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ental Overprotection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4초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과보호와 우울증상의 관계 : 회피대처의 조절효과 (The Relations between Parents' Overprotection and Depressive Symptoms in University Students : The Moderating Effects of Avoidance Coping)

  • 김미연;김이경;유미숙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431-440
    • /
    • 2019
  • 본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과보호와 우울 증상에 미치는 영향에서 회피대처의 조절효과를 규명하고자 한 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지방 지역의 대학생 230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는 부모양육태도, 우울, 회피대처의 척도였다. 분석방법은 SPSS 21.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내적합치도 계수(Cronbach α)를 구하였다. 본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상관분석과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과보호와 우울증상, 회피대처는 각 변인 간 모두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부모의 과보호와 우울증상의 관계에서 회피대처는 조절효과를 주는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부모의 양육태도가 중학생의 우울성향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PARENTING ATTITUDE ON THE DEPRESSIVE TRAIT IN YOUNG ADOLESCENTS)

  • 한성희;이현만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7권2호
    • /
    • pp.167-178
    • /
    • 1996
  • 연구 목적 : 부모의 양육태도와 소아 ${\cdot}$ 청소년의 우울 성향과의 상호 관련 양상을 연구한다. 연구 방법 : 남녀 중학생 287명을 대상으로 소아·우울척도와 부모 양육 태도 검사를 이용한 자가보고형 설문형식을 작성하도록 하였다. 연구 결과 : 부모의 양육태도와 우울성향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아버지와의 관계보다 어머니와의 관계가 자녀들의 우울성향에 밀접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부모와의 결합의 형태에 따라 군을 분류하여 보았을 때 부모 모두 돌봄이 적고 과보호가 많은 군(애정없는 통제군)에서 우울성향이 가장 높게 보고되었고. 돌봄이 많고 과보호가 적은 군(적합한 결합군)에서 우울성향이 가장 낮게 보고되었다. 결 론 : 부모의 양육태도는 청소년기의 우울 증상에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며. 과보호가 적고 돌봄이 많은 형태가 가장 이상적인 것으로서 과보호가 많고 돌봄이 적을수록 우울성향이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양육행동 개념 분석 (A Concept Analysis of the Caretaking Behavior for Children)

  • 김순구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8권4호
    • /
    • pp.414-421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cept of caretaking behavior for children. This study adopts the methode of Walker and Avant in analysi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attributes, precedents, and consequences of caretaking behavior for children are follows ; 1. The affirmative attributes of caretaking behavior are affection binding, nutritional guidance, education, caring, protection moral training and acquisition of parents' role. The negative attributes of caretaking behavior are inconsistent moral training, incapability of affection binding and overprotection. 2. The precedent of caretaking behavior are postpartum contact with their babies, cognizance capacity of child-caretaking, economic support, level of preparation for child-caretaking and self-consciousness as parents. 3. The affirmative consequences of caretaking behavior are promotion of child growth and development, formation of maternal-infantile attachment, development of children sociality, satisfaction of parental role and reinforcement of relationship between the members of family. The negative consequences of caretaking behavior are burden and conflict to parental role, children's illness, role conflict and role stress among the members of the family and family breaking up.

  • PDF

일개 지역 청소년의 중독행동 관련 요인 (Predictors of Addictive Behavior in Adolescents)

  • 박현숙;정선영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592-607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rsonal, family, and community factors that affect addictive behavior of adolescent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a descriptive survey design. Subjects included 398 adolescents in three middle schools and four high schools located in three cities. Data were obtained from these subjects between July 11 and July 19, 2013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Analysis of the data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19.0 program. Results: Of the participants, 62.0% were included in the non-addictive group, and 38.0% in the risk for addictive behavior group. Significant factors related to addictive behavior includes eight personal factors: alcohol consumption, sexual experience, suicidal ideation, experience of being a runaway, time spent using the smartphone, and time management skills; five family factors: physical abuse by parents, parental alcohol abuse, parental rearing attitudes [the type of rearing attitude among emotional warmth, rejection, and overprotection]; and two community factors: number of peers who practice risk behavior and relationship with peers. Conclusion: Based on the outcomes of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a school health program to decrease adolescent addictive behavior should consider personal, family, and community factors.

초등학생의 유튜브 이용과 심리적 적응 : 부모양육태도, 자아존중감, 학교생활만족도의 매개효과 (Children's YouTube Watching Behaviors and Their Adjustments: Mediation Effects of Parental Attitude, Self Esteem, and School Satisfaction)

  • 이진경;김근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699-707
    • /
    • 2019
  •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유튜브 이용실태와 동기를 확인하고, 유튜브 이용과 부모양육태도, 자아존중감, 학교생활만족도와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4, 5, 6학년 재학생 238명을 대상으로 유튜브 사용량과 동기, 부모 양육태도, 자아존중감, 학교생활만족도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조사 대상 초등학생의 과반수는 하루에 1시간 이상 유튜브를 이용하고 있으며, 전체의 15.6%는 하루에 3시간 이상 유튜브를 이용한다고 응답해, 초등학생들의 상당 수가 매우 적극적으로 유튜브를 사용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유튜브 이용빈도가 높을수록 부모의 애정, 자아존중감, 학교생활 만족도는 낮은 편이었다. 또 부모의 애정적 양육태도는 초등학생의 유튜브 이용빈도를 부분매개하여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반면 거부적 양육태도 및 과보호적 양육태도의 경우 유튜브 사용량과 큰 관련성이 없었으며, 매개효과도 발견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초등학생의 과도한 유튜브 이용의 구체적인 심리적 악영향을 밝힌 국내 최초의 경험적 연구로, 초등학생의 유튜브 이용에 대한 적절한 가이드라인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또한 아동의 유튜브 이용에 있어서도 부모의 양육태도가 관여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문제성 음주자의 청소년 자녀들의 심리적 특성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 CHILDREN OF PROBLEM DRINKERS)

  • 손영균;오경자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5권1호
    • /
    • pp.172-183
    • /
    • 1994
  • 본 연구는 문제성 음주자의 청소년 자녀들에게 나타나는 부적응 특성들을 알아보기 위하여 일반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학생들로 하여금 부모의 음주문제를 보고하도록 한 후 이를 근거로 문제성 음주자의 청소년 자녀 집단(남 126명, 여 210)과 부모가 음주 문제가 없는 비교집단(남 190, 여 222)을 구성하여 두 집단의 가족 환경 및 부모-자녀 관계, 우울, 음주 기대, 음주 개입 및 비행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문제성 음주자 자녀 집단은 비교 집단에 비해 부모로부터 보살핌을 덜 받았다고 느꼈으나, 부모의 과보호는 더 받았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문제성 음주자 자녀 집단은 비교 집단에 비하여 우울과 불안 수준이 높았으며 음주 기대가 높고 음주와 비행에 더 많이 개입되어 있었다. 위의 여러 변인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지만 성별과 부모의 문제성 음주와의 상호작용은 보이지 않았으며, 이는 부모의 문제성 음주가 남녀 청소년 모두에게 비슷한 영향을 미침을 시사한다. 청소년들의 우울, 불안, 음주 기대, 음주 개입 그리고 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남녀 집단의 자료에 각각 중다 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우울 및 불안 등 청소년의 정서문제는 부모의 음주보다는 부모와의 관계를 어떻게 지각하고 있는가에 의해 더 많은 영향을 받는 반면, 음주 문제와 비행은 부모와의 관계보다는 부모의 음주 문제 정도 및 이들 불안 ${\cdot}$ 우울 등의 정서상태와 더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었다.

  • PDF

초중고생의 수면 시간이 부모양육태도의 매개를 통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leep Duration on Youth School Adjustment Mediated by Parenting Behavior)

  • 김수정;정익중
    • 아동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13-26
    • /
    • 2016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leep duration and school adjustment of elementary-, middle-, high-school youth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parenting behavior. Methods: We analyzed the data from Wave 4 of the first-grade panel of elementary school and Waves 1 and 4 of the first-grade panel of middle school in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including 1,703 fourth graders, 2,119 seventh graders, and 2,108 tenth graders. Multiple regression was used for the data analyse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longer sleep duration was associated with a higher level of school adjustment in fourth grade. In contrast, longer sleep duration was associated with a lower level of school adjustment in seventh and tenth grades. Second, longer sleep duration was related to a higher level of discipline through reasoning in fourth grade. However, longer sleep duration was related to a lower level of parental monitoring in seventh and tenth grades.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sleep duration and school adjustment was mediated by parenting behavior. Discipline through reasoning had a mediating effect in fourth grade, but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al monitoring was found in seventh and tenth grade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a differentiated approach on sleep duration in accordance with developmental stage and the need for parent education.

청소년에서 자녀가 지각한 부모 양육태도와 문제 행동의 연관성 - 서울시내 남자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 (ASSOCIATION BETWEEN THE PERCEIVED PARENTING AND PROBLEM BEHAVIORS IN KOREAN MALE ADOLESCENTS)

  • 김도훈;문유선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2권2호
    • /
    • pp.237-244
    • /
    • 2001
  • 역기능적인 부모-자녀 관계는 청소년의 다양한 정신 및 행동 장애와 연관되어 있을 뿐 아니라 성인에서의 여러 정신 병리와도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역기능적인 부모-자녀 관계와 그 관계가 정신적 및 신체적 문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임상 집단에서 이루어 졌으나 지역사회 중심의 일반 집단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거의 없어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청소년 문제 행동과의 연관성을 문제 행동군과 정상 행동군으로 나누어 비교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서울 소재 남자 고둥학생 중 정신건강 문제가 없었고 양친과 함께 살고 있는 147명을 대상으로 한국판 부모-자녀 결합행태 척도와 문제 행동척도 점수를 나타내는 한국판 Youth Self Report를 이용하여 청소년이 지각하는 부모의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문제행동을 평가하였다. 문제 행동척도 점수로 나누어 본 문제 행동군과 정상 행동군을 비교한 결과 어머니의 과보호 정도가 문제 행동군에서 높았으며, 어머니의 과보호는 남자 청소년의 문제행동과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를 알아봄으로 청소년기에 문제행동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 행동군을 예측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적절한 부모의 양육태도로 다양한 청소년기 문제행동이 예방될 수 있음이 시사된다.

  • PDF

품행장애 청소년에서의 우울, 불안 증상과 부모양육특성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ANXIETY AND PARENTAL REARING PATTERNS IN ADOLESCENTS WITH CONDUCT DISORDER)

  • 한성희;최경민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8권1호
    • /
    • pp.83-91
    • /
    • 1997
  • 본 연구의 목적은 품행장애를 보이는 청소년에서 우울및 불안의 정도를 알아보고 또한 자신의 부모가 보이는 자녀 양육 방식에 대해 그들이 어떠한 지각을 하고 있는가를 살펴봄으로써, 품행장애 환아들에서 흔히 동반되는 우울, 불안 증상과 부모양육방식 사이에는 어떤 상호관련이 있으며 이는 또한 품행장애의 임상경과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하에 저자들은 DSM-Ⅳ의 진단기준에 부합되는 품행장애 입원환아 30명과 정상대조군으로 30명의 중학생을 선정하였으며, 이들에게 소아우울척도(CDI), 소아 상태-특성 불안척도(STAI), 부모-자녀 결합형태 검사(PBI)를 시행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품행장애 환아들은 정상대조군에 비해 증상면에서 상태불안(state anxiety)이 높았으나 우울과 특성불안(trait anxiety)은 의미있는 차이를 보여주지 않았다. 2) 품행장애 환아들은 부모의 양육태도에 있어서 아버지와 어머니 모두에 대해 돌봄이 적고 과보호가 많다는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어머니의 돌봄은 우울 및 품행문제의 심각도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4) 어머니의 과보호는 특성불안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품행장애 환아에 있어 아버지 양육태도의 특성은 그다지 의미있는 결과를 보여주지 않아 아버지보다는 어머니의 부정적인 양육 방식이 품행장애 소아청소년의 우울, 불안 및 품행문제의 심각도등의 임상경과와 보다 밀접한 관련성을 갖는 것으로 보인다.

  • PDF

ADHD 치료에서 가족치료캠프의 적용 (Application of Family Treatment Camp in Treatment of ADHD)

  • 황병주;안동현;이재영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3권2호
    • /
    • pp.82-89
    • /
    • 2012
  • Objectives : Demands for comprehensive and intensive treatment programs for treatment of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who suffer from serious impairment in various psychosocial areas are increasing.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new types of camp programs focused on improving social adjustment of children and helping parents effectively manage their children's problem behaviors. Methods : Fifteen children diagnosed as ADHD according to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IV (mean age 9.5 years) and their parents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Eight consecutive camps were held at two-week intervals, from Jun 2007 to Oct 2007 in an adolescent training center located at Chungtaesan, in Korea. Each camp program included social skills training in the classroom and outdoor activities in the forest for children, as well as parent training for mothers. In addition, after the sixth camp, we conducted one parental session for fathers and a three-day booster family camp three months later. Finally, eleven families adhered to the program. Results : All children, parents, and therapists rated questionnaires or checklists at baseline, intra-, and post-treatment. Parenting burden rated using the Parenting Stress Index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from 57.89 to 46.22 (p=.019). And, overprotection rated using the Parenting Bonding Instrument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from 16.56 to 12.44 (p=.046). However, no significant improvement in children's behavioral and emotional problems was observed. Conclusion : In this study, the consecutive ADHD family camp program was effective for empowerment of parental competency, but not for general improvement of children's behavioral and emotional symptoms.