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use

검색결과 226건 처리시간 0.027초

발음속도에 따른 한국어의 휴지기 규칙 및 평균음절길이 조절규칙 (Control Rules of Synthetical Pauses and Syllable Duration depending on Pronunciation Speed in Korean Speech)

  • 김재인;김진영;이태원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56-64
    • /
    • 1995
  • 본 논문에서는 18명의 아나운서로부터 녹음된 문장으로부터 분석된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발음속도에 따른 한국어의 휴지기 규칙과 음절길이 조절규칙에 대하여 논하였다. 휴지기 규칙은 문장과 문장 사이, 절과 절 사이 그리고 말 토막과 말 토막 사이의 휴지지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은 길이조절규칙을 찾아낼 수 있었다. 낭독체에 있어서 한 문장의 전체길이가 늘어날수록, 즉 발음속도가 늘어날수록, 늘어난 발음길이의 대부분을 문장사이 그리고 절 사이의 휴지기가 차지한다. 그리고 평균음절의 길이는 휴지기에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작게 증가한다. 또한 말 토막사이의 휴지기는 발음을 빠르게 할 때에는 발화되지 않다가 발음속도가 느려짐에 따라서 서서히 발화되기 시작한다.

  • PDF

성전환자의 문장발화에 대한 운율적 특성 분석 (Prosodic Analyses of Sentences Produced by Transgenders)

  • 조성미;정옥란
    • 대한음성학회지:말소리
    • /
    • 제49호
    • /
    • pp.51-61
    • /
    • 2004
  • This study compared pitch range, total duration of utterances, pause, boundary tones and mean duration of intonation final syllables of 4 sentences produced by 5 transgenders (male to female) to those of twenty normal adults. Voice analysis was performed by Praat (version 4.049).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pitch range, total duration of utterances, pause, boundary tones and mean duration of intonation final syllables among the 3 groups(transgenders, normal males and normal females).

  • PDF

끊어 읽기 오류 분석을 통한 영어 읽기 지도 방안 연구 (A Study of Pause Positions in Korean Students' English Reading)

  • 이진미;박한상
    • 대한음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학회 2007년도 한국음성과학회 공동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95-98
    • /
    • 2007
  • This study investigates pause positions of Korean students' reading of an English script. 12 natives speakers of English and 18 Korean students were asked to read The North Wind and the Sun. The common pause positions were determined by examining the pauses of the native speakers' readings. Korean students were asked to mark pauses on a script. And then they were trained to put pauses as native speakers of English do. Although some errors have been corrected after the training, others have not been corrected in Korean students' readings. Korean students made fewer errors in marking on the script than in reading the script. They seem to know where to put pauses, but lack of practice makes it difficult to put pause in the right positions when they read. That suggests that teachers should continue to teach students where to put pauses in their reading or speaking English.

  • PDF

치료 받은 말더듬 성인의 느린 구어에서 나타나는 휴지 특성 (Pauses Characteristics in Slowed Speech of Treated Stutterer)

  • 전희숙
    • 음성과학
    • /
    • 제15권4호
    • /
    • pp.189-197
    • /
    • 2008
  • In the process of speech therapy, fluency is acquired and speech rate increases in the process when the behavioral modification strategy, inducing speech fluency by making speech rate slower intentionally in an early stage, is appli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ause characteristics in slowed speech intentionally of treated stutterer. In this study, 10 developmental stutterers who had well established fluency in speech were involved. We had collected each 200 syllables sample of intentionally much slowed speech and a little slowed one in reading task. To measure the features of pause, total frequency of pauses, total durations of pauses, average duration of pauses and proportions of pause were investigated.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Both the total durations and total frequency of pauses of much slowed speech were higher than that of a little slowed one. However, both the average duration and proportions of pauses of much slowed speech were not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a little slowed one.

  • PDF

말소리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발화 속도와 쉼 비교 (Comparison of overall speaking rate and pause between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 이흥임;김수진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9권2호
    • /
    • pp.111-118
    • /
    • 2017
  • This study compares speech rate, articulatory rate, and pause between the children with mild and moderate Speech Sound Disorder (SSD) who performed Sentence Repetition Tasks and the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D) of the same chronological age. The results showed that three groups are categorized in terms of speaking rate and articulatory rate.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ith SSD children, namely between the mild and moderate groups. However,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rate of speech and the articulatory rate between the two groups, such that the two groups with SSD are significantly slower than the TD group.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ngth and frequency of pause between the moderate group and the mild group. However, there is a substantial difference between them and the TD group. This study, provided the basic data for evaluating the speech rate of the children and implies that there are limitations in speech rate among the children with SSD.

한국어 모어 화자의 발화 유창성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Korean Native Speakers's Utterance Fluency)

  • 이진
    • 한국어학
    • /
    • 제81권
    • /
    • pp.245-265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the basis for a more objective evaluation of oral fluency by analyzing Korean native speaker's utterance. Traditionally, fluency evaluation tended to rely on the evaluators' experience and subjective idea. Therefore, there has been a need of setting the evaluation standard in numeric form that is easily measurable. In this study, I will analyze Korean native speaker's utterance in focus of pause. Total number of 875 pauses were extracted from the 21st Century Sejong Korean spoken corpus, and the elements before and after the pauses were annotated. From the analysis results, the pauses were divided between fluent pauses and influent pauses. If the length of fluent pauses do not exceed reasonable length of pause for native Korean speakers, there was no point reduction. On the other hand, if the influent pauses are made more frequently than the native Korean speakers, then it is subject to point reduction.

정상 청력 아동의 음절 간 쉼 간격에 따른 어음이해도 변화 (Changes of Speech Discrimination Score Depending on Inter-syllable Pause Duration in Normal Hearing Children)

  • 박정인;이지연;허승덕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139-144
    • /
    • 2014
  • 어음 이해는 발화속도에 영향을 받는다. 발화속도는 쉼 간격으로 조절할 수 있는데, 쉼 간격은 정보 처리과정에서 여유 시간을 가질 수 있어서 정보의 과부하를 피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쉼 간격이 노화에 따른 청력손실과 청각재활, 청각처리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그 정상치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청각학 및 언어병리학적 문제가 없는 일반 초등학생 남자 7명, 여자 8명으로 하였다. 검사 도구는 3음절 20개를 1 set으로, 모두 4 set를 제작하였다. 이들 모든 낱말은 각각 보통(250 ms), 느린(500 ms), 아주 느린(1000 ms) 속도로 쉼 간격을 조절하였다. 선택용 보기는 올바르게 표기한 3음절 낱말 하나와 음소 하나씩을 오류 표기한 세 개의 낱말을 포함한 4개의 낱말로 하였다. 대상자에게는 3음절 낱말을 들려 준 후, 하나를 선택하게 하였다. 연구 결과 쉼 간격에 따른 평균 어음이해도는 250, 500, 1,000 ms의 순서로 $73{\pm}19.4%$, $84{\pm}12.2%$, $88{\pm}8.8%$로 각각 나타났다.

  • PDF

한국어 낭독과 자유 발화의 운율적 특성 (Korean prosodic properties between read and spontaneous speech)

  • 유승미;이석재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4권2호
    • /
    • pp.39-54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L2KSC(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음성 말뭉치)의 한국어 부분에서 한국어 낭독과 자유 발화를 분석하여 음성 유형의 운율 차이를 명확히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장의 조음 길이, 조음 속도, 한 문장 내 휴지 길이 및 휴지 빈도, 문장 F0값을 변수로 설정하고 통계적 방법론(t-검정, 상관 분석, 회귀 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낭독과 자유 발화는 각 문장을 구성하는 운율구 형태가 구조적으로 달랐는데 각 발화 유형을 구별하는 운율적 요소로는 조음 길이, 휴지 길이, 휴지 빈도로 나타났다. 통계적 결과에서는 낭독 발화는 조음 속도와 조음 길이의 상관관계가 가장 높았는데, 이는 주어진 문장이 길수록 화자가 더 빨리 말하는 것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자유 발화에서는 문장의 조음 길이와 휴지 빈도 사이의 관계가 높았다. 전반적으로 자유 발화에서는 문장을 만들기 위해 짧은 억양구가 지속적으로 만들어지는데, 그런 이유로 더 많은 휴지가 발생하여 문장이 더 길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슬라이드 커버 동시충전 자동심장충격기가 제세동의 신속성과 편의성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Slide-Covered of Slide-Covered Contemporary Charging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on Rapidity and Convenience of Defibrillation)

  • 박시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325-333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 자동심장충격기인 T-AED와 새롭게 개발된 SC-AED의 제세동 신속성 및 사용자가 느끼는 주관적 편의성을 비교하는 것이다. 2017년 2월부터 2018년 4월까지 전남지역의 D대학, C대학병원의 기본인명소생술 교육센터에서 의료종사자 및 일반인을 위한 기본소생술과정에 참여한 156명을 T-AED (n = 77) 및 SC-AED (n = 79) 그룹에 무작위할당 하였다. 각 그룹은 제세동을 실시한 후, 총 제세동 지연시간, 제세동 지연시간, 쇼크버튼 누름 지연시간, 후속 흉부압박 재개시간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였고 이를 t-검정을 통해 분석했다. 실험 후 조작자신감, 사용편의성, 의사결정 도움, 이상 3가지 요인에 대한 자료를 설문으로 수집하였고 각각 t-검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SC-AED는 T-AED와 비교하여 총 제세동 지연시간(11.22 초), 제세동 지연시간(11.04 초) 및 쇼크버튼 누름지연시간(2.15 초)가 현저히 단축되었습니다 (p<0.001). 주관적 편의성 측면에서 자신감(T-AED : 7.62±1.25VAS vs. SC-AED : 7.80±0.98VAS, p = .358)는 중요하지 않았지만, 편의성(T-AED : 7.05±1.36VAS vs. SC) -AED : 8.95±0.89VAS, p<0.001) 및 의사결정도움(T-AED : 6.58 ± 1.73VAS vs. SC-AED : 9.08±0.98VAS, p = 0.001)은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결론적으로 T-AED에 비해 의료종사자 및 일반인 집단 모두에서 더욱 신속한 제세동을 가능하게 하였으며, 사용자의 편의성과 명확한 의사결정을 크게 도와주었다. SC-AED에 적용된 기술이 향후 보편적인 자동심장충격기에 상용화된다면 더욱 효과적인 PAD를 통해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 제고에도 이바지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