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tent Value

검색결과 162건 처리시간 0.028초

기업의 보유 특허 특성과 경제적 활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의료화학산업 특허를 중심으로 (A Study on Properties of Patents in the Applicants and Possibility of Economical Usage-Focused on Pharmaceutical Chemistry Industry Sector)

  • 고영희;이미현
    • 지식경영연구
    • /
    • 제14권1호
    • /
    • pp.39-55
    • /
    • 2013
  • As the importance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for the 21st century challenge became prominent, many companies have been trying to secure many rights competitively. In particular, application numbers of patent that represents technology has been increased continuously. Korean companies were not exception; mainly in large companies, there have been continued the efforts to grow the number of patent applications in quantitative volume. But the issues that how viable patents the companies have, how effectively the companies manage, and how economically usable the patents are, are totally different from quantitative management level. As such, the issue is connected to how to assess the patent management level of companies. On the other side of quantitative growth of patent that companies hold, there are some problems such as the difficulties to determine if the patents hold substantial values, and the difficulties to determine whether the patent are managed effectively. In addition, as the numbers of patent application and registration of companies are increased, the cost for patent holding and managing increase. It is required to pay continuous attention to the cost of patent management because patent registration fee has a property that increases rapidly with time and burden for patentee become heavier. As a result of analysis and interpretation, we confirmed that quantitative management, particularly the number of patent applicant does not make positive impact on how to use patent after application. Rather, it is observed that the economical usage is influenced positively by the efforts of patent applicants such as considering for the time of patent examination, paying attention to receive patent registration decision. Therefore, this study shows that efforts patent applicants provide in management level after application time are important to maintain the value of patents.

  • PDF

정보기술 혁신이 기업 가치에 미치는 영향: 정보기술 특허를 중심으로 (The Impact of IT Innovation on Firm Value: Evidence from IT Patents)

  • 정성훈;김기민
    • 지식경영연구
    • /
    • 제17권3호
    • /
    • pp.161-179
    • /
    • 2016
  • The recent patent wars in the information technology (IT) industry demonstrate the strategic importance of IT patents in the industry. In this paper, we adopt the lens of real options to study the value of IT patents for IT firms. Specifically, we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IT patents and firms' market performance. We also consider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innovation orientation of firms' patent portfolios (exploitative vs. explorative). Based on a large panel dataset consisting of 697 firms in US IT industries,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impact of IT patents on firm value (as measured by Tobin's q) is positive and significant. Further, we find that this impact varies, depending on the innovation orientation of firms' patent portfolios. IT patent portfolios with higher levels of an exploitative orientation are associated with higher firm value, compared to those with a lower exploitative orientation. This study highlights the value of employing real options theory as the underlying mechanism in understanding the impact of patents on firm valuation. Future researchers can adopt the real options lens to identify and empirically examine the role of other factors that may affect the value of patents and other investments exhibiting real option characteristics. While our paper answers some questions about the value of patents in the IT industry, it also raises a number of additional new questions. As such, we hope that it will generate more research on this important topic.

특허 포트폴리오 구성과 신제품 출시 성과: 특허 재정비 활동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Patent Portfolio Composition and New Product Introduction: The Moderating Role of Technological Resource Rearrangement)

  • 김나미;이종선
    • 지식경영연구
    • /
    • 제19권3호
    • /
    • pp.63-87
    • /
    • 2018
  • In a rapidly changing technology environment, managing and rearranging the patent portfolios is one of the main sources of competitive advantage for firms.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patent portfolio composition on new product introduction related to resource allocation. This study also looks at the moderating role of rearranging the patent portfolios on new product introduction. Our empirical analysis of the global pharmaceutical industry shows that firms with high-value patent portfolios exhibit a tendency to launch new products, and patent portfolio diversity shows a U-shaped relationship with new product introduction. In addition, the patent portfolio rearrangement positively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atent portfolio diversity and new product introduction. The results are expecte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firms' patent portfolio composition and patent portfolio rearrangement related to innovation performance such as new product introduction.

특허의 질적 특성에 특허인용이 미치는 효과 분석 : 한국 특허의 전후방 특허인용관계를 중심으로 (The Determining Effects of the Backward Citations on the Attributes of Patent Quality : Using the Korean Patent Citations)

  • 추기능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127-1154
    • /
    • 2018
  • 본 연구는 특허의 질적 특성을 관측 가능한 특허의 인용지표로 설명함으로써 특허가치 추정모형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는 기업, 대학, 연구소가 한국특허청에 출원한 특허를 대상으로 전후방 인용자료를 구축하였다. 특허의 원천측면을 반영하는 후방인용 지표들이 후속특허에 의한 활용측면을 반영하는 전방인용 특성들을 잘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방인방 지표와 후방인용 지표 간에 존재하는 함수관계는 특허가치에 대한 추정, 예측모형을 더 정교화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후방인용 지표들은 특허 자체가 갖는 기술범위를 잘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협력의 일방에게 기술협력의 상대방이 누구인지도 중요하였다.

2005 PIUG Conference 참관기

  • 김민아
    • Patent21
    • /
    • 통권62호
    • /
    • pp.36-38
    • /
    • 2005
  • PIUG란 Patent Information User Group의 약자로서 특허정보에 전문적ㆍ기술적 관심을 가진 개인들이 모여서 결성한 비영리단체이다. 이들은 특허정보 관련 정보교환 및 인적 네트워크 형성을 목적으로 매년 미국에서 Conference를 개최하고 있으며, 올해의 PIUG Conference는 "The Future of Patent Information - Tools and Techniques for Adding Value"라는 주제하에 미국 버지니아주의 Arlington이라는 도시에서 5월 21일부터 26일까지 7일간 개최되었다.

  • PDF

특허의 질적 가치가 기업의 시장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act of Patent Quality on the Firm's Market Value)

  • 정재관;김병근
    • 기술혁신연구
    • /
    • 제25권3호
    • /
    • pp.265-297
    • /
    • 2017
  • 본 연구는 연구개발스톡과 6개의 지식스톡(특허의 질적 가치)이 기업의 시장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포함하는 연구모형을 설정하여 기업의 시장가치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토빈Q 모형을 사용하여 우리나라 402개 기업의 미국특허등록 108,851건(연도관측치 2,795건)의 특허를 분석하였다. Hall모형의 확장 모형 분석결과, 연구개발스톡/자산, 청구항스톡/특허스톡, 인용스톡/특허스톡 등이 기업의 시장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의수준이 높진 않지만 피인용스톡/특허스톡, 발명자스톡/특허스톡 등도 기업의 시장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특허경영시대에 특허의 질적 수준 고도화와 특허의 가치 제고를 위한 정책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R&D 기술 선정을 위한 시계열 특허 분석 기반 지능형 의사결정지원시스템 (An Intelligent Decision Support System for Selecting Promising Technologies for R&D based on Time-series Patent Analysis)

  • 이충석;이석주;최병구
    • 지능정보연구
    • /
    • 제18권3호
    • /
    • pp.79-96
    • /
    • 2012
  • 기술의 발전과 융합이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는 오늘날 유망기술을 어떻게 파악하여, 다양한 후보군들 중에서 최적의 R&D 대상을 어떻게 선정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는 주요한 경영의사결정문제 중 하나로 부상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R&D 기술 선정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는 새로운 지능형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연구의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은 크게 3가지 모듈로 구성되는데, 우선 첫 번째 모듈인 '기술가치 평가' 모듈에서는 기업이 관심을 갖고 있는 분야의 특허들을 분석하여 유망기술 파악에 요구되는 다양한 차원의 기술가치 평가지수 값들을 산출하는 작업이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현재 시점에서의 각 기술의 가치가 다양한 차원에서 평가가 이루어지고 나면, 두 번째 모듈인 '미래기술가치 예측' 모듈에서 이들의 시간 흐름에 따른 변화를 학습한 인공지능 모형을 토대로 각 후보기술들이 미래 시점에 어떤 가치지수값을 갖게 될 것인지 예측값을 산출하게 된다. 마지막 세 번째 모듈인 '최적 R&D 대상기술 선정 지원' 모듈에서는 앞서 두 번째 모듈에서 산출된 각 차원별 예상 가치지수값들을 적절히 가중합하여 기술의 종합적인 미래가치 예측값을 산출하여 의사결정자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의사결정자가 자사에 적합한 최적의 R&D 대상기술을 선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제안된 시스템의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해, 10년치 특허데이터에 인공신경망 기법을 적용하여 실제 기술가치 예측모형을 구축해 보고, 그 효과를 살펴본다.

국내 정보통신산업의 지적재산권 공동 관리방안 : Patent Pool과 Patent Platform 비교분석 (IPRs Management in the Koran IT Industry: The Case of Patent Pool & Patent Platform)

  • 이응석
    • 기술혁신연구
    • /
    • 제12권1호
    • /
    • pp.219-240
    • /
    • 2004
  • As Shapiro and Varian argue the open approach generates bandwagon effects and facilitates the diffusion of a standard thanks to network externalities. However, the open approach is not linked automatically to economic benefits as suggested by some famous cases as the IBM PC history. On the contrary, the closed approach enables a tight control over a technology and its development, and insures the appropriation of economic benefits. As Shapiro and Varian suggest, a firm can also decide to mix an open approach with tight control over improvement or extentions. Patent pool is to offer fair, reasonable, nondiscriminatory access under a single license to patents that are essential for the use of standards-based or other platform technologies. patent pool offers only one license to everyone, Since each patent is essential, the royalty rate and thus the value is the same whether a licensee uses one or more patents.

  • PDF

특허활동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벤처기업 대 일반기업 (The Effects of Patents on Firm Value;Venture vs. non-Venture)

  • 이기환;윤병섭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06년 춘계학술발표회
    • /
    • pp.77-104
    • /
    • 2006
  • 이 연구는 코스닥증권시장 벤처기업과 유가증권시장 일반기업의 특허활동, 즉 특허활동량, 발명기술의 고급정도, 종업원1인당 특허지표 등 3가지 특허활동을 비교 분석하고 벤처기업과 일반기업의 특허활동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일반기업의 특허활동이 벤처기업의 특허활동보다 경영성과에 더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밝혔다. 이러한 결과는 규모가 큰 대기업이 R&D 투자를 통해 유효특허등록을 많이 하고 이를 기업가치의 제고 수단으로 활용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다수의 벤처기업이 대기업 수준 이상의 고급특허를 많이 등록할 수 있도록 정책적 대응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 PDF

산업별 특허가치평가 요인의 차이에 대한 연구 (Weight Differences of Patent Valuation Factors by Industries)

  • 박성택;이승준;김영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9권3호
    • /
    • pp.105-116
    • /
    • 2011
  • 기술혁신은 국가의 경제 성장과 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선진국들은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지식집약적 산업과 첨단기술기반 산업에 대한 육성 및 투자에 관심을 집중하고 있다. 특히 첨단기술기반 산업의 경우는 한국의 대표적인 산업으로서 정부에서 적극적으로 지원을 하고 있다. 이러한 첨단기술기반 산업에서는 특허가 기업의 중요한 경쟁우위 요소가 될 수 있는데 현재 이와 관련된 국내에서의 실증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논문은 특허가치평가시 평가 요인들이 IT 및 BT 산업별로 차이중요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연구의 목적으로 하고 있다. 봄 연구에서는 비교 분석을 위해 특허가치평가기관의 평가 모형과 기존의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요인들 중에서 중요 요인을 도출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AHP 기법을 활용하여 IT와 BT 산업별로 특허가치평가 중요 요인들이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특허가치평가 중요 요인들이 산업별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