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enting anxiety

검색결과 78건 처리시간 0.029초

Infant-rearing experiences of parent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 South Korea: a mixed-methods approach

  • In-Hye Song;Kyung-Ah Kang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30권1호
    • /
    • pp.31-44
    • /
    • 2024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infant-rearing experiences of parents during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pandemic and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infant-rearing support programs during pandemic situations. Methods: Convergent mixed methods were used to better understand the research outcomes by converging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A total of 149 parents with infant-rearing experiences during the pandemic responded to a self-report survey, and 10 parents participated in the interviews. Data were analyzed using Colaizzi's method,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the Scheffé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Results: Analysis of qualitative data yielded the following three categories: five theme clusters, ten themes, and thirty-nine subthemes. The factors influencing infant-rearing behavior were nuclear family (β=.34, p<.001) and rearing stress (β=-.39, p<.001).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regression equation was 26.6%. Conclusion: Infectious disease disasters, such as the COVID-19 pandemic, can quickly alter infant-rearing conditions, causing heightened parental anxiety. This may affect infant-rearing behaviors and hinder healthy infant development. Future research should develop a comprehensive tool to measure holistic health-related parenting behaviors across the different stages of child development. Additionally, pediatric nurse practitioners can play an active role in educating parents, supporting parenting, and promoting healthy infant development in their communities, making pediatric nurse practitioners a highly relevant and necessary healthcare profession during infectious disease disasters. Thus, there is a need to improve institutions and build infrastructure at the national level to support them.

산소요법 적용 미숙아 어머니에 대한 재가 돌봄 퇴원프로그램 효과 (Effects of a Home-based Discharge Program for Mothers of Premature Infants on Oxygen Therapy at Home)

  • 이지민;오순자;김경아;이은정;이지윤;황문숙;김정숙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6권2호
    • /
    • pp.144-155
    • /
    • 2010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develop and test a home-based discharge program. Methods: The study design was a pretest-posttest nonequivalent nonsynchronized quasi-experimental design. Participants were mothers of premature infants on oxygen therapy at home. The participants, 49 mothers, were assigned to either the experimental group (24) or control group (25).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2008 through February, 2009. Maternal confidence and anxiety were measured using a questionnaire. Chi-square test, t-test and Repeated Measures ANOVA were used to analysis the data. Results: Two hypotheses, "Maternal confidence in the experimental group will be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nd "Perceived anxiety level in the experimental group will be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were set up and both hypotheses were supported a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It suggests that the discharge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is an efficient intervention method to boost maternal confidence of the mothers with premature infants and to decrease their anxiety; therefore, this program is expected to be of use in nursing interventions.

임신 여성의 적응에 관한 Giorgi의 기술적 현상학 연구 (Adaptation in pregnant women: a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study using Giorgi's approach)

  • 고민선;김지순;안숙희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46-357
    • /
    • 2020
  • Purpose: This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study aimed to explore the lived experience and meaning of pregnant women's adaptation. Methods: Ten pregnant women from an ongoing Pregnant Couples' Cohort Study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elephone in-depth interviews regarding what they experienced and felt about pregnancy adaptation. The qualitative data were analyzed using Giorgi's method of descriptive phenomenology. Results: Five core situation components were extracted from the raw data, along with 12 themes and 33 focal meanings. The five core situations were 1) first recognizing the pregnancy, 2) pregnancy-related changes, (3) the upcoming birth, 4) the postpartum period, and 5) parenting. The 12 themes were as follows: "anxiety, pressure, and embarrassment due to pregnancy," "efforts to adapt to physical changes," "efforts to adapt to the psychological difficulties of pregnancy," "efforts to adapt to the financial burden and role changes caused by pregnancy," "connecting with the fetus," "adapting to a new marital relationship centering on the baby," "the frustration of childbirth," "fear of childbirth," "postpartum care, need help with lactation planning," "parenting beyond what I imagined," "dad's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parenting," and "career disconnect and consideration of workplace needs." Conclusion: We identified that pregnant women experience adaptation in physical, psychological, relational, and social aspects. The thematic clusters identified can be used to develop nursing interventions to promote women's adaptation to pregnancy.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광범위 선천성 대사이상 신생아 선별검사 관련 온라인 육아 커뮤니티 게시 글 분석: 계량적 내용분석 연구 (Analysis of online parenting community posts on expanded newborn screening for metabolic disorders using topic modeling: a quantitative content analysis)

  • 이명선;정현숙;김진선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20-31
    • /
    • 2023
  • Purpose: As more newborns have received expanded newborn screening (NBS) for metabolic disorders, the overall number of false-positive results has increa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sychological impacts experienced by mothers related to the NBS process. Methods: An online parenting community in Korea was selected, and questions regarding NBS were collected using web crawling for the period from October 2018 to August 2021. In total, 634 posts were analyzed. The collected unstructured text data were preprocessed, and keyword analysis, topic modeling, and visualization were performed. Results: Of 1,057 words extracted from posts, the top keyword based on 'term frequency-inverse document frequency' values was "hypothyroidism," followed by "discharge," "close examination," "thyroid-stimulating hormone levels," and "jaundice." The top keyword based on the simple frequency of appearance was "XXX hospital," followed by "close examination," "discharge," "breastfeeding," "hypothyroidism," and "professor." As a result of LDA topic modeling, posts related to inborn errors of metabolism (IEMs) were classified into four main themes: "confirmatory tests of IEMs," "mother and newborn with thyroid function problems," "retests of IEMs," and "feeding related to IEMs." Mothers experienced substantial frustration, stress, and anxiety when they received positive NBS results. Conclusion: The online parenting community played an important role in acquiring and sharing information, as well as psychological support related to NBS in newborn mothers. Nurses can use this study's findings to develop timely and evidence-based information for parents whose children receive positive NBS results to reduce the negative psychological impact.

한국의 교육광풍: 과연 한, 후회, 학습효과의 산물인가? (Koreans' Education Panic: A product of han, regret, or learning effect?)

  • 허태균;남궁재은;張薇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4권1호_spc
    • /
    • pp.47-62
    • /
    • 2008
  • 현재 한국의 지나친 교육열을 반영하는 비정상적인 교육현상에 대한 피상적이고 거시적인 설명만이 존재하고, 반면에 자녀교육을 결정하는 학부모 개개인의 심리적 기제에 대한 규명이 미흡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널리 상식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지만 실제로 과학적인 방법으로 검증되지 않은 '부모 자신의 교육에 대한 한, 후회, 학습효과'와 같은 심리적 기제가 부모의 자녀교육양식과 자녀의 학습활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초중고 548명의 학생과 그 부모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결과에 따르면, 전반적으로 학습효과는 애정적 /자율적 양육태도와 합리적인 자녀교육의지와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반대로 한과 후회는 거부적 /통제적 양육태도와 맹목적인 자녀교육의지와 관련되어 있었고 학업스트레스를 높이고 효능감을 낮추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들은 한국사회의 비정상적인 교육열이 단순히 교육열이 높고 낮음의 양적인 문제가 아닌, 그 심리적 근원에 따른 질적인 문제라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 PDF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가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취업모 양육태도의 매개효과 (Effects of Child's Daily Stress on Child's Problem Behaviors : The Mediating Effects of Employed Mothers Nurture Attitude)

  • 최선녀;최항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628-639
    • /
    • 2017
  • 본 연구는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취업모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유아의 문제행동에 취업모의 양육태도는 매개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를 위하여 "D"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다니는 만 3~6세 유아와 그들을 자녀로 둔 160명의 취업모였다. 연구를 위하여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관계를 분석하였고, 유아의 성별에 따라 일상적 스트레스와 취업모의 양육태도, 문제행동(공격성, 주의집중, 불안/우울)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아의 문제행동 중 공격성과 주의집중은 취업모의 강압적 양육태도와, 불안/우울은 논리적 양육태도, 불안/좌절감 경험 자존감 상함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여아의 문제행동 중 공격성은 취업모의 강압적 양육태도와, 주의집중은 불안/좌절감 경험 스트레스, 강압적 논리적 양육태도와, 불안/우울은 비난/공격적 상황 스트레스, 강압적 양육태도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유아의 성별에 따른 일상적 스트레스와 문제행동 간의 취업모 양육태도의 매개효과는 남아의 경우 매개역할을 하지 않았고, 여아는 매개역할을 하였다. 그러므로 어머니는 강압적이거나 방임적인 양육태도보다는 상호보완적인 논리적 양육태도를 증진시켜 자녀가 일상생활에서 보이는 스트레스를 낮추고 문제행동을 감소시키는 것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ETC 기반 집단미술치료의 효과성 연구: 초등학생 어머니의 양육불안 감소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ETC-based Group Art Therapy : Focusing on the Parental Anxie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Mothers)

  • 박상순;임성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303-316
    • /
    • 2021
  • 본 연구는 ETC 기반 집단미술치료가 초등학교 1학년 어머니의 양육불안 감소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ETC 이론의 치료적 요인과 효과성을 근거로 ETC 프로그램을 구성하였고, 연구대상으로 경기도 A시의 OO초등학교 1학년 자녀를 둔 어머니 7명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프로그램은 2019년 4월 8일부터 5월 24일까지 주 1~2회, 70~90분, 총 11회기를 진행하였으며 효과검증을 위해 양육불안 척도검사를 사전·사후 실시하고 측정한 값을 SPSS 24.0 프로그램으로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어머니의 양육불안이 ETC 미술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둘째, ETC 수준의 변화가 양육불안 감소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자신이 선호하는 미술매체로 ETC의 모든 수준에서 자기탐색과 자기이해를 할 수 있는 기회를 경험함으로써 양육불안을 낮출 수 있었다. 또한 내담자 자신의 문제를 스스로 자각하고, 자발적 매체선택을 통해 자신에게 유익한 방향을 결정할 수 있으며, 개인에게 맞는 활동을 수행하게 하는 ETC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소아치과 내원 환아의 심리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Factors Affecting the Psychology of Pediatric Patients)

  • 유승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384-389
    • /
    • 2017
  • 치과에 대한 거부감은 치과 치료의 역사만큼이나 오래되었다. 역사와 함께한 치과 치료 기술은 절개와 절삭을 포함하는 효과적인 치료와 함께 통증을 최소화하도록 지속적으로 발전하였으나 치과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기술의 발전만큼 감소하지는 못하였다. 특히 소아치과 환자들은 외부 자극에 대한 저항성, 정신적 발육, 인내심 등의 부족과 함께 부모의 영향을 포함하는 양육 방식의 변화로 인하여 DFA(dental fear and anxiety) 및 DBMP(dental behavior management problem)을 경험할 수 있다. 치과에 내원하는 환아가 경험하는 다양한 자극들 가운데 심리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로는 치과의사, 치과 진료 기구들이 있으며 치과의사와 관계를 형성하는데 영향을 주는 사회적인 요인이 존재한다. 특히 최근에는 스마트폰과 관련한 중독이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스마트폰의 사용이 구강에 미치는 영향과 치과에서 보이는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실제 경제수준과 지각된 경제수준 간 차이에 따른 어머니의 정신건강, 양육행동 및 유아의 문제행동 비교 (The Objective and Perceived Level of Economy and Its Relationship with Mother's Mental Health, Parenting Behaviors, and Problem Behaviors in Preschoolers)

  • 노연희 ;강지현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7권3호
    • /
    • pp.343-364
    • /
    • 2011
  • 본 연구는 경제적 수준에 대한 어머니의 지각이 어머니의 정신건강, 양육행동 및 유아의 문제행동과 어떤 관계를 갖는지 살펴보고자, 만 3세에서 5세 유아 238명의 어머니와 교사들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실제 경제수준은 해당연도 보육비 지원정책에 따른 보육비 지원 정도를 기준으로 하였고, 어머니가 지각하는 경제수준, 정신건강(우울/불안) 및 양육행동에 관한 자료는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되었으며, 자녀의 문제행동 자료는 어머니와 교사로부터 수집되었다. 실제 경제수준과 지각된 경제수준의 상/하에 따라 네 개의 집단으로 구분하고, 집단 간 어머니의 정신건강, 양육행동 및 유아의 문제 행동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과 사후분석을 실시하였다. 네 개의 집단은 실제와 지각된 경제수준이 모두 높을 경우 '일치고(高)', 둘 다 낮을 경우 '일치저(低)', 실제 경제수준은 높지만 지각된 경제수준은 낮은 경우 '지각저(低)', 마지막으로 실제 경제수준은 낮지만 지각된 경제수준은 높은 경우 '지각고(高)' 집단으로 나뉘었다. 주요 결과로는, 어머니의 우울과 불안에 있어서 일치고(高)와 지각고(高) 집단이 일치저(低)와 지각저(低) 집단보다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양육행동 중 온정적 양육에 있어서는 일치고(高) 집단이 일치저(저(低)) 집단보다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고, 적대적 양육에 있어서는 일치저(低)와 지각저(低) 집단이 일치고(高)와 지각고(高) 집단보다 높은 경향성을 보였다. 유아의 문제행동 증 어머니가 평가한 내재화 문제의 경우 일치고(高)와 지각고(高) 집단이 지각저(低) 집단보다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고, 외현화 문제에서는 일치고(高) 집단이 지각저(低) 집단보다 양호한 수준을 나타냈다. 이와 대조적으로 교사가 평가한 문제행동의 경우 내재화와 외현화 모두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외현화 문제에서 일치저(低) 집단이 지각고(高) 집단보다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어머니의 아동 양육 방식이 5세 아동의 애착 관계와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The Relationship of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s to Their 5-Year-Old Children's Attachment and Social Development)

  • 조은영
    • 아동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213-226
    • /
    • 1996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of mothers' authoritative and authoritarian childrearing attitudes to their 5-year-old children's attachment representations and to teacher-rated social competence. The sample consisted of 69 mothers and their 5-year-old children from intact families. Children were interviewed to assess the quality of their attachment representations using Slough & Greenberg's(1990) version of the Separation Anxiety Test(SAT). Mothers were administered the Childrearing Practices Report Q-sort(Block, 1965) and filled out questionnaires regarding their childhood experiences, their marital relationship and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dition, teachers rated children's social competency in school settings using Kohn's(1972) Social Competence Scal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showed that mothers' high scores on affective components of authoritative parenting and low scores on authoritarian attitudes are closely associated with children's secure attachment as well as teacher-rated social competen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