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enting anxiety

검색결과 78건 처리시간 0.031초

초등학생 자녀를 둔 취업모와 전업모의 양육불안 (Parenting anxiety about working mother and full-time mother, with elementary school children)

  • 이재희;박지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3호
    • /
    • pp.211-216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 자녀를 둔 취업모와 전업모의 양육불안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지원할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참여자는 모두 초등학생 자녀를 둔 어머니 20명이었다. 자료수집은 2017년 6월 23일부터 2017년 7월 8일까지 이루어졌다. 집단심층면담을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취업모가 느끼는 양육불안은 '아이에 대한 미안함', '학부모 역할에 대한 부담감', '돌봄에 대한 어려움'으로, 전업모가 느끼는 양육불안은 '독박육아의 어려움', '남편과의 역할 분담 필요', '재취업과 경력단절의 문제'로 제시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취업모와 전업모의 초등학생 자녀에 대한 양육부담을 경감시켜야 한다. 둘째, 초등학생 자녀를 둔 취업모들을 위한 실질적인 지원방안이 필요하다. 셋째, 초등학생 자녀를 둔 전업모들을 위한 실질적인 지원방안이 필요하다.

어머니의 아동기 애착, 정서, 양육행동과 아동의 문제행동의 경로모형 분석 (Path Model Analysis of the Maternal Childhood Attachment, Emotions, Parenting Behaviors and Children's Behavioral Problems)

  • 곽소현;김순옥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4권6호
    • /
    • pp.95-116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a hypothetical path model of maternal childhood attachment, emotions, parenting behaviors, and child behavioral problems. The research was conducted with 240 sets or mothers and their children 70 mother-child teams from seven counseling organizations including the Children's Counseling Clinic, Community Social Welfare Service Center, and Welfare Service Center for the Disabled in Seoul, Incheon, and Pyeongtaek, and 170 elementary school children from Seoul and their mothers. Consequently, a total of 200 mother-child team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he data in this study were analyzed with SPSS 12.0 program and LISREL 8.3 program.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1) Examining the path of paternal attachment and the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behavioral problems, it was noted that paternal attachment had the indirect effect of anxiety and over-protection on the path to internalizing problems and the indirect effect of anxiety also noted is that there is a full-mediation of anxiety and over-protection between paternal attachment and the internalizing problems. (2) Examining the path of maternal attachment and the internalizing problems, it was noted that maternal attachment has direct effect on the internalizing problems. Maternal attachment has the indirect effect of self-esteem depression, anxiety and over-protection on the Path, and the indirect effect of self-esteem, anxiety and over-protection. (3) Examining the path of maternal attachment and the externalizing problems, it was noted that maternal attachment has direct effect on the externalizing problems and on the path to the externalizing problems, and maternal attachment has the indirect effect of depression, the indirect effect of self-esteem and authoritarian control, and the indirect effect of self-esteem and depression.

Factors Contributing to Non-suicidal Self Injury in Korean Adolescents

  • Kim, MiYoung;Yu, Jungok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71-279
    • /
    • 2017
  • Purpose: Non-Suicidal Self-Injury (NSSI), a highly prevalent behavior in adolescents, refers to the direct destruction of one's body tissue without suicidal intent. To date, the prevalence of adolescent self-injury in South Korea and its associated factors remain unknown.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prevalence of self-injury in Korean adolescents as well as its associated factors. Methods: We assessed 717 middle school students by means of an anonymous self-report survey. Information about demographic characteristics, lifestyle, anxiety and depression, self-esteem, and parenting behavior was obtained. Data were analyzed using $x^2$ test, t-test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Results: NSSI was reported by 8.8% of respondents. Univariate analyses showed associations of exposure to alcohol use, anxiety, depression, self-esteem, and parenting methods with self-injury. In multiple analyses, alcohol use, anxiety, and parental abuse were associated with lifetime self-injury. Conclusion: The rate of NSSI in the South Korea was found to be lower than those of other countries. As our study suggests that alcohol use, anxiety, and parental abuse are associated with lifetime self-injury, health care providers at school should take these factors into account when developing prevention and intervention programs for adolescents.

섭식장애와 성장장애를 보이는 아동에 대한 다학제적 중재가 환모에게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ultidisciplinary Approach for Children with Feeding Disorder and Failure to Thrive on Their Mothers)

  • 안경진;정유숙;장병수;권정이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5권1호
    • /
    • pp.20-27
    • /
    • 2014
  •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intervention using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affects maternal mental health, parenting stress, and sense of parenting competence in children with feeding disorder and failure to thrive (FTT). Methods : Children with feeding disorder and FTT were randomized to the intervention group (N=11) or control group (N=8). We administered the Korean standardization of Parent Temperament Questionnaire for Children (K-PTQ) in both groups before intervention, and the Korean version of the 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 (K-PSI-SF), Korean version of the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K-PSOC), Korean version of the Beck's Depression Inventory (K-BDI), Korean version of the Beck Anxiety Inventory (K-BAI), and Korean version of the Mood Disorder Questionnaire (K-MDQ) in both groups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Results : In the intervention group, the K-BDI (p=.068), K-BAI (p=.068), and K-MDQ (p=.066) scores tended to show a decline, the K-PSI-SF scores for stress related to child learning showed a significant decline, and the K-PSOC scores for sense of parenting competence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However, no significant changes were observed i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 Use of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improved maternal mental health, parenting stress, and sense of competence. Comparison of these results with those of normal control will be necessary in a future study.

북한이탈 어머니들의 양육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에 관한 연구 : 결혼만족도와 사회적 지지 그리고 문화적응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Variables Affecting Parenting Efficacy of North Korean Refugee Mothers : With a Focus on Marital Satisfaction, Social Support, and Acculturation)

  • 박수경;안선희
    • 아동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103-122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variables affecting parenting efficacy of North Korean refugee mothers. The selected variables were marital satisfaction, social support, and acculturation.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105 mothers who had defected from North Korea with preschool children living in Seoul, Gwangmyeong-si, and Gyeongsangnam-do provinces. The data thus collected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marital satisfaction and social support had meaningfully positive effects on the parenting efficacy of North Korean refugee mothers. However, marginalization was found to be a predictor of competence-anxiety in parenting. The selected variables derived from the environmental systems in maternal parenting were significant factors in the parenting efficacy of North Korean refugee mothers and furthermore, their sociocultural environments were also important in parenting. These findings clearly showed that marital satisfaction and social support were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s of parenting efficacy of North Korean refugee mot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ppear to have a great deal of utility as preliminary data to improve the parenting efficacy of North Korean refugee mothers.

부모수준과 가족관계가 부모효능감과 양육불안감을 매개로 초등사교육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 Analysis of the Effects of Parental Level and Family Relationship on Elementary Private Education through the Mediation of Parental Efficacy and Parenting Anxiety)

  • 조찬희;김교헌;이형용
    • 지식경영연구
    • /
    • 제22권2호
    • /
    • pp.167-187
    • /
    • 2021
  • 대한민국 국민의 고등교육 이수율은 2009년에서 2019년 사이에 OECD 회원국 중 가장 높게 성장했다. 취업모의 자녀돌봄휴가나 남편의 배우자 출산휴가와 같은 일가정 양립정책의 확산으로 맞벌이 비율은 점점 증가하고 있다. 고등교육 이수자 증가와 맞벌이 부부의 증가로 부모의 교육적 경제적 수준은 이전에 비해 향상되었다. 또한 자녀 양육에 있어 양육분담을 하는 가족지원과 자녀와의 대화 및 놀이 활성화의 가정건강성으로 이루어진 가족관계는 개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 학부모의 부모수준과 가족관계가 사교육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가족지원과 가족건강성으로 이루어진 2차 요인인 가족관계와 부모교육수준과 부모경제수준으로 이루어진 2차 요인인 부모수준이 부모효능감과 양육불안감을 매개로 초등 사교육에 미치는 영향과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18 아동종합실태조사의 만 6세 이상 만 11세 이하의 초등학생 1,075명의 부모를 대상으로 PLS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통계적으로 제안 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가족관계와 부모수준은 부모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쳤고, 가족관계나 부모수준 그리고 부모효능감은 양육불안감에 부의 영향을 미쳤다. 부모수준은 사교육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부모효능감은 사교육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가족관계나 양육불안감이 사교육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매개효과 검증을 통해 가족관계나 부모수준은 부모효능감을 매개로 양육불안감에 영향을 미쳤고, 가족관계나 부모수준은 부모효능감을 매개로 사교육에 영향을 미쳤다. 연구를 통해 초등학생 학부모들이 과열되고 있는 사교육 분위기 속에서 부모의 경제적 교육적 수준 향상은 사교육을 증가시키지만, 좋은 가족관계에 의한 부모효능감 향상은 양육불안감과 사교육을 낮추는 효과를 거둔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지식경영 관점에서 자녀교육과 가족행복이 균형을 이루는 데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수용적 부모양육이 아동의 사회불안 및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 성별조절효과를 통한 분석 (The Effects of Perceived Parental Acceptance on Social Anxiety and Depressive Symptoms in Children: Examining Gender-Moderating Effects)

  • 정문자;여종일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8권9호
    • /
    • pp.103-111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erceived parental acceptance on social anxiety and depressive symptoms in children. Seven hundred and thirty eight 5th and 6th graders completed questionnaires. Regression analyses indicated that low levels of paternal acceptance was associated with higher social anxiety and depressive symptoms. Gender was a moderator of the effects of maternal acceptance on social anxiety and depressive symptoms. With high levels of maternal acceptance, girls were significantly less likely to report social anxiety and depressive symptoms, compared to boys. These results highlight the important role of parental acceptance in manifestations of social anxiety and depressive symptoms and clarify the relation of maternal acceptance to social anxiety and depressive symptoms as a function of gender.

COVID-19 펜데믹 상황에서 영유아를 둔 어머니의 코비드감염 불안, 분리개별화 문제가 양육스타일에 미치는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Parenting Style by Infection Anxiety and Separation Individiaulization Problems in Mothers with Infants and Toddlers in the COVID-19 Pandemic Situation)

  • 김영경;박완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417-432
    • /
    • 2022
  • 본 연구는 COVID-19 펜데믹 상황에서 영유아를 둔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코비드 감염불안, 분리개별화가 어머니의 양육스타일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대해 알아보고 어머니들의 양육에 도움이 되기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한 조사연구이다. 양육스타일인 온정적 양육과 통제적 양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계수의 유의성을 검증한 결과, 분리개별화가 온정적 양육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β=-.40, p<.001). 그리고 코비드감염 불안은 통제적 양육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β=.21, p=.002), 분리개별화는 통제적 양육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β=-.26, p<.001). 즉 분리개별화 문제가 있으면 온정적 양육은 낮고, 코비드감염 불안이 높을수록 통제적 양육은 높으며, 분리개별화 문제가 있으면 통제적 양육도 낮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COVID-19 펜데믹 상황과 같은 위기에서 영유아를 양육하는 어머니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고, 어머니가 주체가 되어 자녀를 지도하고 양육하는 것이 아동의 올바른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 사료된다.

융복합시대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아버지의 양육 참여의 조절효과 (The Effects of Mother's Parenting Stress on Children's Problematic Behavior in the Times of Convergence : The Moderating Effects of Father's Parenting Participation)

  • 김은덕;박찬상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123-133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과 그 과정에 있어서 아버지의 양육 참여의 조절효과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3년간 조사한 한국아동패널의 연구자료가 분석되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는 유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마치는 주된 요인이었다. 회귀분석결과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는 유아의 내면화와 외현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여 주었다. 둘째, 아버지의 양육 참여는 유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마치지 않았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는 아버지의 양육 참여와 관련한 상호작용효과가 유아의 내면화에 영향을 끼쳤다. 다른 말로 하면 아버지의 양육 참여는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내면화인 우울증에 끼치는 영향을 완화시켜 주었다. 그것에 기초하여, 교육과 복지 제안들이 만들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