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ulownia coreana Uyeki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19초

오동나무 잎 추출물의 항염 효능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Paulownia coreana Uyeki Leaf Extract)

  • 김남경;김미화;윤창순;최신욱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41-247
    • /
    • 2006
  • 본 연구는 피부에 안전하고 부작용이 없는 식물성 원료를 이용한 항염 소재를 개발하여 피부 진정 및 여드름, 아토피 피부에 적용되어질 수 있는 피부 자극 완화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전통적으로 염증 질환 치료에 사용되어진 오동나무(Paulownia coreana Uyeki)를 소재로 하여 오동나무 잎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과 항염 효능을 알아봄으로써 화장품 원료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EPR을 이용하여 오동나무 잎 추출물의 superoxide anion radical 소거능을 확인하였으며 대식세포주에서의 LPS 처리에 의해 유도되어지는 NO의 생성을 저해시키는 효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추출물의 우수한 NO 생성 저해능을 확인하여 오동나무 잎 추출물의 항염 효능 메카니즘을 규명하였다. ELISA 기법을 이용하여 $PGE_2$ 생성 억제 효능을 확인하였으며 NO와 $PGE_2$ 생성 단백질인 iNOS와 COX-2의 발현 여부를 확인한 결과 오동나무 잎 추출물 처리에 의해 두 단백질의 발현이 확연히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염증 반응의 초기 단계에 관여하는 $IkB-{\alpha}$ 단백질의 분해정도를 시간별로 확인한 결과 LPS 처리 30 min 후 $IkB-{\alpha}$ 단백질의 분해가 일어나게 되는데 오동나무 잎 추출물을 함께 처리하였을 경우 시간이 경과되어도 $IkB-{\alpha}$ 단백질의 분해가 일어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로써 오동나무 잎 추출물의 항염 효능은 염증 반응 신호 전달의 초기 단계에 해당하는 $IkB-{\alpha}$ 단백질의 분해를 억제함으로써 결과적으로 NO와 $PGE_2$의 생성을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 또한 CCD-986sk와 Raw 264.7 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이 존재하지 않음을 확인함으로써 오동나무 잎의 항염 효능을 이용한 피부 자극완화제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Apigenin Derivatives of Paulownia coreana Uyeki Leaves

  • Si, Chuan-Ling;Kim, Jin-Kyu;Kwon, Dong-Joo;Bae, Young-Soo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4권2호
    • /
    • pp.83-87
    • /
    • 2006
  • The leaves of Paulownia coreana Uyeki were extracted with acetone-$H_2O$ (7:3, v/v),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and fractionated successively with n-hexane, methylene chloride and ethyl acetate, leaving residual water soluble fraction. A portion of the resulting aqueous soluble powder was chromatographed on a Sephadex LH-20 column using aqueous methanol and ethanol-hexane as washing solvents. Three apigenin derivatives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as apigenin-7-O-${\beta}$-D-glucpyranoside, apigenin-7-O-${\beta}$-D-glucuronopyranoside and apigenin-7-O-[${\beta}$-D-glucuronopyranosyl($1{\rightarrow}2$)-O-${\beta}$-D-glucuronopyranoside] by spectroscopic methods including NMR and FAB-MS.

Phenylpropanoid Glycosides of Paulownia coreana Uyeki Leaves

  • Si, Chuan-Ling;Kim, Jin-Kyu;Kwon, Dong-Joo;Bae, Young-Soo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4권2호
    • /
    • pp.78-82
    • /
    • 2006
  • The leaves of Paulownia coreana Uyeki were collected, extracted with acetone-$H_2O$ (7:3, v/v),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and successively fractionated using n-hexane, methylene chloride, ethyl acetate and water on a separatory funnel. A portion of the ethyl acetate soluble powder was chromatographed on a Sephadex LH-20 column using aqueous methanol and ethanol-hexane as washing solvents. Two isomeric phenylpropanoid glycosides were isolated and elucidated as verbascoside and isoverbascoside by NMR and MS spectrometers.

오동나무 잎의 페놀성 화합물 (Phenolic compounds from the leaves of Paulownia Coreana Uyeki)

  • 사전령;김진규;권동주;배영수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1권1호
    • /
    • pp.16-23
    • /
    • 2005
  • 강원대학교 구내림에서 오동나무 잎을 채취하여 아세톤-물(7:3, v/v)로 추출하고 n-hexane, methylene chloride, ethylacetate 및 $H_2O$ 등 네 개의 분획으로 분리한 후 에틸아세테트용성 분획물을 Sephadex LH-20으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였으며 용리용매는 메탄올 수용액과 에탄올-헥산 혼합액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flavonoid류 화합물인 (+)-catechin, (-)-epicatechin, apigenin, luteolin, taxifolin과 phenolic acid류 화합물인 $\rho$-hydroxybenzoic acid, vanillic acid 및 $\rho$-coumaric acid를 단리 하였다. 단리된 화합물은 NMR 및 MS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구조를 결정하였다.

  • PDF

오동나무 열매 추출물의 페놀성 화합물 (Phenolic Compounds from the Fruits of Paulownia coreana Uyeki)

  • 사전령;김진규;권동주;배영수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4권1호
    • /
    • pp.79-85
    • /
    • 2006
  • 오동나무 열매를 채취하여 건조시킨 후 분말로 제조하여 5.0 kg을 아세톤-물 (7:3, v/v) 혼합용액으로 추출하고 유기용매를 제거한 후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및 물 등 네 개의 분획으로 분리하여 에틸아세테이트용성 분획물을 Sephadex LH- 20으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였으며 용리용매는 메탄올 수용액과 에탄올-헥산 혼합액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phenolic acid 화합물인 caffeic acid와 flavonoid 화합물인 naringenin, kaempferol, apigenin, luteolin 및 quercetin이 단리 되었으며 NMR 및 MS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구조를 결정하였다. 각 분획물과 단리 된 화합물들 그리고 조추출물은 DPPH radical 소거법을 이용하여 항산화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분획물중에는 에틸아세테이트용성이 그리고 화합물중에는 caffeic acid, kaempferol luteolin 및 quercetin이 우수한 항산화 효능을 나타내었다.

오동나무꽃의 항암성분 (Cytotoxic Compounds from the Flowers of Paulownia coreana)

  • 오좌섭;지옥표;문형인
    • 생약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449-454
    • /
    • 2000
  • In search for plant-derived cytotoxic compounds, it was found that the $CHCl_3$ and EtOAC extracts obtained from the flowers of Paulownia coreana Uyeki (Scrophulariaceae) exhibited significant cytotoxic activity against human tumor cell lines, A549, SK-OV-3, SK-MEL-2, XF498, and HCT15. Activity-guided fractionation on the basis of the inhibitory activity against the growth of human tumor cell lines, in vitro, and repeated column chromatography afforded several cytotoxic compounds from P. coreana. The structures and stereochemistry of these compounds were established, on the basis of analysis of spectra including IR, UV, EI-MS, $^{1}H-NMR,\;^{13}C-NMR$ and some chemical transformations, as Compound PCCl $(2-hydroxy-4(15),11(13)-eudesmadien-8{\beta},12-olide)$, Compound $PCC2(2,3-dihydro-4-hydroxy-1(15),11(13)-xanthadien-8{\beta},12-olide)$, Compound PCE1 (chrysophanol), Compound PCE2 (emodin), Compound PCE3 (physcion). Cytotoxic activity of compounds obtained from P. coreana. on five tumor cells lines was evaluated by procedure of SRB methods.

  • PDF

Development of Image Processing Technique for Determining Wood Drying Schedules

  • Lee, Hyoung-Woo;Kim, Byung-Nam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1권6호
    • /
    • pp.15-21
    • /
    • 2003
  • Image processing technique was adapted for exploring the more convenient ways to investigate the drying characteristics of wood. The acquisition of information about drying characteristics is indispensable for the development or improvement of dry-kiln schedules. A small internal fan type wood dry kiln was combined with image-processing and data-acquisition systems to monitor continuously the formation of checks and moisture reduction during drying. All the images and data were analyzed to improve or estimate the dry-kiln schedules and predict the drying time which would be required to dry green wood to 10% moisture content in internal fan type kiln. Samples of 20 mm- and 50 mm-thick Metasequoia glyptostrobodies, Paulownia coreana Uyeki, Pinus densiflora Sieb. Et Zucc., Platanus occidentalis L., Quercus acutissima and Robinia pseudo-acacia were used to verify the potentiality of this technique.

유구천(충남, 공주)의 식물 분포 현황분석 (The Analysis of the Plant Distributional Pattern in Yugu Stream (Gongju, Chungnam))

  • 문애라;이율경;박정미;장창기
    • 환경생물
    • /
    • 제30권2호
    • /
    • pp.107-120
    • /
    • 2012
  • 본 조사는 유구천의 수생식물과 수변계류식물의 목록을 작성하고 관속식물의 다양성을 연구하기 위해 문헌조사를 포함하여, 2009년 8월부터 2010년 9월까지 총 4회에 걸쳐 7개 지점을 조사하였다. 7개 지점의 조사를 통해 유구천의 관속식물은 88과 229속 290종 3아종 30변종 5품종 328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조사지역 내의 한국 특산식물은 개나리(Forsythia koreana (Rehder) Nakai), 오동나무 (Paulownia coreana Uyeki), 병꽃나무 (Weigela subsessilis (Nakai) L.H. Bailey) 등 3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산림청 지정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은 낙지다리 (Penthorum chinense Pursh), 땅나리 (Lilium callosum Siebold & Zucc.), 꽃창포(Iris ensata var. spontanea (Makino) Nakai), 창포 (Acorus calamus L) 등 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종은 총 27분류군이 확인되었는데, 그 중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III~V등급종은 V등급종이 2분류군, IV등급종이 2분류군, III등급종이 9분류군으로 총 13분류군이 발견되었다. 귀화식물은 10개과 27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이는 조사된 전체 목록 중 약 8.3%를 차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유구천은 마을이 하천을 따라 발달하고, 도로나 농경지 등에 따라 인간의 간섭이 지속적으로 증가 할 것으로 여겨지며 이에 따라 귀화식물의 유입도 증가 할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조사지점별 식물들의 집괴분석과 좌표 결정분석 결과 유구천 본류형, 소하천형, 저수지형 등 3개 모둠으로 구별되었다.

Trametes versicolor에 의한 상수리나무의 분해형태 (Morphological aspects of white-rot degraded oak wood by Trametes versicolor)

  • 유태방;윤민호;최우영;이종신
    • 농업과학연구
    • /
    • 제28권2호
    • /
    • pp.125-131
    • /
    • 2001
  • 백색부후균 Trametes versicolor(CV5) 균주에 의한 wood lignin의 분해능을 조사하였다. CV5는 활엽수와 침엽수에 속하는 여러 수종의 프로토 리그닌 분해 시 활엽수에 한해서 분해되는 특성을 보였으며, 특히 상수리나무에서 33.5%의 가장 높은 리그닌이 분해되었다. 리그닌 분해에 관련된 phenoloxidase 분비능을 Bavendamm 시험을 통해 검토한 결과 CV5는 지금까지 연구된 우수 백색 부후균과 같은 유사 반응 형태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수리 목재 chip표면에 CV5의 균사가 생육하면서 목재조직이 부후된 상태를 주사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목섬유 및 도관에서 균사의 침투와 목재조직의 분해를 확인하고 리그닌에 대한 높은 선택적 분해력을 갖고 있음을 구명하였다.

  • PDF

The Ethnobotanical Investigation around National Parks in the Northern Area of Province Gyeongsangbuk-do, Korea

  • Lee, Ho-Young;Lee, Ji Yeon;Kang, Shin-Ho;Chung, Kyong-Sook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623-639
    • /
    • 2017
  • We investigated traditional knowledge about ethnobotanical uses around national parks in the northern areas of Province Gyeongsangbuk-do, with the focus on the Sobeaksan National Park area. Interviews were carried out to 138 residents at 42 places from 7 counties and/or cities, and verified species and usage information were categorized by taxonomic groups, usage, and used parts. The ethnobotanical species of the regions consisted of a total of 277 taxa: 244 species, 3 subspecies, 28 varieties, and 2 forma in 213 genera of 79 families. The significant native plants included one Endangered Species (Paeonia obovata Max.) and four endemic species (Salix hallaisanensis H. Lev., Aconitum pseudolaeve Nakai, Paulownia coreana Uyeki, and Cirsium setidens (Dunn) Nakai, Sasa coreana Nakai). About 17 Approved Species for Delivering Overseas designated by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have been also traditionally valuable in the regions. The main usage of the plants were edible (185 taxa) and medicinal (175 taxa). Leaves were most commonly used parts (109 taxa), followed by stems (73 taxa), fruits (69 taxa), roots (67 taxa), and wholes (57 taxa). The traditional usage of plants were diverse as those useful parts. Leaves, fruits and seeds were used as edible and medicinal; sprouts (young shoots) were mainly used as edible; but roots and flowers were used as medicinal. The study does not only provides examples of traditional uses of native plants, but also facilitates sustainable managements and developments of ethnobotanical knowledge for the contemporary soc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