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ak period

검색결과 1,584건 처리시간 0.029초

강우에 따른 거제만해역 육상오염원의 영향평가 (Evaluation of the Influence of Inland Pollution Sources on Shellfish Growing Areas after Rainfall Events in Geoje Bay, Korea)

  • 하광수;유현덕;심길보;김지회;이태식;김풍호;주자연;이희정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612-621
    • /
    • 2011
  • The influences of inland pollution sources because of rainfall events on the bacteriological water quality in Geoje Bay, a major shellfish production area in Korea, were investigated. The sanitary status of sea water and shellfish after rainfall events was also evaluated. The flow rates of 13 streams around Geoje Bay showed 6 to 7-fold increases after 15 to 21 mm of rainfall. Peak pollution was observed in the Naegan Stream, the Gandeok Stream and the Seojeong Stream. The calculated impact area of inland pollution sources was 3.1 $km^2$ immediately after 15 mm of rainfall and expanded to 3.5 $km^2$ after 24 hours. These calculations of impacted area matched results from fecal coliform analyses with sea water. The distance between the major pollution source in the bay (the Gandeok Stream) and the station with the worst bacteriological water quality immediately after 15 mm of rainfall, which was below the Korean standard, was 0.8 km in a straight line; this distance increased to 2.0 km after a period of 24 hours. The area impacted by inland pollution sources after a 15 mm rainfall event was wider than after a 21 mm rainfall. Although the flow rate from inland pollution sources was higher, the concentration of fecal coliform in the discharged water was lower after higher rainfall events. These observations corresponded with the results of fecal coliform analyses with sea water samples. According to the evaluation of the influences of inland pollution sources and fecal coliform analyses on sea water and shellfish samples in Geoje Bay, pollutants from inland sources did not reach the boundary line of the shellfish growing area after rainfall events of 15 or 22 mm. The bacteriological water quality of the shellfish growing area in Geoje Bay met the Korean standard and US NSSP requirements for approved shellfish growing areas.

몇 가지 식품의 이화학적 특성 및 균증식 억제에 대한 점토광물 처리의 영향 (Effects of Clay Minerals Treatment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Growth Inhibition of Microoganism of Some Foods)

  • 정옥진;우관식;김광엽;이희붕;정헌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23-29
    • /
    • 2005
  • 국내산 점토광물들의 식품 잠재적 가치를 알아보고, 그 활용 특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점토광물에 대한 항산화성, 항균성, 물성에 대한 영향, 고미취 흡착능력 등을 측정하였다. 전자 공여능에 의한 항산화력 측정 결과 bentonite가 20.6%로 가장 우수하였다. 과산화물가에 의한 항산화력 측정결과 저장 7일째의 POV가는 control 310 meq/kg이었으며, vermiculite가 100 meq/kg로 가장 우수한 산패 지연 효과를 나타내었고, TBA가에 의한 항산화력은 zeolite가 가장 우수하였다. 향균활성 측정결과 illite, vermiculite, zeolite를 첨가한 배지에서 E. coli, .S. aureus의 균주에 대해 증식 지연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농도가 높아질수록 증식 속도가 지연되었다. 응력완화와 파손강도 측정으로부터 각 점토광물은 무의 조직과 물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쌀의 취반시 kaolin, vermiculite를 첨가하였을 때 pentanol, hexanal, nonanal, linoleate, stearic acid, oleic acid 등 고미취의 원인이 되는 대부분 화합물의 peak area는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국내산 여러 점토광물은 항산화력 및 유지 산패 지연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향균활성 및 물성 변화 억제 그리고 고미취의 원인이 되는 여러 화합물들을 흡착하는 등 여러 가지 각종 부수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슈크로오스 지방산 에스테르와 대두유 첨가 쌀가루겔의 노화 (Retrogradation of Sucrose Fatty Acid Ester and Soybean Oil Added Rice Flour Gels)

  • 문세훈;김정옥;이신경;신말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305-310
    • /
    • 1996
  • 동진벼 쌀가루에 슈크로오스 지방산 에스테르(SE1670)와 대두유를 0.5, 1.0, 2.0% (w/w, 쌀가루 건물당) 첨가하여 50% 쌀가루겔을 제조하고 $20^{\circ}C$$4^{\circ}C$에서 1, 3, 6일간 저장하면서 노화도를 ${\alpha}$-아밀라아제-요드법으로 측정하고 DSC와 X-선 회적도로 비교하였다. 쌀가루겔의 노화도는 첨가물의 종류와 첨가수준에 관계없이 모든 시료에 있어 $20^{\circ}C$저장에 비하여 $4^{\circ}C$저장했을 때 노화가 더 빨리 진행되었다. SE1670과 대두유의 첨가수준이 증가할수록 노화도는 감소하였고 특히 1일 저장시 노화억제 효과가 켰다.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SE1670 첨가로 인한 노화억제 호과는 뚜렷하였으나 대두유를 첨가한 시료의 노화도는 큰 변화가 없었다. SE1670 첨가시 DSC에 의한 노화 용융 엔탈피는 ${\alpha}$-아밀라아제-요드법과 같은 경향이었으나 대두유를 첨가했을 때는 달랐다. X-선 회절도에서는 첨가물질에 따라 $2{\theta}=16.7^{\circ}$에서 피크가 감소하였으나 뚜렷한 차이는 없었다.

  • PDF

한반도 서남 연안 붉바리(Epinephelus akaara)의 연령과 성장 (Age and Growth of Epinephelus akaara in the South Western Sea of Korea)

  • 이태원;이창규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6-22
    • /
    • 1996
  • 한반도 서남 연안에서 채집된 붉바리의 이석을 이용하여 연령을 사정하고, 이석 윤문의 폭으로부터 체장을 역추정하여 체장과 체중의 성장을 추정하였다. 붉바리의 이석은 박편을 제작하여 암시야 현미경으로 관찰하면 연륜이 비교적 용이하게 구분되어 연령을 사정할 수 있었다. 붉바리의 주산란기는 7월이고 겨울에 연륜이 형성되기 때문에 각 연륜이 형성되었을 때의 나이는 연륜의 수에서 0.5를 감하였다. 관찰된 최대 연령은 9세이었으며, 최대 체장은 47.0cm이었다. 체장(L, cm)은 이석의 장반경(R, ${\mu}m$)에 유의하게 일차 비례하였다(L= -2.84+0.0070 R). 붉바리는 유어기에 이석의 성장이 체장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빠른 것으로 보이며, 1세 이후는 체장과 이석의 성장이 비례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연륜이 형성되었을 때의 체장을 역추정한 각 나이별 평균 체장은 Von Bertalanffy의 성장식 Lt = 55.6[1-exp{-0.161(t+0.631)}]로 유의하게 나타낼수 있었다. 체장-체중(W, g)의 관계식 W=0.00608$L^{3.21}$을 이용하여 나이에 따른 체중(Wt) 성장식은 Wt=2422[1-exp{-0.161(t+0.631)}]$^{3.21}$로 표시되었다. 붉바리는 2세까지 성장률이 빨랐고, 그 이후 감소하지 만 5세 이후에도 비교적 높은 성장률을 보였다.

  • PDF

문둥이박쥐(Eptesicus serotinus)의 생후 반향정위 발성 발달에 관한 연구 (Postnatal Development of Echolocation Vocalizations in the Serotine Bat, Eptesicus serotinus (Chiroptera: Vespertilionidae))

  • 정철운;한상훈;김성철;임춘우;차진열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858-864
    • /
    • 2015
  • 문둥이박쥐(Eptesicus serotinus)의 생후 발성발달 특징을 파악하기 위하여 임신한 암컷 3개체로부터 총 4개체의 새끼 박쥐를 확보하여 발성변화를 분석하였다. 녹음 및 분석은 생후 1일부터 40일까지 수행하였으며, 펄스 지속시간(PD), 펄스 간격(PI), 최고 주파수(PF), 시작 주파수($F_{MAX}$), 종료 주파수($F_{MIN}$), 대역폭(BW)에 대하여 측정하였다. 새끼 박쥐는 생후 초기에 가장 다양한 패턴의 음성을 발산하였으며,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서 점차 어미와 유사해졌다. PD와 PI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반면 PF, $F_{MAX}$, $F_{MIN}$, BW는 증가하였다. PF, $F_{MAX}$, $F_{MIN}$, BW는 생후 10일에서 20일 사이에 가장 큰 변화가 확인되었으며, PD는 생후 30일에서 40일 사이에 가장 큰 변화가 확인되었다. 따라서 진동수의 발성과 관련이 있는 발성근육의 수축 능력은 생후 20일경 가장 발달하게 되며, 발성시간과 관련된 발성근육의 이완 능력은 생후 30일에서 40일 사이에 가장 발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 이용된 새끼 개체들은 생후 40일차에도 비행이 확인되지 않았으나 발성음은 어미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새끼 박쥐의 발성 발달은 비행행동 또는 비행과 관련된 근육의 발달을 필수적으로 동반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라 판단된다.

기후변화에 따른 미계측 도시유역의 확률홍수량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ariation of design flood due to climate change in the ungauged urban catchment)

  • 황정윤;안정환;정창삼;허준행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1권5호
    • /
    • pp.395-404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미계측 도시유역의 수공구조물 설계기준의 불확실성을 검토하기 위해 과거관측자료(S0)를 기준으로 상세화 기법(downscaling) 및 편의보정(bias correlation)을 통해 생산된 RCP 4.5 기후시나리오 HadGEM3-RA (RCM)모델을 이용하여 S1 (2017~2046년), S2 (2047~2076년), S3 (2077~2100년) 기간의 확률강우량의 변화를 평가하고, 도시유출모형을 이용하여 최대첨두홍수량을 산정하고 기후변화 기간별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때 확률분포형은 Gumbel, 매개변수 추정은 최우도법(ML)을 사용하였다. 평가 결과 대부분의 도시배수시설물 설계빈도인 10년 빈도의 경우 3사분위값을 기준으로 50년 미래를 가정할 경우에는 약 10%, 70년 이상의 미래를 가정할 경우에는 약 20%의 확률 홍수량 증가가 예상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현재를 기준으로 설정된 설계홍수량으로 설치된 도시배수시설물이 미래에는 설계기준에 미달하는 시설물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기후변화에 대응 위해서 설계기준에 시설물의 내구연한을 고려한 미래 기후상태를 반영해야할 것으로 판단된다.

임플랜트의 표면처리 방법이 골유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VARIOUS SURFACE TREATMENT METHODS ON THE OSSEOINTEGRATION)

  • 최정원;김광남;허성주;장익태;한종현;백홍구;최용창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71-83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various surface treatments by measuring removal torque on bone healing around titanium implants. 40 Screw-shaped cp titanium implants with length of 4mm, outer diameter of 3.75mm, and pitch-height of 0.5mm were used Group 1 was left as machined(control), Group 2 was blasted with $50{\mu}m\;Al_2O_3$, group 3 was blasted and etched in etching solution($NH_4OH : H_2O_2:H_2O= 1 : 1 : 5$) at $90^{\circ}C$ for 1 minute group 4 was blasted and oxidated under pure oxygen at $800^{\circ}C$. The implant surface roughness was analyzed with SEM and CLSM(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e) and implants were placed in proximal tibial metaphysis of 10 New Zealand White rabbits. After 3 months of healing period, removal torque of each implant was measured to compare bone healing around implant.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In SEM view, blasting increased the roughness of the surface, but etching of that rough surface decreased the roughness due to the removal of the tip of the peak. Oxidation also decreased the roughness due to formation of needle-like oxide grains on the implant surface. 2. The Sa value from CLSM was least in the machined group($0.47{\mu}m$), greatest in blasted group($1.25{\mu}m$), and the value decreased after etching($0.91{\mu}m$) and oxidation($0.94{\mu}m$). 3. The removal torque of etched group(24.5Ncm) was greater than that of machined group(16.7Ncm) (P<0.05), and was greatest in the oxidated group(40.3Ncm) and the blasted group(34.7Ncm).

  • PDF

천층 토양 내 지중온도 변동 특성과 수치모델 평가 (Fluctuation Features and Numerical Model for Underground Temperature in Shallow Subsurface Soil)

  • 정재훈;김규범;박승기;김형수;김태형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6권5호
    • /
    • pp.35-42
    • /
    • 2015
  • 본 연구는 충남 예산지역의 산림 토양에 대해 심도별 지중온도를 관측하고 기후 및 토양의 침투 특성에 따른 지중온도의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대기온도와 토양의 열물성치를 수치 해석적 모델에 적용하여 지중온도의 변화를 모사하였다. 심도별(20, 50, 100cm) 계측 자료를 분석한 결과 50cm 이내의 지중온도는 대기온도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아 온도의 변동 폭이 크고 뚜렷하며, 100cm 심도에서는 완만하면서 작은 진동 폭을 갖는다. 연구 기간 동안의 지중온도 변화량은 지층의 수리전도도와 약한 정의 상관관계를 갖고 있어 물의 흐름이 대기온도의 전달을 용이하게 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수치모델에 의한 지중온도 예측 결과는 실측 자료와 약 0.99의 교차상관계수를 보이고 있어 매우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불포화 토양의 수리전도도와 지하수 함양량을 추정하는데 수치모델을 이용한 대수층의 지중온도 예측 결과를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둑나방 (Mamestra brassicae L.)의 온도별 발육 특성과 고랭지배추 재배포장에서의 발생소장 (Temperature-dependant development and seasonal occurrence of Cabbage armyworm (Mamestra brassicae L.) at Highland Chinese cabbage fields)

  • 권민;권혜진;이승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25-230
    • /
    • 2005
  • 도둑나방(Mamestra brassicae L.)의 온도별 발육특성과 고랭지배추포장에서의 발생소장을 조사하였다. 15, 20, 22, $25^{\circ}C$ 항온조건에서 알의 발육기간은 각각 9.2, 6.2, 5.0, 3.9일이었고, 유충의 발육기간은 각각 40.5, 30.1, 23.3, 21.2일이었다. 또한 알에서 성충으로 발육하기까지 각각 88.3, 63.0, 52.3, 42.8일이 소요되었다. 발육영점온도와 유효적산온도는, 알에 대해서 $7.9^{\circ}C$와 69.4 DD, 유충에 대해서 434.8 DD, 번데기에 대해서 $6.7^{\circ}C$와 344.8 DD이었다. 암컷의 총 산란수는 온도가 상승할수록 커졌는데, $15^{\circ}C$에서 1262.1개, $20^{\circ}C$에서 1663.8개, $25^{\circ}C$에서 1763.2개를 낳았다. 또한 난괴당 알의 수는 온도별로 각각 99.4, 114.7, 167.9개였다. 도둑나방 성충은 대관령 고랭지 배추재배지역에서 6월 중순부터 8월 하순까지 발생하였으며, 일년에 2회 발생하였는데, 6월 하순과 8월 초순에 각각 최대발생량을 보였다.

LATEST RESULTS OF THE MAXI MISSION

  • MIHARA, TATEHIRO
    • 천문학논총
    • /
    • 제30권2호
    • /
    • pp.559-563
    • /
    • 2015
  • Monitor of All-sky X-ray Image (MAXI) is a Japanese X-ray all-sky surveyer mounted on the International Space Station (ISS). It has been scanning the whole sky since 2009 during every 92-minute ISS rotation. X-ray transients are quickly found by the real-time nova-search program. As a result, MAXI has issued 133 Astronomer's Telegrams and 44 Gamma-ray burst Coordinated Networks so far. MAXI has discovered six new black holes (BH) in 4.5 years. Long-term behaviors of the MAXI BHs can be classified into two types by their outbursts; a fast-rise exponential-decay type and a fast-rise flat-top one. The slit camera is suitable for accumulating data over a long time. MAXI issued a 37-month catalog containing 500 sources above a ~0.6 mCrab detection limit at 4-10 keV in the region ${\mid}{b}{\mid}$ > $10^{\circ}$. The SSC instrument utilizing an X-ray CCD has detected diffuse soft X-rays extending over a large solid angle, such as the Cygnus super bubble. MAXI/SSC has also detcted a Ne emission line from the rapid soft X-ray nova MAXI J0158-744. The overall shapes of outbursts in Be X-ray binaries (BeXRB) are precisely observed with MAXI/GSC. BeXRB have two kinds of outbursts, a normal outburst and a giant one. The peak dates of the subsequent giant outbursts of A0535+26 repeated with a different period than the orbital one. The Be stellar disk is considered to either have a precession motion or a distorted shape. The long-term behaviors of low-mass X-ray binaries (LMXB) containing weakly magnetized neutron stars are investigated. Transient LMXBs (Aql X-1 and 4U 1608-52) repeated outbursts every 200-1000 days, which is understood by the limit-cycle of hydrogen ionization states in the outer accretion disk. A third state (very dim state) in Aql X-1 and 4U 1608-52 was interpreted as the propeller effect in the unified picture of LMXB. Cir X-1 is a peculiar source in the sense that its long-term behavior is not like typical LMXBs. The luminosity sometimes decreases suddenly at periastron. It might be explained by the stripping of the outer accretion disk by a clumpy stellar wind. MAXI observed 64 large flares from 22 active stars (RS CVns, dMe stars, Argol types, young stellar objects) over 4 years. The total energies are $10^{34}-10^{36}$ erg $s^{-1}$. Since MAXI can measure the spectrum (temperature and emission measure), we can estimate the size of the plasma and the magnetic fields. The size sometimes exceeds the size of the star. The magnetic field is in the range of 10-100 gauss, which is a typical value for solar fla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