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ak Rate of Runoff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23초

지형학적(地形學的) 순간단위도(瞬間單位圖)에 의한 첨두유량(尖頭流量)의 강우(降雨)-유출(流出) 선형해석(線形解析) (A Linear Analysis of the Relation between Rainfall and Runoff for Peak Flow based on Geomorphologic IUH)

  • 이정식;금재한;이원환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7권1호
    • /
    • pp.55-64
    • /
    • 1987
  • 단위도합성(單位圖合成)을 위하여 기존(旣存) 지형학적(地形學的) 순간단위도(瞬間單位圖)의 개념(槪念)을 도입(導入)하였다. 이를 위한 하천차수(河川次數)의 기법(技法)은 Strahler의 차수법칙(次數法則)을 이용(利用)하였으며, 하천수(河川水)의 동적상태(動的狀態)를 나타내기 위하여 평균유출속도(平均流出速度)가 사용(使用)되었다. 지형학적(地形學的) 특성인자(特性因子)들로부터 결정(決定)된 순간단위도(瞬間單位圖)를 IHP 대표시험유역(代表試驗流域)인 경안천(慶安川), 무심천(無心川), 위천유역(渭川流域)에 적용(適用)하여 첨두유량(尖頭流量) 및 도달시간(到達時間)을 계산(計算)하였고, 실측자료(實測資料)와의 비교검토(比較檢討)를 통하여 GUH의 적용성(適用性)을 입증(立證)하였으며, 증감(增減)된 평균류출속도(平均流出速度)와 가정(假定)된 손실율(損失率)을 적용(適用)시키므로써 수문곡선(水文曲線)의 첨두유량(尖頭流量)의 변화(變化)는 일정손실율(一定損失率) 보다 평균유출속도(平均流出速度)에 따라 크게 좌우(左右)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일차원 kinematic wave 모형을 이용한 고속도로 강우 유출수의 동적 거동 예측 (Predicting Dynamic Behaviors of Highway Runoff using A One-dimensional Kinematic Wave Model)

  • 강주현;김이형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38-45
    • /
    • 2007
  • A one-dimensional kinematic wave model was used to calculate temporal and spatial changes of the highway runoff. Infiltration into pavement was considered using Darcy's law, as a function of flow depth and pavement hydraulic conductivity ($K_p$). The model equation was calculated using the method of characteristics (MOC), which provided stable solutions for the model equation. 22 storm events monitored in a highway runoff monitoring site in west Los Angeles in the U.S. were used for the model calculation and evaluation. Using three different values of $K_p$ ($5{\times}10^{-6}$, $10^{-5}$, and $2{\times}10^{-5}cm/sec$), total runoff volume and peak flow rate were calculated and then compared with the measured data for each storm event. According to the calculation results, $10^{-5}cm/sec$ was considered a site representative value of $K_p$. The study suggested a one-dimensional method to predict hydrodynamic behavior of highway runoff, which is required for the water quality prediction.

격자기반 운동파 강우유출모형 KIMSTORM의 개선(II) - 적용 및 분석 - (A Modified grid-based KIneMatic wave STOrm Runoff Model (ModKIMSTORM) (II) - Application and Analysis -)

  • 정인균;신형진;박진혁;김성준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8권6B호
    • /
    • pp.709-721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격자기반 운동파 강우유출모형 KIMSTORM을 개선한 ModKIMSTORM을 유역면적 $2,293km^2$의 남강댐 유역을 대상으로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공간해상도 500 m의 GIS 입력자료(DEM, 토지피복도, 유효토심도, 토양종류도 등)를 구축하였으며, 5개 태풍(2000년 사오마이, 2002년 루사, 2003년 매미, 2004년 메기, 2006년 에위니아) 및 2개 강우사상 (2003년 5월, 2004년 7월)을 적용하여 모형을 검보정하였다. 모형의 자동평가 기능을 이용하여 모의유량을 실측유량과 비교하였으며, 유역의 출구지점에 대한 매개변수 보정결과 결정계수($R^2$), 모형효율(E), 유출용적편차($D_v$), 첨두유량의 상대오차 ($EQ_p$), 첨두시간의 절대오차($ET_p$)의 평균은 각각 0.984, 0.981, 3.63%, 0.003, 0.48 hr로, 검정에서는 $R^2$, E, $D_v$, $EQ_p$, $ET_p$의 평균이 각각 0.937, 0.895, 8.08%, 0.138, 0.73 hr로 분석되었다. 매개변수와 관련하여 초기토양수분함량이 유출용적에 민감하였고, 하천조도계수가 첨두유량에 가장 민감한 변수로 나타났다. 호우기간동안의 공간적인 결과로부터 수문학적 요소의 작용을 살펴봄으로써 호우시 유역관리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격자기반 운동파 강우유출모형 KIMSTORM의 개선(I) - 이론 및 모형 - (A Modified grid-based KIneMatic wave STOrm Runoff Model (ModKIMSTORM) (I) - Theory and Model -)

  • 정인균;이미선;박종윤;김성준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8권6B호
    • /
    • pp.697-707
    • /
    • 2008
  • 격자기반 운동파 강우유출모형 KIMSTORM(grid-based KIneMatic wave STOrm Runoff Model)은 유역의 지표흐름, 지표하흐름 및 하천흐름의 시간적 변화와 공간적 분포를 모의할 수 있다. 본 모형은 유닉스 운영체제의 C++언어로 개발되었으며, 각 셀에서의 흐름을 모의하기 위하여 단방향흐름 알고리즘과 격자기반 수문학적 물수지요소를 채택하고 있으나 운영에 몇몇 제약사항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모형을 개선하고자 하였으며, MS Windows 운영체제에서 실행 가능하도록 FORTRAN 90 언어를 이용하여 ModKIMSTORM을 개발하였다. 기존모형에 비해 개선된 주요사항으로, 물리적 기반의 침투기법인 GAML(Green-Ampt & Mein-Larson) 침투모형 추가, 격자 유출심과 Manning 조도계수에 의한 논에서의 지표유출 제어, 지표격자의 기저유출 요소 추가, 공간강우와 지점강우의 처리, 전 후 처리부문 개발, 5개 평가항목(피어슨의 결정계수 $R^2$, Nash & Sutcliffe 모형효율 E, 유출용적 편차 $D_v$, 첨두유출의 상대오차 $EQ_p$, 첨두시간의 절대오차 $ET_p$)을 이용한 모의결과의 자동 평가 기능을 개발하였다. 추가적으로, 모형의 계산효율을 향상시키고 지표격자의 기저유출을 하천격자로 이송하기 위하여 쉘정렬 알고리즘을 채택하였다. 모형의 입력자료는 ESRI ArcInfo W/S 또는 ArcView와 같은 GIS 소프트웨어 및 MS Excel을 이용하여 간단히 구축할 수 있으며, 모의결과의 공간적 분포를 확인할 수 있는 토양수분, 지표유출, 유출심 및 유속분포도는 BSQ, ESRI ASCII Grid, ESRI Binary Grid 및 IDRISI Raster 형식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개선하였다.

통계적 기법을 적용한 외도천의 단위유량도 제안 (A Proposal of Unit Hydrograph Using Statistical Analysis in Oedo Stream, Jeju)

  • 이준호;양성기;정우열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93-401
    • /
    • 2015
  • Rainfall-runoff model of Jeju Oedo Stream was used to compute the optimal unit hydrograph by HEC-HMS model that reflecting on watershed characteristics. Each rainfall event was comparatively analyzed with the actual flow measurement using Clark, Snyder and SCS synthetic methods for derived unit hydrograph. Subsequently, the null hypothesis was established as p-value for peak flow and peak time of each unit hydrograph by one-way ANOVA(Analysis of variance) was larger than significance level of 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eak flow and peak time between different methods of unit hydrograph. As a result of comparing error rate with actual flow measurement data, Clark synthetic unit graph best reflected in Oedo Stream as compared to other methods, and error rate of Clark unit hydrograph was 0.02~1.93% and error rate at peak time was 0~2.74%.

강우로 인해 고속도로로부터 유출되는 폐기물의 성상, 부하량 및 유출 특성 (Loading Rates and Characteristics of Litter from Highway Stormwater Runoff)

  • 김이형;강주현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415-421
    • /
    • 2004
  • Litter wastes on highway runoff are gradually being considered one of the major pollutants of concern in protecting the integrity of receiving waters for beneficial use. The California State Water Resources Control Board has identified in their 303(d) list at least 36 water bodies where trash or litter is considered a pollutant of concern. The first TMDL adopted by the Region 4 (Los Angeles area) of the California State Water Quality Control Board was for trash in the Los Angeles River. The first flush characteristic study was developed to obtain first flush water quality and litter data from representative stormwater runoff from standard highway drainage outfalls in the Los Angeles area. Total captured gross pollutants in stormwater runoff were monitored at six Southern California highway sites over two years. The gross pollutants were 90% vegetation and 10% litter. Approximately 50% of the litter was composed of biodegradable materials. The event mean concentrations show an increasing trend with antecedent dry days and a decreasing trend with total runoff volume or total rainfall. Event mean concentrations were ranged 0.0021 to 0.259g/L for wet gross pollutants and 0.0001 to 0.027g/L for wet litters. The first flush phenomenon was evaluated and the impacts of various parameters such as rainfall intensity, drainage area, peak flow rate, and antecedent dry period on litter volume and loading rates were evaluated. First flush phenomenon was generally observed for litter concentrations, but was not apparent with litter mass loading rates. Litter volume and loading rates appear to be directly related to peak storm intensity, antecedent dry days and total flow volume.

유출모형을 이용한 곡교천 유역의 강우-유출 특성 분석 (Analysis of Rainfall-Runoff Characteristics in Gokgyochun Basin Using a Runoff Model)

  • 황병기;조용수;양승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404-411
    • /
    • 2019
  • 곡교천 유역의 홍수-유출 특성을 파악하는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HEC-HMS 모형을 적용하였다. 이 유역은 일부 소유역에서 대규모 농업용 저수지가 있어 소유역으로부터 발생한 초기 유출이 저수지에 의해서 상당량 저류되는 특징을 갖고 있다. 이러한 현상을 반영하기 위하여 3가지 침투모의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방법 1은 기존의 유출곡선지수법, 방법 2는 방법 1에 표면법 기능을 추가한 방법, 방법 3은 초기 및 일정손실율 방법이다. 모형은 3가지 방법으로 손실계산, Clark의 단위도법으로 강우의 직접유출 변환, 지수함수적 감소법으로 기저유량, Muskingum 법으로 하도추적 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모형에서 최적화 기법을 시행착오법과 병행하여 최적화 변수를 도출하였다. NSE, RAR, and PBIAS 등의 평가지표를 사용하여 모형의 보정을 수행하였다. 유출체적, 첨두유량, 첨두발생시각 등에 대하여 모의치와 실측치를 비교한 결과 초기손실을 반영할 수 있도록 설계된 방법2와 3에서 우수한 결과를 나타낸 반면, 그렇지 못한 방법 1은 모의치와 실측치의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복합 강우인 경우에 방법 3은 방법 2에 비하여 좋은 결과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결론적으로 방법 2가 단일 강우나 복합강우 모두 좋은 결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정책입안자가 홍수관리대책을 수립하는 데 유용한 도구로서 사용되어 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복합 토지이용 특성의 농촌유역에 대한 농업비점원오염모형의 적용 (Applications of AGNPS model with rural watersheds having complex land use characteristics)

  • 조재필;박승우;강문성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1998년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353-358
    • /
    • 1998
  • GRASS-AGNPS model integrated with GIS was applied to rural watersheds having complex land use characteristics and evaluated for its applicability through calibration using observed data. The analyses of raster encoding accuracy and model behavior to runoff, sediment yields and nutrient loads for different cell-size showed that 150 m cell size indicated reasonable applicability of the model. Simulated runoff was in a good agreement with the observed data and simulated peak runoff rate was larger than the observed data. The sediment yield simulated by modified AGNPS model using irregular cell for forest area were less than that of the regular cell method. In predicting sediment yields, the result showed a different trend at each representative rural watershed. Nutrient loads simulated by the model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observed data.

  • PDF

HSPF 모형을 이용한 토지피복변화에 따른 유출 변화 분석 (Analysis of Impacts of Land Cover Change on Runoff Using HSPF Model)

  • 박민지;권형중;김성준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8권6호
    • /
    • pp.495-504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HSPF 모형과 Landsat 영상을 이용하여 토지피복 변화에 따른 유출의 변화를 분석하는 것이다. 토지피복도는 경안수위관측소 상류유역($258km^2$)에 대하여 10년 단위로 3개의 토지피복도(1980, 1990, 2000)를 준비하였다. HSPF의 수문학적 인자들의 보정에는 1999년부터 2000년의 경안수위관측소의 자료를 사용하였고, 검증에는 2001년과 2003년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토지피복도를 입력자료로 한 유출변화의 모의 결과, 20년 동안의 산림 감소 ($15.0\;km^2$)와 도심지 증가($19.3\;km^2$)에 따라 총유출량과 첨두유량이 증가하였다. 총유출량은 풍수년(2003, 1709.4mm)과 갈수년(2001, 871.2mm)의 강수조건에서 각각 $0.6\%,\;1.0\%$의 증가율을 보였다. 첨두유량은 2000년의 최대강우강도 241.3mm/hr 조건에서 $13.3\%$의 증가를 보였고, 성수기와 비성수기로 구분한 총유출량은 평수년(2000, 1257.3mm)인 2000년 강수조건에서 각각 $4.4\%$ 증가와 $8.1\%$ 감소로 가장 큰 변화를 보였다.

위험도 기반 지역별 정규 CSOs 곡선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isk - based Local Normal CSOs Curve Designs)

  • 조덕준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9권7호
    • /
    • pp.575-581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강우로 인한 유출 유량의 수질 조절 시스템의 경제적인 설계절차를 제시하였다. 유출수의 수질 조절 시스템 계획을 위해서는 전 기간치의 국지 연속강우기록에 대한 강우-유출 과정의 모의를 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 강우의 확률분포는 지수감소함수를 따른다고 가정하여 적용함으로서 비 초과확률 분포를 설명할 수 있는 정규곡선을 유도하였다. 또한 유출수의 수질 조절시스템의 저류용량 및 유량 결정을 위하여 월류 위험도를 기반으로 최적곡선을 유도하였다. 최적 저류용량 및 유량의 적용성을 강우 유출 모형인 ILLUDAS에 의한 분석결과와 비교하였으며 본 연구에서와 같이 최적 CSOs(Combined Sewer Overflows)을 지역별로 유도하게 되면 강우로 인한 유출 유량의 수질 조절시스템을 적은 노력과 시간으로 위험도를 기반으로 계획에 이용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