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ental trust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28초

완벽주의 성향을 매개로 한 대학생의 부/모에 대한 애착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arental Attachment and Mediated Perfectionism on the Subjective Well-Being of Undergraduate Students)

  • 민성혜;신혜원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5권10호
    • /
    • pp.83-95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arental attachment on the subjective well-being of undergraduate students and the role of perfectionism. Undergraduate students(N=416) were administered a questionnaire on parent and peer attachment, and the results were characterized by the well-being scale, and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The results indicated that trust had a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whereas isola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Parental communic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oriented perfectionism an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Self-orientated perfectionism an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had a positive effect on positive affection and life satisfaction an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had a positive effect on negative affection. A hierarchial strategy for multiple regression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ole of perfectionism. The result indicated that self-oriented perfectionism mediated the effect of communication on positive affection, an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mediated the effect of trust on negative affection. In additio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mediates the effect of isolation on negative affection.

재한 중국 유학생이 지각한 부모애착과 불안의 관계: 대학생활적응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Parental Attachment and State-Trait Anxiety by Chinese Students in Korea: Focused on Mediating Effect of College Life Adjustment)

  • 주원;박정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580-590
    • /
    • 2017
  • 본 연구는 재한 중국 유학생이 지각한 부모애착이 불안에 미치는 영향과 대학생활적응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서울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중국 유학생 253명으로 모집하였으며, SPSS 18.0 프로그램으로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조사대상자의 연령, 학력, 대학생 자녀가 지각한 부모와의 의사소통, 신뢰감, 그리고 학업적응, 사회적응, 개인-정서적응, 대학환경적응이 불안과 부정적인 관련성이 있었으며, 소외감과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사대상자가 지각한 부모애착 중의 하위변인 신뢰감과 대학생활적응의 하위변인인 학업적응과 개인-정서적응이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부모애착이 불안에 미치는 영향의 관계에서 대학생활적응의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재한 중국 유학생의 불안정서를 감소하기 위하여 안정적 부모애착뿐만 아니라 대학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부모, 또래, 지역아동센터 교사와의 관계가 지역아동센터 이용 저소득층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Relationships with Parents, Peers, and Community Child Center Teachers on School Adjustment of Low-Income Adolescents Attending Community Child Centers: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 이운경;김민주;윤기봉
    • 한국가족복지학
    • /
    • 제23권4호
    • /
    • pp.633-652
    • /
    • 2018
  •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direct effects of relationships with parents, peers, and community child center teachers on the school adjustment of low-income adolescents attending community child centers and the indirect effects mediated through adolescents' resilience. The second-term panel data from the fourth-year Community Child Center Survey was used to analyze 198 adolescents (103 boys, 95 girls) who were first graders at middle schools. SPSS 20.0 and AMOS 20.0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Parental monitoring and peer trust had direct effects on the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while satisfaction with community child center teachers did not. Parental monitoring, peer trust, and satisfaction with community child center teachers had indirect effects on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mediated through resilience. The school adjustment of low-income adolescents has received attention from both researchers and politicia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notable in that both the important relationships and resilience of low-income adolescents can significantly contribute to their school adjustment in their first year at middle school. Given the developmental needs of low-income adolescents, interventions for school adjustment that consider adolescents' important social contexts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should be developed.

간호원의 신뢰수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rust Level of Nurses)

  • 임현빈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0-19
    • /
    • 1977
  • Trust is an essential factor in human relations, as it enables man to accept and also disclose self. Today's health care demands nursing personnel with high level of trust . This study was designed and carried out in May through June, 1976 to measure the level of trust on nurses through the trust scale of Nurses (75- N) made by Kenneth et al. and the Parent Inventory made by Rake and to provide data for management of nursing personnel. 150 junior nursing students, 164 professional nurses from 5 universities and their medical centers and 55 nurse- educators from 8 baccalaureate nursing programs in Seoul were randomly sampled. Results are as follows : 1. The rank order of the level of trust revealed that nurse educators the highest and nursing students the lowest. 2. The level of trust revealed to be influenced by the relationship with parents at the early stages of life ; Group who appeared to have shared intimacy with their parents were the highest. 3. Factors such as ; number of siblings and birth order among them, religious affiliation, parental presence revealed to have had no influence on the level of trust in all three group. 4. No significant difference were revealed between the group who had put their names down on the questionnaire and the others. 5. Clinical specialities of practice revealed to have no signigicant influence on trust in nurses. 6. Marital status revealed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 : in nurses and nurse- educators, the mastered re vented to have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trust. (difference by Recommendations : 1. A study on trust level of patients and Nurses in Nurse- patient Relationship. 2. A longitudinal study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Nursing education on the development of trust in Nurses are recommended. 3. A comparative study on trust level of students of Nursing & non- Nursing major.

  • PDF

과학영재학생들이 지각하는 부모의 양육행동, 자아존중감 및 정서지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cience Gifted Students' Perceived Parental Behavior, Self-Esteem, and Emotional Intelligence)

  • 채유정;이영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695-707
    • /
    • 2013
  • 본 연구는 과학 영재학생이 지각한 부모 양육행동, 자아존중감 및 정서지능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광역시 소재 영재교육원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총 9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응답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2012년 3월, 자아존중감, 정서지능, 부모양육행동 설문지를 학생들에게 배포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사용해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 영재학생들은 자아존중감에 해당하는 10개 문항 모두에서 4점 이상(그렇다)의 응답을 보였으며, 전체 평균이 4.36(SD= .546)으로 설문에 참여한 영재학생들은 긍정적인 자아존중감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정서지능 요소 중 정서의 사고촉진, 감정이입 영역에서는 4점에 매우 근사한 결과를 보여, 학생들이 이 영역에서 본인의 능력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아버지 양육행동에 대한 문항에서는 전체 평균이 3.89로 나타났으며, 그 중 가르침, 신뢰(불신), 존중, 세 영역에서는 4.0(그렇다)에 근접하였으나 관심 영역에서는 평균3.57로 다른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점수를 보였다.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대한 평균은 4.10이었으며, 영역별로는 관심 4.31, 가르침 4.20, 존중 4.01, 신뢰(불신) 3.96의 순서로 평균점수가 높았으며, 아버지와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대한 지각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자아존중감과 정서지능, 자아존중감과 아버지와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해당하는 네 가지 영역(신뢰, 존중, 가르침, 관심) 모두에서 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서지능은 아버지, 어머니 양육행동의 네 개 요소 모두와 정적인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기분석 결과, 아버지의 양육행동 중 '존중' (${\beta}$=.422, p<.001)과 어머니의 양육행동 중 '신뢰' (${\beta}$=.450, p<.001)는 영재학생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버지의 양육행동 중 '가르침' (${\beta}$=.414, p<.001)과 '신뢰' (${\beta}$=.280, p<.01), 그리고 어머니의 양육행동 중 '가르침' (${\beta}$=.450, p<.001)'과 '존중' (${\beta}$=.331, p<.01)이 영재학생의 정서지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 및 한계,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이 결론 및 논의에 제시되었다.

애착과 비행친구가 청소년의 비행지속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ttachment and Deviant Peers on Juvenile Recidivism)

  • 권오용;이수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271-280
    • /
    • 2019
  • 본 연구는 애착과 비행친구가 청소년비행 지속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한국아동 청소년 중1패널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비행은 중3 180명(10.2%)에서 고3 278명(15.7%)으로 1.5배 증가하였으며, 비행중단 138명(72.7%), 비행지속 42명(23.3%)으로 나타나서 중단보다 지속이 더 적으며, 고3시기에 비행경험이 236명(85.6%)으로 나타났다. 둘째, 애착과 비행친구가 청소년비행에 미치는 영향은 부모애착은 중3에서는 부모애정이 부(-)의 영향, 고3에서는 부모감독이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친구애착에서 또래신뢰는 중3에서, 비행친구는 중3과 고3에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애착과 비행친구가 비행지속에 미치는 영향은 부모감독에서 부(-)의 영향을 미치며, 비행친구는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부모애정, 친구애착(교우, 신뢰)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연구결과를 토대로 청소년복지 실천을 위한 제언을 기술하였다.

고등학생의 진로 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부정적 정서에 따른 소비자 유형화 분석 (Career Identity of High School Students: Exploring Differences by Negative Emotions of Consumer Typology)

  • 김효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476-489
    • /
    • 2018
  •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 아동 청소년 패널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총 2,010명의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부정적 정서를 기반으로 집단을 유형화하고, 집단별로 진로 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정적 정서에 따라 청소년 집단을 유형화한 결과, '정서 불안정형', '정서 안정형' 집단으로 유형화 되었다. 둘째, '정서 불안정형' 집단이 '정서 안정형' 집단보다 자아 인식, 삶의 만족도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부모 과잉 기대, 부모 학대, 그리고 또래 소외 항목에서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서 불안정형' 집단의 경우 부모 감독, 부모 과잉 기대, 또래 소통, 또래 신뢰, 그리고 교사 애착이 진로 정체감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정서 안정형' 집단의 경우 부모 감독, 또래 소통, 교사 애착이 진로 정체감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확인되었고, 부모 학대가 진로 정체감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기부 및 자원봉사와 신뢰의 관계에 관한 연구 : Simultaneous Equation Model을 이용한 분석 (An Exploration on Individual Giving and Volunteering : Focus on the Relationship with Trust)

  • 강철희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9권3호
    • /
    • pp.5-32
    • /
    • 2007
  • 본 연구는 사회복지영역의 발전에 기초가 되는 기부 및 자원봉사와 신뢰간의 관계에 관해서 2004년 아름다운재단 기부문화연구소에 의해서 구축된 전 국민 대상 기부 및 자원봉사 인터뷰 서베이 자료를 기초로 연립방정식 모형을 이용해서 분석하였다. 연립방정식 모형을 이용해서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들에서 검증된 바인 신뢰가 기부 및 자원봉사의 예측요인이라는 사실에 더해서, 그 반대적 관계 역시 실증적으로 검증될 수 있음을 밝힌다. 기존의 실증적 연구결과 및 Putnam(1993)의 논의에 기반해서 본 연구는 쌍방적 관계의 모형을 구성한 후, 기부 및 자원봉사와 신뢰간의 관계가 신뢰에서 기부 및 자원봉사로 이어지는 일방적인(unilateral) 것만이 아니라 그 반대적 관계도 존재하는 쌍방적인(bilateral) 것임을 밝힌다. 아울러서 본 연구는 자선행동의 사회화 효과 및 세대간 전승 효과 등을 파악하기 위해 어린시절의 기부 및 자원봉사 교육의 영향력 그리고 부모의 기부실천 및 자원봉사실천의 영향력 역시 분석한다. 분석 결과, 부모의 기부실천 및 자원봉사실천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함을 밝힌다. 본 연구는 기부 및 자원봉사와 신뢰의 관계는 선순환적 관계를 갖고 있음을 보여주면서 기부 및 자원봉사의 촉진을 위해서 신뢰의 우선적 구축도 중요할 수 있으나 동시에 기부 및 자원봉사활동에 참여케 하는 것 역시 신뢰의 구축을 위해서 매우 효율적인 전략일 수 있음을 논의한다. 아울러서 자선행동의 사회화 및 세대간 전승 효과 그리고 후속연구의 방향 등에 관해서 논의한다.

  • PDF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부모에 대한 애착관계가 분노와 분노표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Parental Attach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 on Anger and Anger Expressions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 문소현;안효자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33-43
    • /
    • 2012
  • Objectives: The study has a purpose of contributing to understanding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healthy development of children by examining influences of parental attachment perceived by the children on their anger trait and anger expressions.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13 students in grade 4~6,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by the SPSS/PC 18.0 program. Results: The result showed the stable attachment with parents significantly influences children's anger and expression(anger out/control). And mother's attachment was significantly stronger than father's attachment, especially mutual trust and communication. Father's attachment had significantly negative influences state-trait anger and anger out/in, and mother's attachment had significantly negative influences state-trait anger and anger out. Actually father's attachment had stronger influences children's anger and anger expression. Conclusions: There was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attachment and anger trait/ expression by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multi-cultural children's anger, programs focusing on improving father-child relationships need to be established.

  • PDF

지각된 부모- 자녀관계가 자녀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erceived Parental Bonding on Self-Concept)

  • 문영숙;한진숙
    • 부모자녀건강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93-102
    • /
    • 2003
  • The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 of perceived past parent-child bonding on present parent-child attachment, self-concept.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October 6-18, 2003. The subject was college students in university located in Nonsan, Taejon city and 197 surveys were used in the analysis. As for the tools used in this study to assess the perceived past parent - child bonding scale by Parent Bonding Instrument - Korean Version, and present parent-child attachment were measured with the The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and self-concept were measured with Jung, Won Sik's self-concept inventory. For the data processing, the analyses of variance, multiple regression, correlation were carried out. The result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1. The examination of the effect of perceived past parent-child bonding on present parent-child attachment showed that significant differences are made by communication, trust, alienation in care, overprotection perceived past parent-child bonding. 2. As for the correlation between perceived past parent-child bonding and child self-concept, a significant correlation is revealed between care, overprotection perceived past parent-child bonding and child self-concep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