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arson similarity

검색결과 80건 처리시간 0.023초

개인 식품섭취 선호도에 따른 만성질환 발생 위험도 분석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hronic Disease Risk Analysis System according to Personalized Food Intake Preferences)

  • 전소혜;김남현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1권3호
    • /
    • pp.147-155
    • /
    • 2014
  • IT 기술의 발달로 인터넷에 다양한 콘텐츠가 늘고, 다양한 정보에서 개인의 적합한 정보를 제공받고자 하는 요구가 급증하면서 다양한 개인화 서비스를 제공 방법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구매 선호도에 따른 상품 추천시스템의 분석방법을 개인 식품섭취 선호도에 따른 고혈압 및 당뇨 발생위험도를 분석하는 시스템에 적용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개인의 식품섭취 선호도 분석을 위해, 피어슨 상관계수를 이용하여 참조데이터와 샘플데이터의 유사도 가중치를 계산하고, 개인과의 유사도에 따른 집단을 구성하여 고혈압과 당뇨의 발생 위험도를 산출한다. 시스템의 유의성 검정을 위해 1,021명의 샘플을 시스템에 적용하였다. 고혈압과 당뇨병의 유병군에서 정상인군에 비해 더 높은 발생 위험도가 산출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경향을 확인할 수 있어 식품섭취 선호도와 고혈압/ 당뇨의 발생 위험도의 관련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식품섭취 선호도에 따른 고혈압 및 당뇨 발생 위험도 분석 시스템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Textile 기반의 협력적 필터링 개인화 기술을 이용한 패션 디자인 추천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Fashion Design Recommender System using Textile based Collaborative Filtering Personalization Technique)

  • 정경용;나영주;이정현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9권5호
    • /
    • pp.541-550
    • /
    • 2003
  • 소재 개발의 프로세스가 고객 중심으로 다변화 되어가는 생활 환경 속에서 소비자의 감성과 선호도를 파악하는 것은 제품 판매 전략의 중요한 성공요소가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의 감성과 선호도를 중심으로 소재를 개발하는 방법의 하나로 협력적 필터링 개인화 기법을 응용하여 패션 디자인 추천 시스템(FDRS)을 제안한다. Textile 기반의 협력적 필터링 개인화 기술에서, 사용자들간의 유사도 가중치를 계산하기 위해서 피어슨 상판 계수(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를 사용한다. 소재에 대한 사용자의 감성이나 선호도에 대한 Textile의 대표 감성 형용사를 추출함으로써 소재 개발을 위한 감성 형용사 데이타베이스를 구축한다. 패션 디자인 추천 시스템(FDRS)은 구축된 감성 형용사 데이타베이스를 기반으로 성향이 비슷한 사용자에게 Textile 디자인을 추천한다. 패션 디자인 추천 시스템으로 개발하여 시스템의 논리적 타당성과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실험적인 적용을 시도하고자 한다.

제조 시계열 데이터를 위한 진화 연산 기반의 하이브리드 클러스터링 기법 (Evolutionary Computation-based Hybird Clustring Technique for Manufacuring Time Series Data)

  • 오상헌;안창욱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0권3호
    • /
    • pp.23-30
    • /
    • 2021
  • 제조 시계열 데이터 클러스터링 기법은 제조 대용량 데이터 기반 군집화를 통한 설비 및 공정 이상 탐지 분류를 위한 중요한 솔루션이지만 기존 정적 데이터 대상 클러스터링 기법을 시계열 데이터에 적용함에 있어 낮은 정확도를 가지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진화 연산 기반 시계열 군집 분석 접근 방식을 제시하여 기존 클러스터링 기술에 대한 정합성 향상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제조 공정 결과 이미지 형상을 선형 스캐닝을 활용하여 1차원 시계열 데이터로 변환하고 해당 변환 데이터 대상으로 Pearson 거리 매트릭을 기반으로 계층적 군집 분석 및 분할 군집 분석에 대한 최적 하위클러스터를 도출한다. 해당 최적 하위클러스터 대상 유전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유사도가 최소화되는 최적의 군집 조합을 도출한다. 그리고 실제 제조 과정 이미지 대상으로 기존 클러스터링 기법과 성능 비교를 통하여 제안된 클러스터링 기법의 성능 우수성을 검증한다.

Framework of Health Recommender System for COVID-19 Self-assessment and Treatments: A Case Study in Malaysia

  • Othman, Mahfudzah;Zain, Nurzaid Muhd;Paidi, Zulfikri;Pauzi, Faizul Amir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1호
    • /
    • pp.12-18
    • /
    • 2021
  • This paper proposes a framework for the development of the health recommender system, designed to cater COVID-19 symptoms' self-assessment and monitoring as well as to provide recommendations for self-care and medical treatments. The aim is to provide an online platform for Patient Under Investigation (PUI) and close contacts with positive COVID-19 cases in Malaysia who are under home quarantine to perform daily self-assessment in order to monitor their own symptoms' development. To achieve this, three main phases of research methods have been conducted where interviews have been done to thirty former COVID-19 patient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symptoms and practices conducted by the Malaysia Ministry of Health (MOH) in assessing and monitoring COVID-19 patients who were under home quarantine. From the interviews, an algorithm using user-based collaborative filtering technique with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similarity measure is designed to cater the self-assessment and symptoms monitoring as well as providing recommendations for self-care treatments as well as medical interventions if the symptoms worsen during the 14-days quarantine. The proposed framework will involve the development of the health recommender system for COVID-19 self-assessment and treatments using the progressive web application method with cloud database and PHP codes.

지능형 통증 간호중재 유헬스 시스템 성능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Intelligence Pain Nursing Intervention U-health System)

  • 정호일;류현;정경용;이영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1-7
    • /
    • 2013
  • 개인화 추천 시스템은 자동화된 정보 필터링 기술을 적용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상품을 추천해 주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기술 중 협력적 필터링은 비슷한 패턴을 가진 형태들을 식별해 내는 기법이다. 따라서 이를 이용하면 과거 유사한 형태를 가진 환자의 자료를 통하여 통증 강도를 유추 하거나 분류된 환자의 프로필의 유사도에 따라 관련 사정을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유사도 가중치 추출의 대표적인 방법인 피어슨 상관계수를 사용하는 방법은 데이터의 양에 따라 표본 데이터가 적은 경우 예측 값이 부정확해지고 양이 방대한 경우 계산량이 제곱으로 늘어 신속한 결과를 추출할 수 없게 되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MAE와 순위 스코어를 사용하여 의미있는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표본 자료의 규모와 유사도 군집량을 비교하여 구현된 지능형 통증 간호중재 유헬스 시스템의 우수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하여 통증환자의 고통호소를 간호사가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기초자료와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게 되고, 따라서 환자의 안위 증진이 향상되게 된다.

참가자 간 표상 유사성 분석을 이용한 정서 자극 반응 일치성 비교: 행동 및 생리 데이터를 기반으로 (Consistency of Responses to Affective Stimuli Across Individuals using Intersubject Representational Similarity Analysis based on Behavioral and Physiological Data)

  • 장준혁;김현중;김종완
    • 감성과학
    • /
    • 제26권3호
    • /
    • pp.3-14
    • /
    • 2023
  • 본 연구는 참가자 간 표상 유사성 분석(intersubject representation similarity analysis: IS-RSA)을 이용하여 3개의 선행연구에서 얻어진 데이터의 참가자 반응 일치성 패턴을 확인하고 각 실험의 정서 조건 간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3개의 실험은 각각 ASMR 자극, 시각 및 청각 자극, 시계열적 정서 동영상 자극을 사용하였으며 각 실험의 조건에 맞게 정서 평정치와 생리측정치를 측정하였다. 참가자 간 표상 유사성 분석을 계산하기 위해서 각 실험에 있는 각 자극에 대한 참가자들의 측정치를 쌍별로 피어슨 상관계수를 구하였다. 실험의 조건 간 비교를 위해 분산분석과 평균을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ASMR과 시각 및 청각 데이터의 참가자 간 반응의 일치성은 시계열적 정서동영상 참가자들 반응의 일치성에 비해 일관적이었다. ASMR 실험은 긍정 자극에서 참가자 간 반응의 일치성이 높았다. 청각 및 시각 실험은 높은 각성수준과 시각 자극에서 참가자들의 반응 일치성이 높았다. 본 연구 결과는 생리적, 행동적 반응에 대한 측정치의 IS-RSA가 다차원적인 데이터의 정보를 요약하여 제시하며 이를 하나의 분석 데이터로 변환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IS-RSA가 참가자들의 반응 일관성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를 제시할 수 있는 새로운 분석 방법으로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소나무 잎 중 PBDEs의 조성, 발생원 및 지역적 농도 (Composition, Source, and Regional Concentration of PBDEs in Pine Needles)

  • 여현구;조기철;천만영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8권8호
    • /
    • pp.829-835
    • /
    • 2006
  • PBDEs의 조성, 발생원 및 지역적 농도 분포를 확인하기 위해 국내의 여러지역(서울, 안성, 청주, 울산, 대구, 부산, 파도리)에서 자생하는 소나무 잎을 채취하였다. Hepta-BDE부터 deca-BDE까지의 동족체(homologs) 농도는 총 PBDEs의 농도와 매우 유의한 상관성(Pearson 상관계수 r>0.96, p<0.001)을 보였다. Deca-BDE는 다른 homologs에 비해 모든 시료에서 최대농도를 나타내었다. PBDE 함유 제품(Bromkal 70-5DE, DE-71)과 소나무 중 침착된 PBDE 동질체(congeners) 사이의 상관성이 높게 나타나 PBDE 함유 제품이 본 채취지점에서 발생원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BDE-47, -99, -100, -206, -207 및 -209는 모든 소나무 잎에서 주된 성분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전세계적으로 다량 사용된 penta-BDE와 deca-BDE 함유 제품이 국내에도 다량으로 사용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BDE-209와 BDE-47, -99, -100간의 상관성은 유의하지 않았는데 이는 tetra-BDE와 penta-BDE는 대기-토양 분배와 같은 2차 발생원에 영향이 지배적인 반면 deca-BDE는 여전히 1차 발생원의 영향이 2차 발생원의 영향보다 지배적이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SOM을 이용한 전남 호소의 식물플랑크톤 군집과 수질 관계 분석 (Relationship between Phytoplankton Community and Water Quality in Lakes in Jeonnam using SOM)

  • 조현진;나정은;정명화;이학영
    • 생태와환경
    • /
    • 제50권1호
    • /
    • pp.148-156
    • /
    • 2017
  • 전라남도에 위치한 12개의 호소에서 식물플랑크톤 군집변화 양상 및 환경요인과 시공간적 특징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2014년 3월부터 11월까지 총 4차례에 걸쳐 조사를 시행하였다. 전체 조사기간 동안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은 총 297종으로, 규조류 98종, 녹조류 148종, 남조류 23종, 그 외 와편모조류를 포함한 기타조류 28종으로 확인되었고, 조사시기별 출현종은 3월 116종, 6월 163종, 8월 162종, 11월 169종으로 1차 조사를 제외한 대부분의 시기에 다소 높은 출현종수를 보였다. 조사기간 동안 확인된 식물플랑크톤의 개체수는 $124{\sim}59,148cells\;mL^{-1}$의 범위를 나타냈고, 조사시기별 평균 출현개체수는 3월 $3,443cells\;mL^{-1}$, 6월 $4,055cells\;mL^{-1}$, 8월 $11,763cells\;mL^{-1}$, 11월 $4,614cells\;mL^{-1}$로 봄철에서 여름철로 계절이 진행되면서 증가한 후 가을철로 접어들면서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남조류의 개체수 변화에 따른 결과로 확인되었다. 식물플랑크톤 군집과 이화학적 요인을 이용한 SOM 분석 결과 $9{\times}6$ 격자에서 최적화되었고, 5개의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SOM 분석을 통한 식물플랑크톤의 군집과 연관이 있는 이화학적 요인은 수온, SS, DO, BOD, TP, Chl-a로 확인되었고 pH, TN, $NH_3-N$, $NO_3-N$, $PO_4-P$, 전기전도도 등은 관련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물플랑크톤 군집과 이화학적 요인 간의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산출한 결과 식물플랑크톤의 군집은 대체로 수온, DO, SS, TP, 전기전도도, Chl-a와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고, pH, TN, $NH_3-N$, $NO_3-N$, $PO_4-P$ 등과는 유의성이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전라남도 내 주요 호소에서의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분포는 주로 수온, SS, DO, BOD, Chl-a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pH, TN, $NH_3-N$, $NO_3-N$, $PO_4-P$와의 관련성은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중첩 불일치 평가기준으로서의 계수공제영상의 계조도 표준편차 연구 (The Study of Standard Deviation of Gray Scale Histogram in Digital Subtraction Radiography as a Test Parameter for SuperimpoSition Error)

  • 조봉혜
    • 치과방사선
    • /
    • 제29권2호
    • /
    • pp.417-422
    • /
    • 1999
  • Purpos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validity of standard deviation of gray scale histogram in digital subtraction radiography as a test parameter for superimposition error. Materials and Methods : Twenty periapical radiographs were used as baseline images and they were copied to exclude the influence of exposure geomety and contrast differences. These subsequent images were linearly displaced by 0.1-0.5 mm in the x-. y- and xy-directions, rotated by 0.5-3° and distorted by angular contraction of 1-5° in x- and y-axis before subtraction. The standard deviations of gray levels in the subtraction images were obtained and paired t-tests were performe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r) were calculated between the standard deviations and the superimposition errors. Results : Linear displacement showed high correlation coefficients of 0.997, 0.997 and 0.995 in x-. y- and xy-axis respectivel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t standard deviation existed among all linearly displaced groups(p<0.05). Distortion showed relatively low correlation coefficients of 0.982 and 0.959 in x- and y-axis. The standard deviations between the two distortion group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t(p<0.05). Conclusion : Standard deviation of gray level distribution in digital subtraction images is satisfactory but not perfect similarity measure to assess the superimposition errors.

  • PDF

수정된 바이폴라 전극을 갖는 착용형 심장활동 모니터링 시스템 구현 및 임상 심전도와의 상관관계 분석 (Implementation of Wearable Heart Activity Monitoring System having Modified Bipolar Electrode and Correlation Analysis with Clinical Electrocardiograph(ECG))

  • 이강휘;이정환;이영재;김경섭;양희경;신건수;이명호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57권6호
    • /
    • pp.1102-1108
    • /
    • 2008
  • Wearable physiological signal monitoring systems are regarded as an important sensing unit platforms in ubiquitous/mobile healthcare application. In this paper, we suggested the modified bipolar electrodes implemented on the portable heart activity monitoring system, which minimized the distance of electrodes formed on a attachable pad. The proposed electrode configuration is useful in mobile measurement environments, but has a disadvantage of reduced amplitude of the heart action potential. In order to overcome the shortcoming of the suggested electrode configuration, we implemented the amplifying circuit to increase the signal-gain and decrease the artifacts. For evaluations, we analyzed the specificity of measured cardiography using the proposed electrodes through the comparing of heart activity monitoring system with standard clinical ECG(lead2) by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The result showed that the average correlation coefficient is $0.903{\pm}0.036,\;0.873{\pm}0.072$ at V3, V4 chest lead position, respectively. Thus, the modified bipolar electrode is quite suitable to monitor the electrical activity of the heart in the situation of the mobile environment, and could be considered having high similarity with standard clinical EC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