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ak control

검색결과 2,178건 처리시간 0.033초

2-deoxy-D-glucose와 quercetin이 방사선조사 MC3T3-E1 골모세포주의 분화시 bone sialoprotein과 osteocalcin 유전자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2-deoxy-D-glucose and quercetin on the gene expression of bone sialoprotein and osteocalcin during the differentiation in irradiated MC3T3-E1 osteoblastic cells)

  • 이지운;김경아;고광준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39권3호
    • /
    • pp.121-132
    • /
    • 2009
  • Purpose :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2-deoxy-D-glucose (2-DG) and quercetin (QCT) on gene expression of bone sialoprotein (BSP) and osteocalcin (OC) during the differentiation in irradiated MC3T3-E1 osteoblastic cells. Materials and Methods : When MC3T3-E1 osteoblastic cells had reached 70-80% confluence, cultures were transferred to a differentiating medium supplemented with 5 mM 2-DG or $10{\mu}M$ QCT, and then irradiated with 2, 4, 6, and 8 Gy. At various times after irradiation, the cells were analyzed for the synthesis of type I collagen, and expression of BSP and OC. Results : The synthesis of type I collagen in cells exposed to 2 Gy of radiation in the presence of 2-DG or QC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within 15 days post-irradiation. When the cells were irradiated with 8 Gy, 2-DG facilitated the irradiation mediated decrease of type I collagen synthesis, whereas such decrease was inhibited by treating with QCT. During MC3T3-E1 osteoblastic cell differentiation, the mRNA expression of BSP and OC showed the peak value at 14 days and 21 days, respectively. 2-DG or QCT treatment alone decreased the level of BSP mRNA, but increased the OC mRNA level only at early time of differentiation (day 7). In the cells irradiated with 2, 4, 8 Gy, the mRNA expression of BSP and OC decreased at 7 days after the irradiation. The cells were treated with various dose of radiation in the presence of 2-DG or QCT, the mRNA level of both BSP and OC increased although this increase was observed at low dose of radiation (2 Gy) and at the early stage of differentiation. However, when the cells were exposed to 4, 6, or 8 Gy, the increase of BSP and OC mRNAs was detected only in cells co-incubated with QCT. Conclusion :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2-DG and QCT affect differently the expression of bone formation related factors, type I collagen, BSP, and OC in the irradiated MC3T3-E1 osteoblasic cells, according to the dose of radiation and the times of differentiation. Overall, the present findings suggest that 2-DG and QCT could have the regulatory roles as radiation-sensitizer and -protector, respectively.

  • PDF

임플랜트의 표면처리 방법이 골유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VARIOUS SURFACE TREATMENT METHODS ON THE OSSEOINTEGRATION)

  • 최정원;김광남;허성주;장익태;한종현;백홍구;최용창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71-83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various surface treatments by measuring removal torque on bone healing around titanium implants. 40 Screw-shaped cp titanium implants with length of 4mm, outer diameter of 3.75mm, and pitch-height of 0.5mm were used Group 1 was left as machined(control), Group 2 was blasted with $50{\mu}m\;Al_2O_3$, group 3 was blasted and etched in etching solution($NH_4OH : H_2O_2:H_2O= 1 : 1 : 5$) at $90^{\circ}C$ for 1 minute group 4 was blasted and oxidated under pure oxygen at $800^{\circ}C$. The implant surface roughness was analyzed with SEM and CLSM(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e) and implants were placed in proximal tibial metaphysis of 10 New Zealand White rabbits. After 3 months of healing period, removal torque of each implant was measured to compare bone healing around implant.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In SEM view, blasting increased the roughness of the surface, but etching of that rough surface decreased the roughness due to the removal of the tip of the peak. Oxidation also decreased the roughness due to formation of needle-like oxide grains on the implant surface. 2. The Sa value from CLSM was least in the machined group($0.47{\mu}m$), greatest in blasted group($1.25{\mu}m$), and the value decreased after etching($0.91{\mu}m$) and oxidation($0.94{\mu}m$). 3. The removal torque of etched group(24.5Ncm) was greater than that of machined group(16.7Ncm) (P<0.05), and was greatest in the oxidated group(40.3Ncm) and the blasted group(34.7Ncm).

  • PDF

들깨분말을 첨가한 식빵의 레올로지 및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Dough Rheological Properties of Pan Bread with Perilla Seed Powder)

  • 지정란;정현철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42-155
    • /
    • 2013
  • 들깨분말을 기능성 식품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들깨분말 첨가비율을 달리하여 만든 반죽의 물성특성과 식빵을 제조한 후 물리화학적, 기계적, 관능적 품질특성을 분석하여 들깨분말을 첨가한 식빵의 최적의 배합비를 찾고 기능성 재료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들깨분말의 일반성분은 수분함량은 6.60%, 조단백은 23.04%, 조지방은 51.62%, 조회분 함량은 3.46%로 나타났다. 들깨분말 첨가 식빵 반죽의 sedimentation value와 pelshenke value는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Farinograph 측정 결과 반죽의 consistency, water absorption와 tolerance index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stability와 time breakdown은 감소 하였다. Amylograph 측정 결과 pasting temperature, peak viscosity, hot past viscosity, final viscosity, breakdown과 setback은 첨가물이 증가될수록 감소하였다. 들깨 식빵의 굽기 손실률과 비용적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색도는 L값과 b값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a값은 증가하였다. Texture 측정 결과 경도는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응집성, 탄력성과 씹힘성은 감소하였다. 기호도 검사는 15% 첨가군이 색, 향, 맛, 외관, 질감이 가장 좋게 나타났으며 전체적인 기호도는 15% 첨가군이 가장 좋게 나타났다.

  • PDF

이화명충과 과수잎말이나방류 해충의 합성 Pheromone에 관한 연구 (Studios on the Synthetic Pheromones of Striped Rice Borer and Tortricid Insect Pests)

  • 송유한;송혜영;김학기;장영덕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41-47
    • /
    • 1978
  • 본 시험은 이화명충과 과수의 잎말이류 및 Codling Moth의 Pheromone등 모두 15종의 합성 Pheromone을 도입하여 국내해충의 예찰과 방제에 이용가능한 Pheromone의 선발코자 수행하였다. 이화명충 Pheromone은 미국의 열대생산물연구소에서 합성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과수해충의 Pheromone은 Comell 대학과 Zoecon회사에서 공급받았다. 본 시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이화명충의 미교미 암컷을 넣은 Trap이 합성 Pheromone을 넣은 Trap보다 숫컷을 유인하는 능력이 컸다. 2. 이화명충의 합성 Pheromone은 설치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인력이 감소하여 발생정점을 잡을 수 없었다. 3. 과수잎말이류 해충중 복숭아순나방이 OFM과 LAW Pheromone에 가장 많이 유인되었다. 4. OBLR, RBLR, SPAR, 그리고 ArcM Pheromone에 수종의 과수잎말이류 나방이 다수 유인되었으나 기타 8종의 Pheromone에는 유인나방의 수가 적었다. 5. 본 시험의 결과로 보아 해충의 발생예찰에 이용가능 할 것으로 생각되는 합성 Phreomone과 이들의 적용해충은 다음과 같다. OFM, LAW: 복숭아순나방 OBLR: 사과무늬잎말이나방 OBLR, RBLR, ArcM: 한국잎말이나방, 검모무늬 잎말이나방, 사과잎말이나방 SPAR, TBM Pyroderces속의 일종

  • PDF

인($^{31}$P) 자기공명분광법을 사용하여 사립체 근질병환자와 정상인과의 대사물질 비교조사 (Metabolic Abnormalities in Patients with Mitochondrial Myopathy Evaluated by In Vivo $^{31}$P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 Bo-Young Choe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2권1호
    • /
    • pp.89-95
    • /
    • 1998
  • 목적 : 인($^{31}P$) 자기공명분광법을 사용하여 사립체 근병(mitochondria myopathy) 환자의 대퇴부 근조직의 대사물질의 변화를 정상인과 비교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사립체 근병환자 10명과 정상인 10명을 대상으로 1.5T MRI/MRS 장비를 사용하여 인($^{31}P$) 자기공명분광법을 적용하였다. 오른쪽 대퇴부위의 근조직에 $4{\;}{\times}{\;}4{\;}{\times}4{\;}cm^{3}$ 의 관심부위 (volume of interest ; VOI)를 선정하여 image selected in vivo spectroscopy (ISIS)를 저용하였다. 인대사불질의 정\ulcorner분석은 Marquart algorithm을 사용하였다. 결과 : 사립체 근병환자의 특징은 정상인과 비교하여 Pe/PCr 대사비율이 상당히 증가하고 (P=0.003), ATP/PCr 대사비율은 상당히 감소하였다(p=0.004). 특히 ATP 중 ${\beta}-ATP/PCr$ 비율의 변화가 가장 심하게 나타났다. 환자군과 정상군의 pH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큰 의의는 없었다. 결론 : 인($^{31}P$) 자기 공명분광법은 사립체 근병환자의 대퇴부 근조직의 ATP/PCr 과 Pi/PCr 대사비율을 토대로 유용한 임상 평가 자료를 제공하고, 따라서 근대사물질의 질병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DCT 직류 값을 이용한 움직임 추정기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otion Estimator Design Using DCT DC Value)

  • 이권철;박종진;조원경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38권3호
    • /
    • pp.258-268
    • /
    • 2001
  • 정보량이 많은 고화질의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하기 위하여 압축 알고리즘을 필수적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시간적 중복성을 제거하는 동영상의 압축방법은 움직임 추정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본 연구에서 설계하고자 하는 움직임 추정기는 블록정합 알고리즘이며, MPEG 부호기에서 사용되는 DCT 연산 결과인 DC 값을 이용하여 화면의 밝기를 판단한다. 움직임 추정기는 휘도 신호 8비트 모두를 사용하지 않고, 화면 밝기에 따른 비트 플레인(bit plane)에서 3비트만 선택하는 비교선택기를 이용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비교 선택기는 I-Picture만을 계산한다. I-Picture에 의해 계산된 선택 비트는 I, P와 B Picture의 움직임 추정 연산에 사용함으로서 움직임 추정기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움직임 추정기의 고찰을 위하여 실험에 사용된 표준 동영상의 해상도는 352×288이며, DCT 연산의 처리 블록은 8×8이며, 탐색 영역은 23×23이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C언어로 모델링하였으며, 기존 완전탐색방법과 PSNR을 비교한 결과 사람의 시각으로 거의 구별할 수 없는 작은 차이(0~0.83dB)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움직임 추정기의 하드웨어 크기는 기존 구조Ⅰ보다 38.3%, 기존 구조Ⅱ보다 30.7% 줄일 수 있었고, 메모리 크기는 기존 구조Ⅰ,Ⅱ보다 31.3% 줄일 수 있었다.

  • PDF

이중에너지 방사선 흡수계측법을 이용한 성인 남녀의 장골 및 경골의 골밀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ONE MINERAL DENSITY OF ILIAC AND TIBIAL BONE USING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 조용석;김경원;이경호;박현진;서상수;오상엽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2권3호
    • /
    • pp.265-273
    • /
    • 2000
  • Purpos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bone mineral density of iliac and tibial bone which are frequently selected as autogenic bone graft donor sites, and to evaluate the efficiency of this method as a guideline for the selection of bone graft donor site. Materials and Methods : In this study 61 male and 70 female volunteers at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ere involved between Jan. 1998 to Sept. 1999. We measured bone mineral density of the iliac and the tibial bone using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We evaluated the data using the SAS system for Windows and bone mineral density of the lumbar was used for control. Results : Age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in correlation matrix between physical and bone variables. Height and weight showed lower correlation of linear increment. In man, the change of bone density according to age demonstrated linear decrease irrespective of the lumbar, ilium, and tibia. In woman, the change of bone density according to age showed cubic form, which increased in the third and forth decade. So it had a peak bone mass on about 35 year-old, thereafter, the change of bone density slowly decreased until 50 year-old, but it rapidly decreased after 50 year-old and it slowly decreased again after 65 year-old. Both in all subjects and subject with osteoporosis, the change of bone mineral density according to ag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lumbar and tibia, but ilium was irrespective. Conclusion : In patients of aged or with osteoporosis, ilium demonstrated less tendency of decrease in bone mineral density than tibia. So this preliminary study suggested that ilium seemed better donor site for autogenic bone graft than tibia.

  • PDF

상계백병원 응급실에 내원한 구강악안면외과 응급환자에 대한 임상적 연구 (A CLINICAL STUDY ON THE EMERGENCY PATIENTS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VISITING SANG-GYE PAIK HOSPITAL EMERGENCY ROOM.)

  • 백지선;윤규호;박관수;정정권;신재명;최민혜;권준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0권6호
    • /
    • pp.561-566
    • /
    • 2008
  • This is a retrospective clinical study on 2,955 patients who had visited the Emergency Room of Sang-gye Paik Hospital and then been treated in the Department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during recent 4 years from Aug. 2002 to Dec. 2006.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The total number of patients was 2,955 and the ratio of male to female was 1.72:1. The age distribution peak was the 1st decade (30.8%), followed by the 3rd decade (14.3%) and the 4th decade (14.0%). Trauma (62.3%) was the most frequent cause in dental emergency patients, pulpitis (13.0%) and infection patients were next in order of frequency. In trauma patients group, facial bone injury, tooth injury, soft tissue injury were included and soft tissue injury group was most prevalent, followed by tooth injury group and facial bone group. In total patient, the ratio of admission was 3.5%. We obtained the results of the distribution of primary emergency care in the traumatic injury, causal distribution of the jaw fracture, distribution of related medical department in multiple associated injuries, distribution of emergency care in infection, causal distribution and control methods of oral bleeding, distribution of TMJ disorder. The trauma patient group was major in the dental patients who had visited the emergency room, but other various groups were included. So we should analyze the pattern and the variation of the dental emergent patient to provide the proper treatment.

동화시킨 사람의 신장세포에 있어서의 DNA 합성과 방사선감수성 (DNA Synthesis and Radiosensitivity in Synchronized Human Kidney Cells in Vitro)

  • Kang, Yung-Sun;Park, Sang-Dai;Lee, Chung-Keel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175-180
    • /
    • 1971
  • 5-AU (5-aminouracil)를 처리하므로써 세포분열의 동시화를 촉진시킨 사람의 신장세포의 분열활동, 염색체 이상 및 DNA복제 양상에 미치는 X-선의 영향을 조직배양 및 자기방사법(autoradiography)을 통하여 추구하였다. 5-AU처리구에서 분열활동의 최고점은 5-AU를 처리한 뒤 10시간에서 나타나며, 대조구에 비해서 6배나 높음을 보여준다. 5-AU 처리후 100R의 X-선을 조사한 실험구에서는 X-선의 영향은 주로 세포분열을 지연시키고 분열활동을 저해시킬 뿐 아니라 분열활동의 최고점을 보여주는 시간을 불규칙하게 한다. 대조구에서 세포당 염색체이상율은 0.030에 불과하나 5-AU를 처리할 경우는 0.147로 높아진다. 한편 5-AU+100R 및 5-AU+200R의 X-선 처리구에서 세포당 염색체 이상율은 각각 0.583 및 0.669로 보다 높아짐을 보겠다. 한편 세포당 1R당 평균 염색체 이상율은 0.0035가 된다. 본 실험결과를 통해 보면 5-AU가 표지된 분열상의 출\ulcorner빈도 및 표지강도를 높이고 있음을 알겠는데, 그것은 5-AU가 세포주기중 S기에 놓인 세포를 축적시키는 힘이 있기때문이라고 보겠다. 이와는 반대로 X-선은 세포의 표지강도와 표지된 분열상의 출현빈도를 저하시킨다.

  • PDF

XP-SWMM을 이용한 도시하천에서의 홍수소통능력 평가 (Assessment of Flood Flow Conveyance for Urban Stream Using XP-SWMM)

  • 홍준범;김병식;서병하;김형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9권2호
    • /
    • pp.139-150
    • /
    • 2006
  • 최근 급속한 도시화로 인한 유역 내 불투수 면적의 증가는 자연유역에 비해 짧은 도달시간과 높은 첨두 홍수량을 유발하여 도시홍수 피해의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홍수피해를 저감시키고자 구조물적 또는 비구조물적 홍수방어 대책들을 마련하여 시행하고 있다. 본 연구의 대상유역인 굴포천 유역은 유역 내의 유출 특성이 아닌 하류의 한강 외수위 조건에 의해 잦은 침수 피해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를 예방하고자 폭 20m의 임시 방수로를 폭 80m로 확장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도시 유출 모형의 하나인 EPA의 SWMM 모형을 근간으로 하는 XP-SWMM모형을 이용해 굴포천 방수로 확장에 따른 홍수소통능력을 분석하였다. 재현기간 100년인 설계 강우와 동일한 조위 조건 하에서 개수전과 후에 대한 수위와 유량을 비교하였으며, 분석결과 개수전 상황이 개수후에 비해 통과 유량이 1/3임에도 불구하고 비슷하거나 더 높은 수위를 나타내었다. 또한 개수후 상태에서 모의한 결과 방수로 분기점에서 자연 분류시킬 경우 최고 $300m^3/sec$ 가까운 유량이 방수로 방향으로 역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방수로의 안정적 운영을 위해서는 굴포천 하류로부터 방수로로의 역류를 차단하기 위한 수리 시설물의 설치가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