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tent management

검색결과 474건 처리시간 0.033초

중소기업의 특허경영을 위한 특허가치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atent Valuation for SMEs' Patent Management)

  • 양희만
    • 산업융합연구
    • /
    • 제15권2호
    • /
    • pp.17-26
    • /
    • 2017
  • 특허 등의 지식재산권이 기업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고 있다는 사실에 비추어 볼 때에, 유형자산과 마찬가지로 기업이 소유하고 있는 지식재산인 특허권의 합리적인 가치평가가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특허가치의 정확한 평가는 기술거래시장의 활성화를 가져올 수 있고, 기술담보를 통한 자금력 확보와 더불어 기업의 가치를 제고할 수 있어 특허전략 수립에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특허권이 얼마만큼의 가치를 가지는가에 대해서는 관심이 크지 않다는 것이 현실이며, 이유는 특허권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너무 많고 그 속성 또한 다양하며, 가치를 평가하는 방법 또한 일반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중소기업의 특허경영을 위한 특허가치평가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문헌연구를 통해 중소기업의 특허경영을 위해 특허가치평가들을 살펴보았고,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특허가치평가 요인들을 찾아내어 이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중소기업의 특허경영을 위한 특허가치평가에 중요한 요인들을 분석하여, 특허가치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찾아보았다. 최종적으로 나타난 중요한 요인 10개는 기술의 사업화 가능성, 시장경쟁력, 기술의 상업화 가능성, 시장규모, 보유기술의 독창성, 권리의 안정성(무효화 가능성), 기술의 수준, 기술경쟁력, 기술의 파급효과, 기술의 성격(원천기술/응용기술)으로 나타났다.

특허경영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국내 금속기업 중심으로 (The Study of an Analysis on Patent Management Affecting the Company Performance: Korean Metal Industry)

  • 길상철;강성민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71-193
    • /
    • 2008
  • 21세기를 맞이하여 세계 각국은 자국의 지식재산권을 보호하기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지식재산권을 보호강화하기 위한 국제적 동향은 더욱 더 강력해지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기업은 사활을 걸고 기술보호와 경영을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최적인 방법을 모색하여야 하며, 기업의 지식재산관리는 관리적인 차원이 아닌 경영적인 차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즉, 기업은 산업재산권을 경영자원의 하나로서 전환하여야 하며 그 중요성은 기업의 생존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특허 데이터는 기업 전략 수립의 중요한 정보이다.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금속기업 27개사를 대상으로 특허활동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2000년부터 2005년까지의 특허데이터를 이용하여 특허경영과 기업경영성과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로는, 노동생산성은 종업원 1인당 특허활동도와 유의한 양(+)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기업규모와는 유의한 음(-)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특허 활동은 기업의 연구개발계획을 수립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젓으로 생각한다.

  • PDF

컴퓨터 관련 발명의 소프트웨어의 특허 클레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oftware patent claim of computer related invention)

  • 남태수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7권
    • /
    • pp.211-226
    • /
    • 2001
  • This paper relates to a software patent of a computer related invention, explains a describing method of software patent claim which can be registered software patent of computer related invention instead of computer program copyright which is the Intellectual Property about software since 1998 in the Korea Intellectual Patent Office(KIPO) by developing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technology and WWW technology. Also, it introduces an international and domestic trends of the software patent for computer related invention and related database for the software patent of the world and mentions advantage and disadvantage of software patent regime of each nation and the facing software patent problems as the Intellectual Property.

  • PDF

효율적인 특허정보 조사를 위한 분류 모형 (A Novel Classification Model for Efficient Patent Information Research)

  • 김영호;박상성;장동식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103-110
    • /
    • 2019
  • A patent contains detailed information of the developed technology and is published to the public. Thus, patents can be us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raditional technology trend research and prediction techniques. Recently, due to the advantages of patented analytical methodology, IP R&D is carried out worldwide. The patent is big data and has a huge amount, various domains, and structured and unstructured data characteristics. For this reason,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collecting and researching patent information. Patent research generally writes the Search formula to collect patent documents from DB. The collected patent documents contain some noise patents that are irrelevant to the purpose of analysis, so they are removed. However, eliminating noise patents is a manual task of reading and classifying technology, which is time consuming and expensive. In this study, we propose a model that automatically classifies The Noise patent for efficient patent information research. The proposed method performs Patent Embedding using Word2Vec and generates Noise seed label. In addition, noise patent classification is performed using the Random forest. The experimental data is published and registered with the USPTO among the patents related to Ocean Surveillance & Tracking Network technology. As a result of experimenting with the proposed model, it showed 73% accuracy with the label actually given by experts.

특허분쟁이 기업의 향후 혁신 활동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Patent Disputes on Firms' Subsequent Innovative Activity)

  • 이종선;김나미
    • 지식경영연구
    • /
    • 제21권1호
    • /
    • pp.1-25
    • /
    • 2020
  • Although patents have mainly been considered as the results of the invention process, of late their value as strategic assets have increasingly been emphasized. Consequently, the competition for patents among firms has intensified, and the number of patent disputes have been steadily increasing. Patent disputes, which cause enormous expense and resource utilization, increase uncertainty and have been considered as a threat or problem for the firms involved. Patent disputes are expecte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decision making about subsequent innovation activities.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effect of patent disputes on the subsequent innovative activities of the firms that are sued. After experiencing litigation as defendants, we examine their subsequent patenting strategi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firms who are experiencing patent litigation are more likely to achieve high-quality patents and cite recent technology when they apply for patents. Meanwhile, patent litigation experience has been shown to negatively affect the amount of subsequent patents applied. This study increases understanding by examining whether patent disputes, which have been mainly recognized negatively as obstacles, can be an opportunity that comes during a crisis.

Big Data Smoothing and Outlier Removal for Patent Big Data Analysis

  • Choi, JunHyeog;Jun, Sunghae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77-84
    • /
    • 2016
  • In general statistical analysis, we need to make a normal assumption. If this assumption is not satisfied, we cannot expect a good result of statistical data analysis. Most of statistical methods processing the outlier and noise also need to the assumption. But the assumption is not satisfied in big data because of its large volume and heterogeneity. So we propose a methodology based on box-plot and data smoothing for controling outlier and noise in big data analysis. The proposed methodology is not dependent upon the normal assumption. In addition, we select patent documents as target domain of big data because patent big data analysis is a important issue in management of technology. We analyze patent documents using big data learning methods for technology analysis. The collected patent data from patent databases on the world are preprocessed and analyzed by text mining and statistics. But the most researches about patent big data analysis did not consider the outlier and noise problem. This problem decreases the accuracy of prediction and increases the variance of parameter estimation. In this paper, we check the existence of the outlier and noise in patent big data. To know whether the outlier is or not in the patent big data, we use box-plot and smoothing visualization. We use the patent documents related to three dimensional printing technology to illustrate how the proposed methodology can be used for finding the existence of noise in the searched patent big data.

특허 등록 예측을 위한 특허 문서 분석 방법 (Analysis method of patent document to Forecast Patent Registration)

  • 구정민;박상성;신영근;정원교;장동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1458-1467
    • /
    • 2010
  • 최근 지식재산권의 모방과 권리 침해는 국가 산업발전의 저해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많은 연구자들은 이러한 저해요소로 인하여 발생하는 막대한 손실을 막기 위해 지식재산권의 보호와 효율적 관리에 관한 연구를 다양하게 진행 중이다. 특히, 특허 등록 예측은 지식재산권 보호와 권리 주장을 위해 매우 중요한 연구이다. 본 연구는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이용한 특허문서 분석을 통하여 특허 등록 및 거절 여부를 예측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거절된 특허문서들의 단어 빈도수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한다. 그리고 생성한 데이터베이스와 다른 특허문서들을 비교하여 각 문서와 데이터베이스와의 유사한 정도를 판단하는 유사치를 도출한다. 본 논문에서는 특허 거절 기준 값을 선정하기 위하여 분할 군집화 알고리즘인 k-means 사용하였다. 그 결과로 거절된 특허 문서와 유사한 특허 문서는 거절될 가능성이 높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실험을 위한 데이터는 현재 미국에 출원되어 있는 블루투스 기술, 태양전지 기술 그리고 디스플레이에 관한 특허 문서를 이용하였다.

스마트 수술 의료시스템 기술 생태계에 대한 국가 간 비교 연구: 특허 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National Comparative Study on the Technology Ecosystem of the Smart Surgical Medical System: Focused on the Patent Data Analysis)

  • 송영화;최진우;정석인;임선영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7권1호
    • /
    • pp.125-145
    • /
    • 2020
  • We explore technology ecosystem of smart surgical medical system by analyzing patent data applied for in Korea and Japan. First, a review of trends of patent application by country/technological domain show that there exist a minority of technology domains focused on R&D, which represent their trends have been increasingly active. Also, while a number of Japanese firms mainly consist of the patent market of Japan, in case of the Korean market, a few universities, SMEs, and foreign firms are found to be the main applicants. As a result of the network analysis with the links as the relations of co-patenting, the relationships, which are active of convergence and knowledge spillover among the heterogeneous technology domains within each market, as well as the technology domains, which are the most active in international cooperation among each homogeneous domain, could get derived and visualized in the ecosystem. In addition, the technology domains in each patent market with leading locations, roles, and influence in the network can also be identified through the centrality analysis. In this study, the analysis for technology competitiveness are carried out focusing on patent activity and patent impact. The results denote that across all domains, the Japanese market may possess higher patent activity and patent impact compared to the Korean market. In consequence, we derive the position map for comparison by country and technology domain from a perspective considering comprehensively the multi-dimensional attributes based on the results of both network analysis and technology competitiveness.

특허경영이 신사업 개발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융합 전문가 협동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Patent Management on New Business Development Performance : Focusing on the Mediation Effect of Convergence Expert Cooperation)

  • 정운섭;하규수
    • 벤처창업연구
    • /
    • 제14권4호
    • /
    • pp.19-38
    • /
    • 2019
  • 본 연구는 융합전문가 협동을 중심으로 특허경영이 신사업 개발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이다. 기존의 연구는 특허경영에 관해 정량적인 특허지표를 통해 사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 대부분이어서 특허 경영이 융합전문가 협동을 통해 신사업 개발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매우 미흡한 실정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기존의 특허 경영이 신사업 개발 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융합전문가 협동을 중심으로 특허경영이 신사업 개발성과에 미치는 영향의 인과관계를 살펴보았으며, 가설 실증분석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허경영은 매개변수인 융합 전문가 협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허경영은 융합 전문가 육성, 융합전문가 활용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허경영은 신사업 개발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허경영은 사업의 성공 여부, 목표 매출액 달성 여부, 새로운 시장 개척, 새로운 기술의 개발, 고객 요구사항의 반영정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융합 전문가 협동을 매개로 한 특허경영은 신사업 개발 성과 중 재무적성과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융합 전문가 협동을 매개로 한 특허경영은 신사업 개발 성과 중 비 재무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무적 성과로는 사업 성공 여부, 목표 매출액 달성 여부이며, 비 재무적 성과로는 새로운 기술 개발, 새로운 시장 개척 등이다. 따라서 국내 융합 신사업 개발 기업들의 지속적인 경영성과 창출을 위해서는 정(+)의 영향이 확인된 융합 전문가 협동을 중심으로 새로운 기술 개발과 새로운 시장 개척을 통하여 신사업 개발성과로 연계될 수 있도록 힘써야 함을 시사점으로 제시하고 있다.

특허지표와 기업 성과의 인과관계에 대한 분석 (Analysis of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atent Indicators and Firm Performance)

  • 임지연;김철영;구자철
    • 경영과학
    • /
    • 제28권2호
    • /
    • pp.63-74
    • /
    • 2011
  • As business environment has become more competitive, the R&D strategies of firms have been regarded more important. Patent has information about technology which affects a firm's profit and it is considered as resources which have provided appropriate data for research of innovations and trends in technology. And patent indicators are known as qualitative representation of technology quality in an objective view. Also, they are available for the continuous and systematic analysis. However, most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developing patent indicators to investigate patent value and characteristics. Furthermore they have limitations that most results is not significant that patent indicators have effect on firm performance-Tobin's q, Intangible assets based on balance sheet, sales and etc. Thu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proper a factor to represent a firm performance and to analyz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atent indicators and firm performance. Intangible assets based on market value are employed as one of most significant firm performance indicator. The results indicate that intangible assets are appropriate for analyzing causal relation between patent and a firm performance with 7 significant indicators among 10 patent indicators. Considering firm's exogenous factors, regression analysis of each data for five years is performed. This result is similar to regression analysis of full data for all yea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