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ssion

검색결과 340건 처리시간 0.026초

Integrated Effect of Domain and Entrepreneurial Passion on Innovation Strategies of Independently Owned Restaurants: Evidence from Pakistan

  • AZIZ, Rabia;KANG, Shinhyung
    • 융합경영연구
    • /
    • 제9권6호
    • /
    • pp.1-13
    • /
    • 2021
  • Purpose: This research explores how domain passion in addition to entrepreneurial passion influences innovation strategy of venture, thus expanding the role of passion in choosing the path for innovation strategy. Passion is considered one of the most debated concepts in entrepreneurship, psychology, and marketing literatures, and yet a framework describing the integrated effect of entrepreneurial and domain passion on innovation strategy of venture is still lacking. Research data and methodology: Based on an inductive qualitative approach, the research addresses these issues via analyzing four unique cases of independently owned restaurants in Pakistan. The research focusses on the entrepreneurs who startup a venture out of a passion for a specific domain and have a passion for entrepreneurship either from start or it fuels up later during entrepreneurial process. Results: In the presence of both types of passions (Domain and entrepreneurial), the individuals will be inclined towards ambidexterity which differ in types from case to case according to different combinations and intensities (harmonious and obsessive) of passion. Conclusion: Research shows how innovation strategy of domain passion driven ventures is influenced by both entrepreneurial and domain passion, so to understand the role of passion in such cases integrated effect of both passions needs to be explored.

그릿(Grit)과 열정은 변별되는가? 다집단요인분석을 이용한 비교문화 연구 (Is Grit Different from Passion? Assessing Cross-Cultural Differences Through the Use of Multiple-Group Factor Analysis)

  • 김정은;양수진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7권4호
    • /
    • pp.411-434
    • /
    • 2021
  • 본 연구는 그릿과 열정 구인이 변별되는지를 검증하고 동, 서양 문화 간 두 구인의 관계성에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 대학생 208명과 미국 대학생 251명을 대상으로 다집단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형태동일성과 부분측정단위동일성이 성립하여 한국과 미국 모두에서 그릿의 두 요인인 흥미의 지속성 및 노력의 꾸준함과 열정의 두 유형인 조화열정 및 강박열정 각각이 서로 잘 구별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단, 미국 대학생 집단에서는 흥미의 지속성이 적응적인 조화열정과는 정적인 상관을, 부적응적인 강박열정과는 부적인 상관을 보인 반면에, 한국 대학생 집단에서는 노력의 꾸준함 뿐만 아니라 흥미의 지속성도 조화 및 강박열정 모두와 상관이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는 그릿의 개념적 정의와는 달리 한국의 대학생 집단에서는 그릿이 열정과 관련이 높지 않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그동안 개념적으로 유사함에도 불구하고 이론적으로만 설명되어 왔던 그릿과 열정 간의 변별성을 경험적으로 밝히고, 서구에서 주로 논의되어 온 그릿과 열정이 문화적 토양에 따라 가질 수 있는 차이를 확인하였다.

경호무도 전공생의 동기가 열정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assion to Motivation on Major Students for Security Martial Arts)

  • 김동현;임태희
    • 시큐리티연구
    • /
    • 제44호
    • /
    • pp.37-58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경호무도 전공생들의 전공에 대한 동기 수준이 열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393명의 경호무도 전공생을 목적적 표집방법을 활용하여 선정하였다. 조사도구는 참여동기와 열정으로 총 45문항을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기술통계, 탐색적 요인분석, 피어슨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첫째, 경호무도 전공생의 동기는 조화열정과 영향관계를 갖는다. 둘째, 경호무도 전공생의 동기는 강박열정과 영향관계를 갖는다. 셋째, 경호무도 전공생의 동기는 전공에 대한 일체감과 영향관계를 갖는다. 넷째, 경호무도 전공생의 동기는 열정의 선호도와 영향관계를 갖는다. 다섯째, 경호무도 전공생의 동기는 열정의 가치와 영향관계를 갖는다. 여섯째, 경호무도 전공생의 동기는 열정의 투자와 영향관계를 갖는다. 종합해 볼 때, 경호무도 전공생의 전공에 대한 동기 중 가치부여와 내적만족과 같은 내적 동기 수준이 높으면 열정과 전공에 대한 일체감 그리고 열정의 선호, 가치, 투자성이 높아진다. 반면 무동기 수준이 높으면 조화열정과 전공에 대한 일체감 그리고 열정의 선호, 가치, 투자성이 낮아진다.

  • PDF

시뮬레이션골프 참여자의 건강관심도와 여가스포츠열정 및 심리적 행복감의 간의 구조적 관계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Health Concern, Leisure Sports Passion and Psychological Happiness for Simulation Golf Participants)

  • 설수황;안병욱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9권7호
    • /
    • pp.317-326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시뮬레이션골프 참여자들의 건강관심도, 여가스포츠열정 그리고 심리적 행복감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한정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규명하기 위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등을 사용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 과정을 거쳐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시뮬레이션골프 참여자의 건강관심도는 조화열정에 긍정적인영향을 미쳤다. 둘째, 시뮬레이션골프참여자의 건강관심도는 강박열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시뮬레이션골프 참여자의 건강관심도는 심리적 행복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시뮬레이션골프 참여자의 조화열정은 심리적 행복감에 긍정적인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시뮬레이션골프 참여자의 강박열정은 심리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비추어 볼 때 건강을 중시하는 현대인들에게 시뮬레이션골프의 재미를 통해 운동열정을 높임으로써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A Study on the Dance Passion, Self-Management, and Dance Commitment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Dance

  • Yun, So-Yeo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0권2호
    • /
    • pp.123-129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dance passion, self-management, and dance immersion. Specifically, passion for dance was subdivided into obsessive-compulsive passion and harmonious passion, and these were selected as exogenous variables. In addi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theoretical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by analyz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composed of endogenous variables of self-management and dance immers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dance, and the final 206 students were selected as effective samples by the convenient sampling method. For data processing, frequency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3. In addition, AMOS 21 was used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both compulsive passion and harmonious passion have a positive effect on self-management. Second, self-managemen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dance immersion. Third, it was found that compulsive passion had a positive effect on dance commitment, but harmonious passion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dance commitment.

Knowledge Sharing and Innovative Work Behavior: Testing the Role of Entrepreneurial Passion in Distribution Channel

  • UDIN, Udin
    • 유통과학연구
    • /
    • 제20권2호
    • /
    • pp.79-89
    • /
    • 2022
  • Purpose: This study aims to scrutinize the effect of knowledge sharing on entrepreneurial passion and innovative work behavior. This study also tests the mediating role of entrepreneurial passion on the association between knowledge sharing and innovative work behavior in distribution channel.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A quantitative methodology is adopted to inspect the association between knowledge sharing, entrepreneurial passion, and innovative work behavior. Data are obtained from 193 employees from four stone milling companies in Central Java - Indonesia. The Smart PLS 3.0 software is used to verify and test the offered hypotheses. Results: The significant empirical findings reveal that knowledge sharing positively affects entrepreneurial passion and innovative work behavior. Also, entrepreneurial passion positively affects innovative work behavior. In addition, this study brings to the light that entrepreneurial passion mediates the association between knowledge sharing and innovative work behavior. These results suggest that organizations should freely facilitate knowledge-sharing behavior to increase entrepreneurial passion within the organization, thereby promoting innovative work behavior. Conclusions: This study presents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knowledge in business because the studies on the association between knowledge sharing and innovative work behavior have not taken into account the mediating role of entrepreneurial passion.

예비창업가의 열정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Passion of Preliminary Entrepreneurs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 강민정;이새롬;김병근
    • 벤처창업연구
    • /
    • 제16권4호
    • /
    • pp.71-84
    • /
    • 2021
  • 최근 경제 부흥정책의 하나로 청년들의 창업에 대한 국가차원의 장려가 지속됨에 따라 청년창업에 대한 투자와 청년들의 지원이 증가하고 있다. 창업의도는 창업으로 이어지는 직접적인 요인으로 많은 연구들이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기업가의 개인적 특성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같은 맥락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창업가의 열정을 조화 열정과 강박 열정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또한 열정에 영향을 미치는 창업가의 개인적 특성인 성취욕구, 감정, 주관적 규범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예비창업가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02명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구조방정식 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예비창업가의 성취욕구, 긍정적 감정은 조화 열정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부정적 감정과 주관적 규범은 조화 열정에 유의미하지 않았다. 성취욕구는 강박열정에 부(-)의 영향을 보였고, 긍정적 감정과 부정적 감정은 강박 열정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나 주관적 규범은 강박 열정에 유의미하지 않았다. 조화 열정과 강박 열정은 창업의도에 정(+)의 영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조화 열정과 강박 열정이 성취욕구, 긍정적 감정, 부정적 감정과 창업의도 사이에서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였고, 그 결과 성취욕구, 긍정적 감정과 창업의도 사이에서 매개효과가 나타났고, 특히 성취욕구는 완전매개효과가 있었다. 긍정적 감정과 창업의도간의 관계에서 강박 열정 또한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Effect of Entrepreneurial Passion and Positive Emotions on Customer Responses: Mixed Methods Approach

  • HAN, Youngwee;HAN, Sangho
    • 유통과학연구
    • /
    • 제18권5호
    • /
    • pp.35-47
    • /
    • 2020
  • Purpose: In the highly competitive franchise market, the perceived entrepreneurial passion and emotions of customers are very important, because it impacts on the success of companies. Thu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how the impact of the franchise entrepreneurial passion and positive emotions on the brand trust and loyalty of customer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is study analyzes data was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on customer(n=480) who had visited franchise restaurants. Analysis of used collected data was based on the mix method us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Results: The quantitative analysis results showed inventing passion, developing passion, positive emotions that perceived by customers have a positive impact on brand trust. On the other hand, founding passion did not have an impact on loyalty in quantitative analysis. but when combined with developing passion in qualitative comparison analysis, but when combined with developing passion in qualitative comparison, that became the sufficient condition of high loyalty of customers. Conclusions: The franchisor of the Korean franchise industry is indiscriminately overusing the founding franchisees, causing social problems. In this situation, founding passion can have a negative impact on customers. Therefore, the franchisors must have management capabilities by strictly managing the founding rules of the franchisee and disclosing the corporate vision.

음악재능 청소년의 계획적 연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열정과 성취 목적을 중심으로 (Influencing Factors on Deliberate Practice among Musically Talented Adolescents: On Passion and Achievement Goals)

  • 안도희;정재우
    • 영재교육연구
    • /
    • 제20권3호
    • /
    • pp.947-96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음악재능 청소년을 대상으로 이들의 열정과 성취 목적이 계획적 연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예술고등학교 재학생 총 597명이 최종분석 대상으로 선정되었으며, 이들의 평균연령은 17.4세이었다. 음악재능 청소년들의 열정(조화, 강박), 성취 목적(숙달, 수행접근, 수행회피)의 하위 요인들을 상호 비교한 결과, 조화 열정이 강박 열정에 비해 높고, 이들은 숙달 목적보다 수행접근 목적을 가장 많이 추구하며, 수행회피 목적을 가장 적게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계획적 연습의 고 저에 따른 두 집단을 비교한 결과, 집단 I(고집단)이 집단 II(저집단)에 비해 열정의 두 하위 요인 모두와 숙달 목적 및 수행접근 목적 모두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열정 및 성취 목적이 계획적 연습에 미치는 직 간접 효과를 분석한 결과, 조화 열정과 강박 열정 모두 계획적 연습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조화 열정과 강박 열정 모두 숙달 목적을 거쳐 계획적 연습에 간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기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조화 열정보다는 강박 열정이 음악재능 청소년들의 계획적 연습에 미치는 총효과가 더 크며, 성취 목적 중 유일하게 숙달 목적만이 계획적 연습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과학 PCK에 대한 학업 열정 수준 비교 (Comparison of Academic Passion for Scienc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between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 임효진;강훈식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1권4호
    • /
    • pp.690-700
    • /
    • 2022
  • 이 연구에서는 초등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과학 PCK에 대한 학업 열정 수준을 비교하였다. 또한 예비교사와 현직교사별로 과학 내용학에 대한 학업 열정과 과학 교육학에 대한 학업 열정 수준도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2학기에 교육대학에서 과학 관련 강좌를 수강하고 있는 비과학 심화전공 1~4학년 학생 182명과 초등학교에서 근무하고 있는 현직교사 161명을 선정한 후, 과학 내용학 및 과학 교육학에 대한 학업 열정 검사를 온라인으로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집단 내 비교에서는 과학 내용학에 대한 학업 열정의 경우 현직교사가 예비교사보다 '중요함'과 '좋아함'의 수준이 높았지만, 예비교사는 현직교사보다 '시간/에너지 투자'의 수준이 더 높았다. 과학 교육학에 대한 학업 열정에서는 예비교사가 현직교사보다 '시간/에너지 투자'의 수준이 높았지만, 다른 하위 영역에서는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집단 간 비교에서는 예비교사의 경우 '조화열정'에서만 과학 내용학에 대한 학업 열정보다 과학 교육학에 대한 학업 열정 수준이 더 높았다. 현직교사의 경우에는 '좋아함', '중요함', '시간/에너지 투자', '강박열정'에서 과학 교육학에 대한 학업 열정보다 과학 내용학에 대한 학업 열정 수준이 더 높았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