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tent classification

검색결과 181건 처리시간 0.03초

한국과 선진국 간 고분자 소재 기술의 융합 형태와 기술수준 비교 분석: 특허 정보의 활용 (A Comparative Analysis of Convergence Types and Technology Levels of Polymer Technologies in Korea and Other Advanced Countries: Utilizing Patent Information)

  • 노지숙;지일용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185-192
    • /
    • 2019
  • 고분자 소재는 생활용품 등은 물론 자동차, 우주항공, 에너지, IT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 광범위하게 이용된다. 이러한 고분자 소재의 지속적 혁신을 위해 고분자 기술의 융합에 대한 관심은 높지만, 융합 동향에 대한 분석은 제한적이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특허 정보를 활용하여 주요 국가별 고분자 소재의 기술융합 형태와 기술수준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공개 등록 기준으로 2004년부터 2014년까지의 PCT를 수집하여 동시분류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일본과 한국은 기술의 분야를 넘어서는 대분류(섹션) 수준의 융합이 더 많은 반면, 미국과 유럽은 화학분야 내에서 중분류(Field) 수준의 융합이 더 많이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특허활동력, 특허경쟁력, 특허영향력으로 살펴본 질적 측면에서는 한국 융합기술이 다른 나라에 비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허정보를 활용한 디지털 트윈 기술 동향 분석 및 기술융합기회 발굴 (Exploring Technology Development Trends and Discovering Technology Convergence Opportunities in the Digital Twin using Patent Information)

  • 유경영;송지훈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6권3호
    • /
    • pp.471-481
    • /
    • 2023
  • Digital twin is considered as a key technology of industry 4.0, thus being essential for the future of industrial production. Despite the significance, a systematic analysis of its technological landscape is lacking.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trends and newly emerging technological convergence opportunities in the domain of digital twin by exploiting patent information derived from U SPTO. For this purpose, this study visualized and predicted the convergence dynamics among patent classification codes by adopting patent co-classification analysis and link prediction approach. The findings show that the number of digital twin-related patent applications has increased significantly since 2018. The CPC code G06F showed the highest eigenvector centrality, while G05B was characterized by highest betweenness centrality. According to the predictive model, 41 novel links were revealed, acting as potential technology convergence opportunities. These links were then categorized into 11 different domains. The most dominant category was "digital data process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which could play a foundational role in the diffusion of digital twin technology. The presence of digital twin technology is dominant in manufacturing, but its applications are expected to expand, including "climate change", "healthcare" and "aerospace engineering". The derived insights can support R&D managers and policy makers in formulating R&D strategies and directing future R&D investment decisions.

기술용어 분산표현을 활용한 특허문헌 분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atent Literature Classification Using Distributed Representation of Technical Terms)

  • 최윤수;최성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79-199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특허 문헌 분류에 가장 적합한 방법론을 발견하기 위하여 다양한 자질 추출 방법과 기계학습 및 딥러닝 모델을 살펴보고 실험을 통해 최적의 성능을 제공하는 방법론을 분석하는데 있다. 자질 추출 방법으로는 전통적인 BoW 방법과 분산표현 방식인 워드 임베딩 벡터를 비교 실험하고, 문헌 집합 구축 방식으로는 형태소 분석과 멀티그램을 이용하는 방식을 비교 검토하였다. 또한 전통적인 기계학습 모델과 딥러닝 모델을 이용하여 분류 성능을 검증하였다. 실험 결과, 분산표현 방법과 형태소 분석을 이용한 자질추출 방법을 기반으로 딥러닝 모델을 적용하였을 경우에 분류 성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판명되었으며 섹션, 클래스, 서브클래스 분류 실험에서 전통적인 기계학습 방법에 비해 각각 5.71%, 18.84%, 21.53% 우수한 분류 성능을 보여주었다.

KorPatELECTRA : A Pre-trained Language Model for Korean Patent Literature to improve performance in the field of natural language processing(Korean Patent ELECTRA)

  • Jang, Ji-Mo;Min, Jae-Ok;Noh, Han-S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2호
    • /
    • pp.15-23
    • /
    • 2022
  • 특허 분야에서 자연어처리(Natural Language Processing) 태스크는 특허문헌의 언어적 특이성으로 문제 해결의 난이도가 높은 과제임에 따라 한국 특허문헌에 최적화된 언어모델의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최근 자연어처리 분야에서는 특정 도메인에 특화되게 사전 학습(Pre-trained)한 언어모델을 구축하여 관련 분야의 다양한 태스크에서 성능을 향상시키려는 시도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 ELECTRA는 Google이 BERT 이후에 RTD(Replaced Token Detection)라는 새로운 방식을 제안하며 학습 효율성을 높인 사전학습 언어모델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량의 한국 특허문헌 데이터를 사전 학습한 KorPatELECTRA를 제안한다. 또한, 특허 문헌의 특성에 맞게 학습 코퍼스를 정제하고 특허 사용자 사전 및 전용 토크나이저를 적용하여 최적화된 사전 학습을 진행하였다. KorPatELECTRA의 성능 확인을 위해 실제 특허데이터를 활용한 NER(Named Entity Recognition), MRC(Machine Reading Comprehension), 특허문서 분류 태스크를 실험하였고 비교 대상인 범용 모델에 비해 3가지 태스크 모두에서 가장 우수한 성능을 확인하였다.

국제특허분류 클러스터링을 이용한 특허 검색 시스템 (Patent Search System Using IPC Clustering)

  • 김한기;이석형;윤화묵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7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3-106
    • /
    • 2007
  • 지적재산권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특허 검색을 이용하는 일반 사용자의 숫자가 늘어나고 있다. 일반적으로 한 두개의 키워드만을 사용하는 일반 사용자의 검색 패턴을 고려할 때, 대량의 특허 문서에서 원하는 검색 결과를 찾는 일은 쉽지 않은 일이다. 이에 모든 특허 문서에서 제공되는 국제 특허 분류(IPC) 정보를 사용해서 사용자의 검색 결과를 클리스터링하여 보여주어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검색범위를 손쉽게 제한 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 원하는 결과를 좀 더 빠르게 찾을 수 있는 특허 검색 시스템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특허와 논문정보를 활용한 OCR 기술발전 동향예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diction for the OCR Technology Development Trajectory based on the Patent and Article Information)

  • 김원준;이상곤;표성국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39-51
    • /
    • 2022
  • As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merged as a key to improving national competitiveness, OCR technology, one of the major technologies in the 4th industry is in the spotlight. Since characters in various images contain a lot of information, OCR technology for recognizing these characters has evolved into technology used in many industries. In this paper, trends in OCR technology were identified and predicted using thesis data published in 'RISS' and patent data by International patent classification (IPC) under the theme of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OCR). For patent data 20,000 patents related to OCR technology from 2002 to 2020 were used as data, and 432 papers from 2012 to 2022 were used as data. Through time-series analysis, each patent data and thesis data were investigated since when OCR technology has developed, and various keyword analysis predicted which technology will be used in the future. Finally, the direction of future OCR technology development was presented through network association analysis with patent data and thesis data.

경쟁가치모형에 따른 기업의 특허전략 유형화 연구 (A Typology Study of Corporation Patent Strategy Using Competing Value Model)

  • 차완규;이환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8호
    • /
    • pp.33-43
    • /
    • 2017
  • 특허전략연구는 경영전략, 기술전략과 연계된 특허전략을 수립하고, 이를 구체화하기 위해 특허 Idea 발굴에서 출원 관리, 제품 및 개발과제의 조사/분석과 활용을 위한 라이선싱 등을 효율화하는 논의에 집중해 왔다. 그러나 수립된 특허 전략의 내재화 및 성과를 높이기 위한 기업 고유의 문화를 고려하거나 이를 반영한 특허전략 수립 연구는 매우 부족하였다. 그 결과 기업들은 업종과 조직문화가 고려되지 않은 일류 선진 기업의 특허전략을 자사 전략으로 모방하는 정도에 머물고 있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조직문화를 4개의 프레임워크로 구분하는 경쟁가치모형(Competing Value Model)을 바탕으로 기업의 특허전략 모형을 제안한다. 사례 연구를 통해 특허전략 유형을 검증하고 기업의 조직문화에 따른 적합한 특허전략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특허전략에 대해 새로운 관점인 조직문화 이론을 바탕으로 논의하였다는 점과 실무적 활용성이 높은 전략모형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국제특허분류에 의한 정삼투막 기술의 현황과 전망 (Analysis of Forward Osmosis Membrane Technology Using International Patent Classification)

  • 임은정;김성현;김상곤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0권5호
    • /
    • pp.900-907
    • /
    • 2012
  • 연구개발은 더욱 다양한 형태를 보이고, 결과물도 급격한 증가 추세에 있으며 기술경쟁은 점차 심화되고 있다. 본 연구는 빠르게 변하고 있는 연구개발의 향상을 위한 필요성과 연구생산성 도출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특허와 논문분석이라는 두 가지 기법을 활용하여 정삼투막 기술 분석을 하였다. 지금까지 출원된 기술에 대한 객관적이고 광범위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특허데이터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정삼투막에 대한 기술적 예측에 필요한 특허분석 방법을 제안한다. 1990~2011년 동안의 한국, 미국, 일본, 중국 및 유럽에서 출원된 특허에 대하여 출원국별, 출원인별, 연도별, 세부기술 분야로 분류하여 비교함으로써 기술개발 현황을 분석하였다.

특허지표를 활용한 지역주력산업 유망기술 분석에 관한 연구 - 창원시를 중심으로 - (The Analysis of Promising Technology of Regional Main Industry Using Patent Indicators - Focusing on Changwon-si -)

  • 박장훈;옥영석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11호
    • /
    • pp.1414-1419
    • /
    • 2019
  • 4차 산업시대의 기술 급변에 따른 공백기술을 도출하고 유망기술을 발굴하기 위한 지역산업의 움직임을 특허지표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현재 창원시는 미래 지역주력산업으로 수소 전기차 기술을 중점 육성하여 미래 지역 유망기술로 발굴하고자 많은 기술 정보를 수집하고 있다. 기술 정보 수집은 분류방법, 기술 동향, 유사기술 등으로 인해 시간과 비용 측면에서 많은 문제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기술 정보의 체계적인 분류와 기술 동향을 쉽게 도출할 방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특허지표를 통해 출원 성장률 측정 방법과 특허 출원 빈도 산정 과정을 통해 지역의 미래 주력산업에 대한 공백기술과 유망기술 동향을 분석하였다. 창원시의 미래 지역주력 산업인 수소 전기차의 기술 분류별, 국가별, 주요기업별 특허 동향을 조사하여, 특허 출원의 추세성과 기술의 혁신성 및 집중도인 기술성과 활동성을 분석하였다. 중복기술을 제거하고 기술 연관성을 고려하여 634건에 대해 특허 정보를 기반으로 기술 동향 분석한 결과 향후 지역산업을 위해 특허 출원을 확보하여 지역산업과 기업 경쟁력 제고가 필요한 시점으로 분석되었다.

초오 추출물 관련 국내 특허 분석 (An Analysis of Aconiti Ciliare Radix Patents)

  • 김채연;김기수;이상현;황만석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7-35
    • /
    • 2022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Korean domestic patents on aconiti ciliare radix and to identify the trend of aconitum tuber technology. Methods: To analyze the patent, a combinations of words such as "aconitum" or "korean aconite root" were used in search engine Kipris(www.kirpis.or.kr). The patents of aconiti ciliare radix were analyzed in three ways: year trend analysis, internatonal patent classification (IPC) code analysis related to content classification, and patent registration status analysis. Results: Among the patents found in the search results, 17 patents with significant contents were analyzed. Results showed that, first, patents were steadily registered until 2018, but recently there has been no new patent registration. Second, there were many patents related to efficacy verification and decoction method, and the number of IPC codes related to them was also high. Third, there are five patents maintaining the registration status, and they are patents related to the aconiti ciliare radix extraction method, toxicity removal, and combination method. Conclusions: In this study, the domestic patents of aconiti ciliare radix were analyzed.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exploit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medicine analgesics with fewer side effects by suppressing tuber toxicity and the creation of new medical technolog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