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atmoss

검색결과 173건 처리시간 0.021초

배추 뿌리혹병(Plasmodiophora brassicae) 방제를 위한 육묘용 상토와 농약처리 효과 (Effects of Seeding Bed Media and Fungicide on Control of Clubroot Disease of Chinese cabbage Caused by Plasmodiophora brassicae)

  • 홍순성;김진영;박경열
    • 식물병연구
    • /
    • 제9권2호
    • /
    • pp.64-67
    • /
    • 2003
  • 배추 뿌리혹병을 방제하기 위하여 상토의 종류와 농약 병용처리에 대한 효과를 조사한 결과 온실시험에서 피트 모스, 바로커 상토에 육묘한 배추에서의 발병도가 48.3, 54.2%에 비해 황토, 마사토 상토에 육묘한 배추에서는 발병도가 10.8, 18.7%이었고 포장시험에서는 피트모스 상토 75.7%, 바로커 36.6$, 마사토21.7%, 황토 14.1% 순이었다. 후루설파마이드 분제를 토양에 혼화처리하였을때는 봄재배에서 피트모스 상토에서는 발병도 4.5%에 비해 황토 상토에서는 0.4%이었고 가을재배에서는 10.1, 5.7%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피트모스, 바로커 상토보다 황토, 마사토 상토를 사용하고 후루설파마이드 분제로 약제처리하면 뿌리혹병 방제에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관리조방적 옥상녹화에 적합한 자생초화류와 식재토양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Native Plants and Planting Soil for Extensive Rooftop Greening)

  • 강규이;이은희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3-31
    • /
    • 2005
  • Green spaces in cities were insufficient and decreased as artificial structures increase. Accordingly, greening rooftop space contributed to urban ecosystems as green space. Especially, since 2002 Seoul supported rooftop greening and introduced 'Ecology-area rates'. Thus rooftop greening had the potentiality of extension. This prepared the extensive rooftop greenings within planting-base for extensive management rooftop greening system to be easily popularized. The extensive rooftop greening conducted from 1997-2005 reported that soil depth was 8cm and soil mixtures were 5 types. And plant were Crysanthemum zawaskii var. latilobum, Aster hayatae, Crysanthemum zawaskii herb. ssp. coreanum, Sedum sarmentosum, Sedum rotundifolium, Sedum oryzifolium, Sedum takemensis, Sedum middendorffianum, Sedum telerium var. purpureum, Sedum spectabile, Carypteris incana, Dianthus superbus, Hosta minor. As a result, for nine years after the modular type rooftop greening established, survival plants were Sedum takemensis, Sedum sarmentosum, Sedum spectabile, Sedum middendorffianum, Carypteris incana, Crysanthemum zawaskii var. latilobum, Sedum telerium var. purpureum, Sedum rotundifolium, Dianthus superbus. Also effect of greening was possibled soil depth 8cm. And growth of plants from 1997 to 2005 were fine on two soil mixtures of 'perlite+peatmoss+vermicompost+moisturizer' and 'perlite+moisturizer+bark(mulching)'. Invasive plants are Ixeris dentata Nakai, Ixeris chinensis var. strigosa, Youngia sonchifolia, Eragrostis ferruginea, Aster pilosus Willd., Ixeris japonica Nakai, Valpia myuros, and Setaria viridis. In conclusion, selection of suitable native plants was possible extensive management rooftop greening with effect of continuous greening. The extensive rooftop greening were lightweight and simple preparation without management and can popularize readily.

Perlite 단용 및 혼용처리를 이용한 과채류 양액재배 기술 개발 I. 재배용기와 배지의 종류가 양액재배 오이의 생장과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 (Development of Hydroponic Technique of Fruit Vegetables Using Perlite and Mixtures with Perlite as a Substrate I. Effects of Containers and Substrates on the Growth and Fruit Quality of Hydroponically Grown Cucumber)

  • 정순주;서범석;강종구;김홍기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59-166
    • /
    • 1995
  • 본 실험은 배수성과 통기성이 우수한 양액 재배 배지로써 perlite와 구입이 용이한 왕겨 및 훈탄의 혼합배지를 이용하여 스티로폼 성형베드 및 상자, 플라스틱 자루, 폿트 등의 재배용기의 차이와 배지의 종류에 따른 양액재배 오이의 생육 및 수량반응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 다. 1. 스티로폼베드와 상자가 다른 용기보다 초장이 높게 나타났으며, 스티로폼 상자를 용기로 사용할 때 펄라이트 단용처리구가 275.5cm, 왕겨 혼합처리구가 277.0cm로 초장이 가장 높았다. 2. 엽면적은 스티로폼 성형베드와 상자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자루재배, 폿트재배의 순으로 나타났다. 스티로폼 성형베드와 상자의 경우에는 펄라이트 단용>왕겨 혼합배지>훈탄 혼합배지의 순으로 나타났으나, 자루재배에서는 왕겨, 폿트재배에서는 왕겨 혼합배지에서 엽면적이 높게 나타났다. 3. 과실수량은 스티로폼 상자를 용기로 한 펄라이트 단용구가 2097.1g으로 가장 많았으며 과수도 13.4개로 높게 나타났다. 4. 상품과율은 스티로폼 베드와 상자에서 70%이상을 나타냈으나 자루재배와 폿트재배에서는 70%이하로 나타났다. 5. 곡과율과 선세과는 자루재배에서 10%이상으로 높게 나타난 반면 스티로폼 상자에서는 낮게 나타났다.

  • PDF

용담(Gentina scabra var. buergeri)의 잎 절편 배양에서 체세포배발생에 의한 식물체 재분화 (Somatic Embryogenesis and Plant Regeneration in Leaf Explant Cultures of Gentiana scabra var buergeri)

  • 방재욱;이미경;정성현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33-237
    • /
    • 1994
  • 용담의 잎 절편 배양을 통하여 유도된 배발생 캘러스로 부터 식물체의 재분화 체계를 확립하였다. 캘러스는 0.5 mg/L2,4-D, 2 mg/L BAP가 첨가된 MS 배지에서 유도되었으며, 이 캘러스를 2 mg/L P-CPA, 0.5 mg/L 2,4-D 및 0.5mg/L kinetin이 첨가된 SH 배지에 옮겼을 때 배발생 캘러스의 유도가 가능하였다. 배발생 캘러스는 SH 기본 배지에 옮겨 슈트의 증식 및 뿌리 발생을 유도하였다. 재분화 식물체는 피트모스, 펄라이트, 버미클라이트가 2:1:1의 비율로 혼합된 인공 토양에서 순화시킨 후 토양에 활착시켰다. 토양에 활착된 재분화 식물체는 키, 줄기의 모양과 수, 개화기등에서 표현형적 변이를 나타냈다. 세포유전적 분석에서 모식물체와 재분화 식물체의 염색체는 2n=26으로 안정성을 보였는데, 이는 본 연구에서 적용된 재분화 체계가 안정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 PDF

암반절개사면 녹화용 강건묘목의 속성육묘법에 관한 연구 (Studies on Short Term Hardening Method of Tree Seedlings for Afforestation of Cut-Rock Slope)

  • 홍성각;김종진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58-361
    • /
    • 1998
  • 본 연구는 암반절개사면 녹화용 붉나무(Rhus chinensis Mill), 쉬나무(Euodia daniellii Hemsley), 담쟁이 덩굴(Parthenocissus tricuspidata Sieb. et Zucc, Planch)강건묘목을 단기기간에 육성하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묘목은 1993년 12월 8일부터 1994년 6월 17일동안에 첫 4개월은 온실에서, 그후 2개월은 야외포장에서 비닐망으로 만들어진 수세미 모양의 화분에서 피트모스, 질석, 진흙, 퇴비, 복합비료, 흡습제(40:25:19:1:0.1)의 배양토로 육묘되었다. 육묘과정의 마지막 3개월동안 $4{\sim}10$일 간격으로 반복된 건조-관수처리에 의하여 강건묘목으로 육성시켰다. 강건묘목은 경화처리전보다 수분포텐션이 낮아지고, 삼투압은 높아지고, T/R율은 낮아졌다. 강건묘목은 암반절개사면의 요철부 배양토에서 좋은 생존율과 생장율을 나타냈다.

  • PDF

가축분뇨를 활용한 도시텃밭 재배용토 제조 및 효능성 평가 (The Efficacy Assessment and Manufacture of Kitchen Garden Soil Using Livestock Manure for an Urban Agriculture)

  • 이종진;장기운;한기필;홍주화;이동석;김영준
    • 유기물자원화
    • /
    • 제23권2호
    • /
    • pp.61-66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도시농업조성을 위한 텃밭재배용 용토의 제조실험 및 이를 통한 상추의 생육실험을 진행하였다. 용토의 제조를 위한 최적의 원료배합비율은 이탄, 축분, 코코피트, 제올라이트, 미생물제제를 각각 49 : 35 : 10 : 5 : 1(w/w)로 혼합한 비율에서 pH, 전질소, 가용인산, 양이온, 염분함량 등이 적합한 비율로 나타났으며, 상추를 이용한 생육실험결과, 대조구와 비교하여 엽장과 엽폭은 각각 21%와 20%, 클로로필 함량은 17%, 생체중은 22%까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류나무 성숙 절간조직으로부터 식물체 증식 (Shoot Regeneration of Mature Nodal Segments in Poplar (Populus deltoides))

  • 양희선;강호덕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403-409
    • /
    • 2005
  • 미류나무 절간조직(2년생)을 이용하여 식물생장조절물질이 함유된 MS배지에서 대량의 식물체를 증식시켰다. 대부분의 식물체는 BA 1.0 + TDZ 0.1 mg/L가 함유한 배지에서 줄기의 형성층 부분에서 절편당 $24.6\;{\pm}\;4.6$개의 줄기가 유기되었으며, 몇몇 줄기는 피목 부분의 조직에서 유기되었다. 신장된 줄기는 NAA 0.01 mg/L가 포함된 배지에서 $94.6\%$의 발근이 이루어졌다. 신장된 줄기의 발근은 식물생장조절물질에 따라 차이를 보여 NAA와 IBA에서 $90\%$ 이상의 발근이 촉진되었으나, cytokinin류를 처리한 시료에서는 $50\%$ 이하의 낮은 발근율을 나타냈다. 발근된 유식 물체는 Cell-tray의 인공상토(peatmoss : vermiculite : perlite = 1 : 1 : 1)에 이식하여 8주간 생육후 $98\%$의 높은 생존율을 나타냈다. 본 연구결과, 2년생 미루나무류의 줄기에서 직접 대량의 줄기를 유도하여 대량증식과정을 단순화 시켰을 뿐만 아니라 조직배양묘 경화시 multi-cap을 이용하여 생존율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체세포배 형성을 통한 서울오갈피(Eleutherococcus seoulensis) 묘목의 대량생산 (Mass-production of Eleutherococcus seoulensis Seedlings Through Somatic Embryogenesis)

  • 이수광;강호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8권6호
    • /
    • pp.719-725
    • /
    • 2009
  • 본 연구는 체세포배를 통해 증식된 서울오갈피(Eleutherococcus seoulensis)의 기외 대량 묘목생산을 위한 최적의 조건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어뢰형의 체세포배는 $GA_3$가 각각 3.0 mg/L와 5.0 mg/L가 첨가된 1/3 MS와 WPM 배지에 치상하여 4주간 발아시켰으며 발아된 유식물체는 0.2% 활성탄과 1.0 mg/L $GA_3$가 첨가된 1/2 SH 배지에 옮겨주어 신장을 유도하였다. 신장된 유식물체는 대기순화 효과를 관찰하기 위해 membrane filter가 부착된 대기순화 용기에 치상하였다. 대기순화 처리와 더불어 토양의 종류가 야외순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혼합토(펄라이트+피트모스), 펄라이트, 서울 남산상토에 이식하였고, 서울 남산상토에서 대기순화 과정을 거친 식물체가 8주 후 70% 이상 생존하였다. 토양순화 과정을 거친 묘목은 야외 묘포장에 이식하였고, 그 결과 8주 후 95% 이상생존하였다.

양액재배용 평연화 왕겨 배지의 근권 pH 안정화 (Stabilization of Rhizosphere pH during Tomato Cultivation Using Expanded Rice Hull Substrate)

  • 임상현;김경희;전신재;유근창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95-100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팽연화왕겨를 이용한 토마토 양액재배시 높은 근권 pH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학 위해 공급배양액의 pH를 낮추는 방안과 배지 내에 pH 3.0∼4.0 수준의 sphagnum peatmoss를 혼합하는 두 가지 방법을 시도하였다. 급액 pH를 낮추는 방법은 근권 pH의 경시적 변화가 매우 커서 뿌리에 장해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유의성은 없으나 수량이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Spagnunm peatmoss를 혼합하는 방법은 10%(v/v) 혼합처리에서 안정적인 pH 수준이 생육 전기간에 걸쳐 유지되었으며 수분 특성 개선 등의 부수적인 효과가 있어 유의성 있는 증수 효과를 보여 팽연화왕결르 이용한 양액재배시 높은 근권 pH의 문제는 sphagnum peatmoss를 10%(v/v) 혼합하는 처리로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용기의 형태와 용적에 따른 찰피나무 유묘의 생장 (Growth of Mandshurian Linden (Tilia mandshurica Pupr, et Max.) Seedlings as Affected by Container Types and Volumes)

  • 윤택승;임지영;김종진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39-244
    • /
    • 2005
  • 본 연구는 시설양묘 용기에서 직근성 수종인 찰피나무 유묘의 생육상황 및 뿌리발달 형태를 탐구하기 위하여 5개월 간 플라스틱 온실에서 수행되었다. 공시용기로 사용된 플라스틱 망 용기와 일반 플라스틱 용기에서 생육한 용기묘의 수고생장 차이는 크지 않았으나, 근원경 생장은 플라스틱 망 용기에서 높게 나타났다. 플라스틱 망 용기는 묘목의 뿌리발달에 영향을 끼쳐 묘목의 뿌리발달을 촉진시켰으며, 전체 지하부의 건물생산량을 증가시켰다. 특히 플라스틱 망 용기묘에서는 적극적으로 유도된 공기단근에 의하여 나선형 뿌리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실험에 사용된 플라스틱망 용기는 찰피나무 용기묘 생산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이 용기에서 생산된 묘목은 다양한 식재지 환경에서 식재될 경우 활착율 증가는 물론 생장율 증가도 보일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