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ts Certification

검색결과 105건 처리시간 0.024초

자동차부품시장 및 품질인증부품제도 개선방안연구 (A Study on Improving the Automotive Parts Market and Quality Certification Parts System)

  • 하성용
    • 자동차안전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49-55
    • /
    • 2023
  • In this study, it was analyzed that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quality certification parts system, to make certification codes mandatory for self-certification products that are normally distributed, and to conduct follow-up management so that prompt action and thorough management of test reports are necessary in case of defects. Big data-based data, the detailed number of parts replacement cases, parts cost by part group, share, average labor cost, calculated to analyze the detailed automobile parts industry, and automobile parts certification system and automobile parts market in major countries including Korea and Through the distribution structure analysis, improvement plans for the automobile quality certification parts system were derived.

부품등제작자증명(PMA) 제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arts Manufacturer Approval(PMA) for Parts Certification)

  • 정봉구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29-33
    • /
    • 2012
  • Until now, The Market of aviation parts had led by OEM(Original Equipment Manufacturer) parts because of aviation industry's nature required higher reliability and safety. But recently, The interest about PMA parts in aviation market is increasing continuously with various environmental changes, such as economic stagnation, oil price rise, development of the manufacture technique and newly rising market of Asia-Pacific region. So, this paper introduces the trend and the requirements of FAA PMA / EASA EPA in order to enhance understanding for certification for aviation parts.

항공기 부품제작자증명 인증절차에 관한 고찰 (A Study on Certification Procedures for Aircraft Parts Manufacturer Approval)

  • 이강이;이백준;정하걸;유창경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2권12호
    • /
    • pp.1073-1079
    • /
    • 2014
  • 항공기 부품은 새로 개발되는 항공기의 설계를 구성하는 일부일 뿐만 아니라, 형식증명을 받은 항공기의 감항성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미국은 1965년부터 부품제작자승인 제도를 수립 시행하여 운용 중인 항공기의 감항성 유지는 물론 전 세계의 항공기 부품 시장의 확대에 기여해 왔다. 본 논문에서는 미국의 부품제작자승인, 유럽의 유럽부품승인, 그리고 우리나라의 부품등제작자증명 제도를 상호 비교 분석함으로써 국제적 안전성 기준에 부합하고 부품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개선사항을 제시하였다.

민간 항공기 인증을 위한 표준부품 적용에 대한 고찰 (The study on the interpretation for the usage of standard parts for civil aircraft certification)

  • 박근영;김일영;이종희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8-22
    • /
    • 2012
  • This is the study to introduce the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standard parts for civil aviation. The standard parts is considered one of replacement and modification parts acceptable to the civil aviation authority.

항공기 부품제작자증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arts Manufacturer Approval in Civil Aviation Law)

  • 이강이;진영권;이종희;이광희
    • 항공우주정책ㆍ법학회지
    • /
    • 제17권
    • /
    • pp.133-152
    • /
    • 2003
  • 항공기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항공기, 엔진, 프로펠러는 물론이고 항공기용 부품소재 및 장비품에 대해서도 법적인 인증이 요구된다. 미국을 비롯한 항공선진국에서는 항공기용 부품에 대해서는 부품제작자증명을 받도록 하고, 표준화된 장비품 등에 대해서는 기술표준품 형식승인을 받도록 법적으로 규정하고 있으나, 국내의 경우에는 이에 대한 법적인 인증제도를 갖추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국의 부품제작자증명 제도를 분석하고 국내항공산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항공기용 부품의 인증에 필요한 법적인 요건을 개발하여 항공법 개정안으로 제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항공산업체의 인증시스템 구축을 지원하였다.

  • PDF

부트스트랩 맘퀴스트 생산성지수를 이용한 Single PPM 인증기업의 생산성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Productivity of the Single PPM Quality Certification Company by using the Bootstrapped Malmquist Productivity Indices)

  • 송광석;유한주
    • 한국품질경영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품질경영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3-48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productivity change of the 10 Single PPM Certification Company in the 3 Industry(Electronics, Motor-Parts, Machines). In this study, Productivity change over the time in Korean small and medium sized firms in the 3 industries by the bootstrapped Malmquist Productivity Index(MPI). The traditional Malmquist Productivity Index(MPI) and Data Envelopment they could lead to wrong evaluations of the efficiency and productivity scores. In this paper, DEA and a MPI are combined with a bootstrap method in order to provide statistical inferences that analyze the performance of the Single PPM Certification Company. The data cover the period between 2004 and 2007. The result of this paper reveals : 1) The electronic industries(Motor-Parts, Machines). 2) average productivity Progress of the 7DMU(Electronics), 1DMU(Motor-Parts) and none(Machines).

  • PDF

미국과 유럽의 항공기 기술표준품 인증절차에 관한 고찰 (A Study on Certification Procedures for Technical Standard Order Authorization of USA and Europe)

  • 이강이;박근영;정하걸;유창경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9-27
    • /
    • 2015
  • The Technical Standard Order articles are the parts and appliances for which the civil aviation authority designates as it is necessary to standardize for the expedited certification process and aviation safety. TSO articles were used on the type certified aircraft as replacement parts in the early days of TSO authorization system, but those articles are widely used on the newly developed aircraft as well in these days. In this paper, we compared the differences of the TSO authorization systems between FAA and EASA, and proposed the rulemaking items to improve Korean TSO authorization system and to contribute to growth of aviation industry.

A Study on the Pilot Qualification and Qualification System Establishment of The Aerospace Composite Materials

  • Yong Man Yang;Sung In Cho;Seok Ho Jeong;Je-Jun Kim;Manseok Oh;Young Hwan Kim
    • International Journal of Aerospace System Engineering
    • /
    • 제10권1호
    • /
    • pp.14-24
    • /
    • 2023
  • The materials applied to the aircraft fuselage, parts, and components must be verified by relative authorities in accordance with the procedures set by the airworthiness authority to achieve the aircraft type certification. There are no examples of domestic composite materials which were verified in order to be applied to aircraft structure. In this study, the composite material certification system of NCAMP, an American composite material standard certification organization, was reviewed and used as the fundamentals of the first aerospace composite material certification system in ROK(Fig 2,8). Also updated material certification documents were developed and confirmed by material certification engineers and inspectors. This aerospace composite material qualification system is intended to modernize the material certification system for AAM(Advanced Air Mobility) as well as aircraft and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related technicians and inspectors.

상용항공기 엔진부품 수리 인증체계에 관한 사례연구 (Case Study on Certification System of Parts Repair for Commercial Aircraft Engine)

  • 이창택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95-103
    • /
    • 2023
  • 항공기 엔진부품 수리는 항공기 산업 계층구조 중 맨 하위 단에 속하는 분야로서, 상위 단에 속하는 항공기 제작이나 정비와 비교하면 연구에서 소외된 면이 있으나, 2019년 대한항공 엔진정비공장에서 엔진부품 수리를 위해 외국에 지불한 비용이 $1.3억에 달할 정도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국산화의 필요성이 큰 산업 분야이다. 엔진 부품수리 국산화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수리기술 개발을 기반으로, 엔진제작사와의 계약관계의 조율, 엔진제작사나 외국 수리업체의 의존으로부터 탈피 등 여러 조건이 있으나, 독자적인 수리를 할 수 있는 인증체계의 확보 역시 필요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이와 같은 인증체계의 확보에 대한 필요성을 제시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인증체계를 확보하고자 노력하는 후속 연구에 토대가 되고자 한다.

3D 프린팅 기술 접목 항공부품의 인증 제안 (Certification Proposal for 3D Printing Technology Integrated Aviation Parts)

  • 박태진;최정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267-272
    • /
    • 2021
  • 본 연구는 3D 프린팅을 통해 제작된 항공부품 인증에 관한 제안을 하고자 한다. 현재 다양한 산업군에서 여러 방식의 3D 프린터가 활용되고 있다. 그 중 항공분야에서도 무인기나 항공부품 제작을 위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3D 프린터 기술 수준 및 이를 활용한 항공부품 적용 등에는 많은 문제점들 및 관련 감항 인증 기준이 미흡한 상태이다. 또한, 적합성과 합치성에 대한 명확한 인증 기준은 제시된 것이 드물다. 따라서, 항공부품으로 적용하기 위한 3D 프린팅 장비의 인증 관련 사항들을 제안하고자 한다. 앞으로 3D 프린팅 장비의 정밀도 향상 및 불량률 저하, 축 처짐 문제, 베드 레벨링 문제 등이 해결될 것으로 기대되고, 이에 대한 인증기준이 명확하게 정립되기를 바란다. 그리고, 3D 프린팅 기술을 적용한 항공부품의 신뢰성이 향상되기를 바라고, 관련 인증 기준들이 더욱 발전되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