p<0.0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interactions for both of them. 2. The nursery soil with earthworm cast was generally higher than the control treatment in shoot dry weight, root dry weight adn biological yield per plant. The shoot dry weight and biological yield per plant were high in the treatment including 60% of the earthworm cast to the 3rd week and in the one including 50% from the 4th week. But in root dry weight, the treatment including 40% of it was higher than treatment of the others. 3. The shoot dry weight per plant in treatments consisting both of 40% of earthworm, 40% of peatmoss and 20% of vermiculite and of 60%, 10% and 30% was more significant than that in the control treatment(p<0.05). 4. The average relative growth rates of shoot dry weight, root dry weight and biological yield for all treatments were higher than the ratio of control treatment except the ration of the treatment consisting of 60% of earthworm, 20% of peatmoss and 20% of vermiculite.

  • PDF

가정용 빗물정원을 이용한 지붕빗물내 영양소 및 중금속 제거 (The Removal of Nutrients and Heavy Metals Using Household Rain garden)

  • 박기정;박희수;조윤철;김성표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8-44
    • /
    • 2015
  • 대부분의 강우가 여름철에 집중되는 국내 강우 특성은 여름철 집중호우에 따른 비점 오염물질의 수계로의 과대 유입에 대한 우려를 높이고 있다. 국내 수계로의 오염원 유입특성이 대부분 비점오염원 형태인 것을 감안한다면 강우가 오염물질의 거동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초기 우수의 경우 상당한 영양소와 중금속에 오염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이를 적절히 처리함과 동시에 재이용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시설 중 빗물정원은 빗물양과 수질의 조절이 가능한 친환경적이며 효과적인 방안이다. 본 연구에서는 빗물정원에 효과적으로 적용 가능한 자연형 흡착여재를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빗물이 빗물정원을 통과한 이후 유출수의 영양소 및 유기물(TN, TP, CODcr), 중금속 제거(Cu, Cd, Pb) 효율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하여 자연형 흡착여재인 피트모스를 탄화시켜 오염물질 별 제거 흡착능을 살펴보았으며, 이를 이용한 삼단의 계단식 여재 시설을 구성하여 영양소 및 중금속 제거 변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피트모스는 더 높은 온도에서 탄화시켰을 경우 흡착능이 우수하였으며, 피흡착제의 농도가 낮을수록 흡착이 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5개의 빗물정원에서의 인공강우 오염물질 제거효율을 분석한 결과, T-N, T-P, CODcr 모두 피트모스를 사용한 반응조가 제거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앞으로 빗물정원을 구성하는데 있어 피트모스를 탄화한 여재를 이용한다면 보다 효과적인 오염물질 저감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배지의 혼입비율과 관비 양액 농도가 오이 플러그묘의 초기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ixing Ratio of Substrates and Concentration of Fertigation in Nutrient Solutions on the Early Growth of Cucumber Plug Seedlings)

  • 김홍기;조자용;배종향;양승렬;허북구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01-107
    • /
    • 2007
  • 오이['장형흑진주' 오이; (주)서울종묘]를 공시작물로 하여 양질의 플러그묘 생산을 위한 혼합배지 개발과 적정 관비 양액 농도를 규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혼합배지는 피트모스를 기본으로 왕겨, 훈탄, 부숙톱밥, 펄라이트 및 입상압면 등을 상이한 비율로 혼합하여 5처리로 하였고, 그 중 양호한 혼합배지 3종을 선발하여 관비 양액 농도(EC)를 대조구(EC $0.1dS{\cdot}m^{-1}$), 0.5, 1.0 및 $1.5dS{\cdot}m^{-1}$등으로 처리하여 오이 유묘의 생장반응(27일째)을 검토하였다. 오이 플러그묘 생장에 양호한 혼합배지는 피트모스:왕겨:훈탄:부숙톱밥:펄라이트=25:10:25:20:20(v/v), 피트모스 왕겨:부숙 톱밥:입상암면=30:25:20:25(v/v) 및 피트모스:왕겨:부숙톱밥=40:40:20(v/v)였다. 대조구 (EC $0.1 dS\;m^{-l}$)에 비해 관비 양액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초장, 엽면적 및 총건물생산량 등이 현저히 높아 EC $1.5dS{\cdot}m^{-1}$로 두상관수 2-3회 관비하였을 때 가장 좋은 플러그묘를 생산할 수 있었다. 관비 양액 농도와 혼합배지 종류 처리간에는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골프장에 사용되는 4가지 토양개량제들의 혼합비율에 따른 토양이화학성의 변화 (Change of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by Mixed Ratio of 4 Types of Soil Amendments Used in Golf Course)

  • 김영선;함선규;임혜정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05-210
    • /
    • 2010
  • 본 연구는 코스조성에 주로 사용되는 4종의 토양개량제의 혼합비율에 따른 모래상토의 물리화학적 특성변화를 조사한 결과이다. 토양개량제의 혼합비율에 따라 상토의 물리화학성을 조사한 결과 peat, humate, peatmoss 및 zeolite는 pH와 CEC에서 고도의 상관성(P<0.01)을 나타내어 토양개량제의 특성에 따라 상토의 토양화학성에 영향을 주었다. 상토의 토양물리성 결과를 통해 USGA 기준으로 평가할 때, 최적의 혼합비율은 토양개량제 peat, humate 및 peatmoss는 각각 5%, 3%, 7%이고, zeolite에서는 적합한 비율을 찾을 수 없었다. 각 토양개량제들의 혼합에 따른 토양물리성 변화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은 비모세관공극으로 총공극과 수리전도도의 변화에 영향을 미쳤다. 토양개량제의 혼합비율에 따른 토양개선효과를 비교할 때, peat와 peatmoss는 토양 모세관공극 및 수리전도도에서, humate는 수리전도도에서, zeolite는 비모세관공극과 총공극에서 고도의 상관성을 나타내었다(P<0.05). 이들 결과를 통해 골프코스의 상토조성에 사용되는 토양개량제의 종류와 특성 및 혼합비율이 USGA 상토의 근권층 개량과 토양 이 화학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원예용 상토 재료 피트모스, 펄라이트, 버미큘라이트의 혼합비율에 따른 물리적 특성 변화 (Physical Properties of the Horticultural Substrate According to Mixing Ratio of Peatmoss, Perlite and Vermiculite)

  • 김혁수;김계훈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321-330
    • /
    • 2011
  • 원예용 상토 생산 시 자재의 혼합으로 결정되는 상토의 물리적 특성은 화학적 특성과는 달리 식물생육기간동안 변화가 거의 없고, 식물 생육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자재의 혼합비율 설정은 매우 중요하며, 이에 대한 분석 연구는 지속적으로 이뤄져야 한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상토 분석법과 국제적으로 표준화되어 있는 분석법간의 차이로 인해 외국의 분석결과와 국내의 분석결과를 비교 해석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EN 분석법과 RDA 분석법에 따라 피트모스, 펄라이트, 버미큘라이트의 혼합비율에 따른 물리적 특성 변화를 관찰하고, 분석법 간의 차이점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각각의 분석법에 따른 상토의 물리적 특성에 차이가 있었으며, 이는 상토 분석 시 전처리 과정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원예용 상토 자재로 널리 사용 중인 펄라이트는 내부 공극은 많으나 겉이 막혀있는 특성 때문에 농촌진흥청 상토 분석법에 제시된 입자밀도 항목 중 기존 Pycnometer를 응용한 입자밀도의 측정으로 분석할 경우 EN 분석법과 다른 경향의 결과를 나타냈다. 식물 생육에 적합한 물리성인 공극률 85% 이상, 기상 20-30% 등과 비교 시 EN 분석법으로 분석한 결과에서 피트모스가 혼합된 상토 중 8:2:0과 6:4:0 (peatmoss:perlite: vermiculite)의 상토가 적정기준을 만족하였고, RDA 분석법으로 분석한 결과에서는 6:2:2로 혼합된 상토가 적정기준을 만족하였다. 하지만 RDA 분석법에 제시된 전처리 과정 중 건조처리의 영향으로 인해 EAW와 WBC의 기준까지 만족하는 상토는 없었으며, 분석 방법 전처리 과정에 대한 수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결과를 바탕으로 상토 자재 혼합에 따른 물리적 특성 변화를 삼각도에 응용하게 되면 향후 상토 물리성 연구 및 분석 방법 간의 관계 연구에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한다.

하이부시 블루베리 정식 시 유기물 조성이 토양 pH, 생육 및 과실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eatmoss-Based Organic Material Mixtures on Soil pH, Growth and Fruit Quality of Highbush Blueberry(Vaccinium corymbosum L.) Plants)

  • 김은주;김형국;곽성희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43-48
    • /
    • 2017
  • 블루베리 재배시 토양 유기물 공급원으로 쓰이고 있는 피트모스가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국내에서 생산되는 소나무잎, 왕겨, 톱밥 등 유기물을 블루베리 정식 전 피트모스와 혼합처리 한 후 토양 pH 변화와 생육 및 과실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본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품종은 2년생 북부 하이부시 블루베리 'Duke' 품종이었고 묘목 정식 전 피트모스를 근권에 20L 단용으로 처리하는 방법과 피트모스(10L)와 소나무잎, 왕겨, 톱밥을 각각 10L씩 혼합 처리하는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유기물의 화학성 분석 결과 pH는 피트모스가 4.3으로 가장 낮았고 소나무잎은 4.8, 왕겨는 7.3, 톱밥은 5.7이었다. 정식 직후 유기물을 투여한 토양의 pH는 5.3~5.9로 나타났고 피트모스단용, 피트모스+소나무잎 처리가 왕겨, 톱밥 혼합처리에 비해 낮았다. 정식 후 3년차 토양 pH는 4.2~4.5로 피트모스단용, 피트모스+소나무잎 처리에서 낮게 유지되었다. 유기물 조성에 따른 생육 시기별 토양수분 함량은 피트모스+소나무잎>피트모스단용> 피트모스+톱밥>피트모스+왕겨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생육은 피트모스 단용과 피트모스+소나무잎 처리에서 양호하였고 꽃눈수가 많아 초기 수량이 많았다. 당도는 피트모스 단용 처리에서 $11.3^{\circ}Brix$로 높았고 경도는 피트모스+소나무잎 처리에서 증가되었으나 과실 품질에 있어 처리별 유의차는 없었다.

호안자연직생 복원을 위한 갈대류(Phragmites spp.) 뗏장개발 - 토양의 조성 및 반종량이 달뿌리(Phragmites japonica)뗏장 형성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Development of Phragmites spp. Sod for Restoration of Shore Vegetation -Effects of Soil Compositions and Seeding rates on the Development of Phragmites japonica Sod-)

  • 정대영;심상렬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28-35
    • /
    • 1998
  • Six soil compositions with three seeding rates were evaluated for influence on germination, coverage, height and sod development of Phragmites japonica. 1. Germination was high on peat, vermiculite and bark as compared with on peatmoss and sandy loam. 2. Covering rate was high within 2 months when seeded at 9g/$m^2$, but became same within 3 months afterwards when seeded at 3,6 and 9g/$m^2$, respectively. 3. Sod was highly developed on peat and bark treatments whereas Sandy loam, peatmoss and vermiculite treatments didn't develop sod. 4. Sod grown on bark weighed light and, therefore, was suggested best from a dealing cost point of view. 5. Cutting at 10 cm height didn't influence on sod development regardless of soil compositio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